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신간들 가운데 한권만 읽어야 한다면 개인적으론 제임스 글릭의 <아이작 뉴턴>(승산, 2008)을 고르고 싶다. 과학자 평전이야 요즘 흔하게 나오는 것이지만 일단 베스트셀러 <카오스>의 저자이자 리처드 파인만의 전기 <천재>(승산, 2005)를 쓴 과학 저널리스트 제임스 글릭의 책이란 점, 그리고 물론 뉴턴의 전기를 한권쯤은 읽어보고 싶다는 호기심이 거기에 보태진다. 이미 소개된 뉴턴의 전기가 없는 건 아니지만 글릭의 책은 짧으면서도 정확하다는 강점을 갖는다고. 저명한 과학자 프리먼 다이슨은 이렇게 말했다. “턴의 삶과 업적에 진지한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글릭의 이 전기를 그 훌륭한 출발점으로 추천한다. 이 책에는 세 가지 중요한 장점이 있다. 정확하고 읽기 쉬우며 짧다. 글릭은 원전으로 돌아가서 뉴턴을 되살려냈다.”

디지털타임즈(08. 09. 17) 고뇌하는 `인간 뉴턴`의 삶 엿보기

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끼리 하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시험기간 땀을 뻘뻘 흘리며 벼락공부를 하고 있노라면 이런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갈릴레오와 뉴턴만 없었으면 이 고생을 안 해도 될 텐데."

대다수 사람들에게 뉴턴은 플라톤, 테레사 수녀, 에디슨처럼 바다 건너 온 하나의 위인에 불과하지만 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뉴턴은 애증의 대상이다. 우리 모두가 뉴턴이 밝혀낸 세상의 원리 안에서 살아가는 까닭에 그는 세상에 빛을 전달함과 동시에 지독한 공부거리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그렇지만 세상 사람 모두가 뉴턴주의자라고 말한다. 우리가 힘과 질량에 대해 말할 때, 하늘로 폴짝 뛰어올랐다가 이내 주저앉은 순간 중력의 법칙을 머릿속에 떠올릴 때 그 생각 속에 바로 뉴턴의 업적이 그림자처럼 숨어 있기 때문이다. 뉴턴의 법칙은 곧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법칙인 셈이다. 따라서 뉴턴이 세계를 인식하는 틀을 구축하는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 자신의 세계관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책은 뉴턴의 과학적 성과와 그 의의를 짚어보는 작업뿐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뉴턴의 삶을 조명한다. 진위 논쟁을 부르기도 했던 뉴턴의 여자 문제에서부터(뉴턴은 죽을 때까지 단 한 번도 여자와 관계하지 않은 동성애자라는 통설이 있다) 그가 평생 가장 멀리 이동한 거리는 고작 150마일을 넘지 않는다는 사실까지 하나의 개인으로서 특이함을 보였던 뉴턴의 면모도 소개한다.

결국 뉴턴도 하나의 평범한 사람이었다. 뉴턴이 너무 오래된 위인이어서 거리감을 느끼거나 머리 아프게 이것저것 많은 사실을 밝혀낸 천재 과학자라는 데서 이질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고뇌하는 `인간 뉴턴`을 만나볼 수 있다.(이지성기자)

08. 09. 20.

P.S. 아이작 뉴턴의 평전으로 가장 정평 있는 것은 리처드 웨스트폴의 <결코 쉬지 않는(Never at rest : A Biography of Issac Newton)>(1983)이다. 무려 930쪽에 이르는 책이니까 방대함에 있어서도 견줄 만한 책이 없겠다(결코 쉬지 않고 읽어도 꼬박 일주일은 걸리지 않을까?). 다행히도 저자는 일반 독자들을 위해 축약본을 따로 냈고(1994년) 이 축약본의 우리말 번역이 <프린키피아의 천재>(사이언스북스, 2001)이다(그래도 580쪽이다!). 여유가 있다면 글릭의 책과 나란히 읽어봄 직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