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프만의 허기>란 소설이 있다. 작가의 이름은 입에 익지 않은데 다시 확인하니 레온 드 빈터다. <호프만의 허기>(디자인하우스, 1996)이라고 오래전에 출간됐던 책이 이번에 새로운 번역으로 다시 나왔다. <호프만의 허기>(문학동네, 2012). 예전판으로 흥미롭게 읽었지만 기억에 완독은 하지 않았다. 다시 손에 들고픈 소설이라 소개기사를 스크랩해놓는다. 영어본의 표지가 맘에 든다.

 

 

 

한국일보(12. 01. 14) 불면과 폭식… 영혼이 고독한 인간의 공허한 일상

 

네덜란드 작가 레온 드 빈터의 대표작 <호프만의 허기>는 한 중년 남자의 허기를 통해 세상에는 육하원칙의 명료한 서술로 설명되지 않는 빈 공간이 존재함을 말하고 있다. 영화제작자,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한 작가의 이력이 십분 발휘된 작품은 스릴러물의 형식을 빌려오면서, 스피노자의 철학을 틈틈이 배치해 독자의 지성을 자극한다.

펠릭스 호프만은 59세에 체코슬로바키아 주재 네덜란드 대사로 임명된다. 외교관이라는, 겉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 그는 20년 넘게 불면증과 폭식증으로 고통 받고 있다. 그의 불면과 폭식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일종의 징후다. 유대인인 그는 어린 시절 홀로코스트로 부모를 잃고 가까스로 살아남았고, 대학 때 처음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을 하고, 쌍둥이 딸을 얻었다. 하지만 한 아이는 어려서 백혈병으로, 다른 아이는 헤로인 과다 복용에 따른 자살로 잃고 아내와의 관계도 소원해진 상태다. 그는 밤마다 구역질이 날 때까지 음식을 먹으며 허기를 달랜다. 음식을 먹고 게워내기를 반복하며 불면증에도 시달린다.

 

 


그에게 유일한 위안은 프라하 관저에서 우연히 발견한 스피노자의 철학 책 <지성의 개선 및 지성을 사물의 참된 인식으로 인도하는 방법에 관한 논고>다. 마음의 허기를 스피노자의 철학으로 채우려는 듯, 그는 스피노자를 이해하는 데 온 신경을 집중하며 가까스로 자신을 지탱한다. '오직 영원하고 무한한 것을 향한 사랑만이 영혼을 기쁨으로 살찌운다. 그리고 그런 사랑만이 모든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기에 가장 바람직할뿐더러 전력을 다해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영혼을 채우고 싶은 호프만이지만, 또한 욕망을 가진 불완전한 인간이기에 그는 치명적 실수를 한다. 적국의 스파이인 카를라를 열렬하게 사랑하고 그녀에게 비밀정보를 넘겨주게 된 것. 물론 뚱뚱한 중년 남자의 사랑은 배신당하는 것으로 끝난다.

소설의 또 다른 축은 호프만을 둘러싼 사람들의 이면이다. 카를라 사건을 조사하러 온 미국 정보기관원 존 마크스는 호프만의 아내 마리안과 연락을 취하게 되고, 그녀가 과거 자신이 사랑했던 여자라는 걸 알게 된다. 마리안과 마크스 역시 삶의 허기에 시달리던 사람들이다. 얼핏 줄거리만 들으면 신파처럼 느껴지는 소설이지만, 스피노자의 <…논고>의 일부분과 호프만의 일상, 호프만 주변인들의 이력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이며 독특한 감응을 준다. 밀란 쿤데라가 막장 연애담과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을 버무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쓴 것처럼.

소설은 20세기 말 혼란의 시대, 1989년 6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사람들의 공허한 일상과 그로 인해 허기를 느끼는 인물들의 면면을 서술하는 형식으로 쓰였다. 인간 삶을 이루는 근간은 사회질서나 도덕 같은 드러난 사실보다 역사의 순간에 마주치는 충격, 상처, 그로 인해 생긴 빈 공간이며 누구도 이 아픔을 대신 겪거나 제거해 줄 수 없음을 인물들의 '허기'는 말하고 있다.(이윤주기자)

 

12. 01. 14.

 

 

 

P.S. 레온 드 빈터의 소설로는 <바스티유 광장>(문학동네, 2010)도 소개돼 있다. 그리고 허기와 대비하여 탐식이란 주제도 떠오르는데, 플로랑 켈리에의 <제7대 죄악, 탐식>(예경, 2011)이 읽어볼 만하다. 프랜신 프로즈의 <탐식>(민음인, 2007)은 '주체할 수 없는 식욕'에 대한 소략한 안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