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의 용어 중 jouissance는 그간에 '향락' '희열' 등이 사용됐지만, 홍준기의주장 이후(<라캉의 재탄생>, 102-3쪽) '향유'를 선호하는 이들도 많아진 듯하다(jouissance는 바르트도 사용하는 용어인데, 라캉과 바르트 중 누구에게 우선권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연배로 봐선 바르트가 빌어온 거 같기도 하고. 영어로 라캉의 jouissnace는 보통 enjoyment로 번역하며, 바르트의 jouissance는 enjoyment도 쓰지만, 더 자주 눈에 띄는 건 bliss이다.)
물론 최근에는 상식적인 '쾌락'을 번역어로 사용하는 이들도 있지만(라캉에 대해서 좀 안다는 이들로부터 욕을 먹기 십상이다), 기본적으론 그것이 pleasure와 구별되지 않기 때문에('쾌락'이 pleasure의 번역어로서 거의 굳어져 있기 때문에) 그렇지 jouissance의 번역어로 불가능한 건 아니다. 여기서 jouissance의 번역어가 갖춰야 할 최소조건을 추출할 수 있는바, 첫째는 pleasure(쾌락)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쾌락원칙을 넘어선 '과도한' 쾌락이란 의미를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홍준기가 정리한 바에 따르면, 주이상스의 번역어는 (1)고통 속의 쾌락 (2)죽음의 충동과 결합된 쾌락 (3)법적 개념인 용익권과의 연관성이 드러나야 한다. 그리고 그런 관점에서 그가 제안/고집하는 것이 '향유'이다. 하지만, 나는 거기에 동의하지 않는데, 홍준기는 (3)번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정작 중요한 (1), (2)번은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말 '향유(享有)'는 '누려서 가짐'이란 뜻으로 원래 성적인 뉘앙스가 거의 없는 말이다. '자유와 풍요를 향유하다'라고 할 때처럼, 그것은 보통 어떤 긍정적인 가치를 풍족하게 소유하여 즐긴다란 의미를 갖는다. 즉, 거기에는 '고통'이나 '죽음'과의 의미론적 연관성이 희박하다. 만약에 그런 뉘앙스를 담고 있다면, '모든 국민이 자유와 풍요를 향유하는 사회'와 같은 '국가적' 캐치프레이즈는 넌센스가 될 것이다.
또 하나 '향유'란 말은 '소유'와의 연관성 때문에 계급적인 뉘앙스를 갖는 말이다. '향유'란 말에서 내가 떠올리는 이미지는 대리석 욕조에서 거품목욕하거나 명품쇼핑에 나선 여피족들인데, 거기에 어떤 '고통 속의 쾌락'이 있는 것인지(정말 비명을 지르며 목욕하고, 아주 괴로워하며 '이거 얼마나 하나?'라고 묻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법적인 뉘앙스를 살려서 우리가 '삶을 향유할 권리'라고 말할 때, 우리는 그것을 '자기 삶을 망치고 패가망신할 권리'란 뜻으로 새기는 것인지?
원래 법학을 전공했던 홍준기로선 '법적 개념'과의 연관성 운운하며, '향유'를 제시할 때, '안다고 가정된 주체'로서 자신을 위치시키며 자신의 기득권을 얼마나 '향유'했는지 모르겠지만, 그 향유에는 어떠한 '고통'도 부재하다는 점에서, 나는 '향유'라는 번역어가 내키지 않는다. 그리고 번역과 관련하여 우리에게 부족한 건 법학이나 정신분석학 공부가 아니라 국어 공부이다.
주이상스의 번역어로 내가 선호하는 것은 '향락'인데, 물론 그것이 완벽한 번역어이기 때문은 아니다(거듭 말하지만, 번역의 조건은 번역의 불가능성이다). 하지만, 내가 앞에서 내세운 두 가지 최소조건을 향락은 충족시킨다. 즉 (소유를 연상시키는) 향유와는 달리, (쾌락과 운을 맞추는) 향락은 쾌락과 구별되는 짝개념으로서 유용하다(나는 사실 '희열'에도 반대하진 않는다. 다만, '향락'이 더 편리하다고 생각할 뿐이다).
그리고 또 하나 '향락'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고통 속의 쾌락' '죽음 충동과 결합된 쾌락'의 의미를 여러 후보들 가운데 가장 잘 전달한다는 것이다.'향락산업'이란 말에도 암시되어 있듯이('향유산업'이나 '희열산업'은 없지만), 그것은 어떤 지나친/과도한 쾌락 추구라는 '부정적' 뉘앙스를 담고 있다. 즉 쾌락원칙을 넘어서는 과도한 쾌락으로서의 향락을 추구하는 것은 자기 자신과 삶을 망치는 '지름길'이다. 나는 '향유'가 그런 뉘앙스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맥락에서, 오역을 향유하는 번역서 <향락의 전이>의 최대 기여는 '향락'이란 번역어를 보다 익숙하게 만든 거라고 나는 생각하며, 주이상스의 번역어로 '향락'을 지지한다. '향유'를 고집하는 이들이 어떤 반론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