연휴에 읽으려고 생각하다가 어젯밤에서야 책상맡에 놓은 책은 사라 베이크웰의 <어떻게 살 것인가>(책읽는수요일, 2012)이다. 작년 아마존닷컴의 '올해의 책' 가운데 하나로 소개되지만, 제목만으로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원서의 부제가 '몽테뉴의 삶'이고, 번역서 표지에는 '프랑스 정신의 아버지 몽테뉴의 인생에 관한 20가지 대답'이 보충설명으로 박혀 있다. 몽테뉴의 삶과 사상에 관한 책이라는 얘기인데, 베스트셀러까지? 해답은 '더 타임스'의 리뷰가 말해준다. "몽테뉴 입문서 중에서 가장 재미있는 책이다."

 

 

 

나로선 '어떻게 살 것인가'란 제목도, 몽테뉴에 관한 책이라는 점도, 몽테뉴의 얼굴이 담긴 표지도(특히의 표지의 톤) 모두 맘에 들기에 바로 주문한 책이다. 덕분에 '책읽는수요일'이란 출판사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몽테뉴라고 하면 '에세(essais)'의 창시자로도 유명한데, 몽테뉴 이전에는 그런 장르가 없었다고 한다. 하나의 장르 자체를 만들어낸 책이 <에세>이며 우리에겐 흔히 <수상록>이라고 알려진 책이다. 몇가지 제목이 경합을 벌이긴 했지만 <수상록>으로 안착된 듯싶다. 연구자들은 <엣세>라고도 부르지만. 

 

그런데 <수상록>을 손에 들어본 독자라면 알겠지만 이게 상상 이상의 분량이다. 국내에는 손우성 선생의 완역본이 나와 있다(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책이 제목만 여러 번 바뀌었다). 몽테뉴가 1572년부터 1592년까지 20년 남짓 동안 쓴 것인데, 모두 107편의 에세이다. 거기서 끝난 건 뭔가 완결됐기 때문이 아니라 몽테뉴가 거기까지 쓰고 죽었기 때문이다. '시도하다'는 뜻을 가진 '에세예' 동사의 결과물이 <에세>라는 걸 상기하게 된다.

 

<에세>, 곧 <수상록>은 1000페이지가 넘어가는 분량이지만 당연히 두서가 없다. 이 책을 어떻게 읽을까. 그러니까 <어떻게 살 것인가>는 몽테뉴의 <수상록>을 어떻게 읽을지 말해주는 하나의 가이드북이기도 하다. 생각할 것도 없이 책을 주문한 이유다.

 

개인적으로 <수상록>과의 첫 인연은 중3 때쯤이었던 걸로 기억된다. 한 라디오 프로그램의 패널로 나온 이가 몽테뉴의 <수상록>을 추천하면서 몇몇 에피소드를 들려주었고('습관에 대하여'가 인상적이었다) 막바로 서점에서 구입한 게 세로읽기로 된 선집이었다. 선집이어도 분량은 웬만한 책 이상이었다.

 

마땅한 새 번역본이나 완역본을 구경하지 못하다가 다시금 몽테뉴에 관심을 갖게 된 건 러시아 시인 푸슈킨이 몽테뉴를 읽었다는 걸 알면서부터이다. 몽테뉴 읽기가 '전공' 공부에도 필요하게 된 것이다. 러시아에서 두 권짜리 두툼한 <수상록>을 구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컬렉터로서 자랑거리의 하나다). 러시아어 제목은 <경험>이라고 돼 있는데, 나는 나중에야 흔히 '경험'으로 옮겨지는 러시아어 단어가 불어 '에세'의 번역어라는 걸 알았다. '해본다'는 뜻인 것.

 

 

 

홋다 요시에의 평전 <위대한 교양인 몽테뉴>(한길사, 1999)도 좀 뒤늦게 구했다. 오프라인서점에서였다. 지금 확인해보니 1권이 품절로 뜬다.

 

 

 

국내 저자의 책으론 파스칼 전공자인 이환 교수의 연구서로 <몽테뉴의 '엣세'>(서울대출판부, 2004)와 <몽테뉴와 파스칼>(민음사, 2007)이 나와 있고(<몽테뉴와 파스칼>은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는데, 별로 인상적이지 않았다), 박홍규 교수의 <몽테뉴의 숲에서 거닐다>(청어람미디어, 2004)가 몽테뉴에 대한 수상록이라 할 만하다. 그래도 다소 빈곤하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려운데, 마침 사라 베이크웰의 책이 부족한 부분을 꽤 상쇄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의 첫 독서를 <어떻게 살 것인가>로 시작하는 이유다...

 

12. 01. 24.

 

 

 

P.S. 여러 사정상, 그리고 습관적으로 여러 권의 책을 한꺼번에 읽는 편인데, <어떻게 할 것인가>와 같이 읽고 있는 책은 프랑스 철학자 뤽 페리의 <사는 법을 배우다>(기파랑, 2008)이다. <미학적 인간>(고려원, 1994) 이후에 소개된 그의 책들을 대부분 갖고 있는데, 읽다 보니 가장 유익해보이는 책이 바로 <사는 법을 배우다>이다. 몽테뉴의 후예답게 서두에서 몽테뉴의 말도 한마디 인용하고 있다. "철학하는 것은 죽는 법을 배우는 것"이란 말이다. 사실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면, 그건 우리가 죽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내 방식은 아주 간단해. 철학의 가장 중심적인 문제에서 출발하는 거야. 즉, 신이 아닌 인간은 반드시 사멸한다는 사실, 인간은 시간과 공간에 한정된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에서부터 출발하는 거야.(19쪽)

인간이 시간과 공간에 한정된 유한한 존재란 일반론을 특수한 정황에 맞게 고쳐 말하면, 독서인으로서 나는 나의 서재에 유폐된 존재다. 아직 난장판인 방안을 둘러보며 연휴 기간중 책장을 정리하겠다던 계획을 1월말까지로 연장한다. 생각해보니, '어떻게 살 것인가'보다 먼저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이다. <어떻게 살 것인가>를 제대로 읽어보려고 해도, 일단은 오늘치의 정리부터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