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풀러의 <지식인>(사이언스북스, 2007)에 대해서는 사르트르의 <지식인을 위한 변명>(이학사, 2007)과 함께 읽어볼 작정이란 얘기를 지난주에 적었다. 일간지 서평을 근거로 '와인 감식가로서의 지식인'(http://blog.aladin.co.kr/mramor/1703093)이란 제목을 붙였는데 막상 읽어보니 '와인 감식' 같은 풍미와는 거리가 먼 책이다. 기자에 따르면 '색다른 지식인론'이고 역자에 따르면 '지식인을 위한 기묘한 변명'에 해당하는 책은 학계와 일부 지식인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조롱도 포함하고 있어서 와인보다는 도수를 많이 높여야 할 듯싶다('꼬냑'이라고 할까?).

기자의 서평에 따르면 "문장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구성 역시 다소 산만하다는 느낌"을 준다고 하는데, 문장이야 더 까다로운 책들이 많기에 이 책만의 흠이랄 수는 없겠지만 다소 산만하다는 점은 이 책의 새로운 독자라면 고려해야 할 듯싶다. 군데군데 재치있는 비판과 번뜩이는 발상전환에 흥미를 느끼지 않았다면 계속 읽어나가지 못했을 것이다(2장인 '지식인과 철학자의 대화'에서 일부 지식인들에 대한 저자의 독설과 비아냥은 일리가 없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다는 인상을 준다).

역자에 따르면 "이 책은 결코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부피는 얇지만 아주 많은 내용을 담으려 한 야심적인 저작"이기 때문이다. 한데, 이 점은 저자가 서문에서 주장하는 바와 다소 모순되기에 흥미롭다. "나는 생각할 가치가 있는 생각은 어떤 식으로든 그리고 어떤 청중에게든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결코 엘리트 지식인들의 게으름이나 조급성을 사상의 깊이와 혼동하지 마라."(11쪽) 적어도 저자 스스로는 학자연하는 현학과는 분명한 거리를 두고 있으므로 이 책을 읽는 어려움은 내용상의 어려움이 아니라 문체상의 어려움에서 비롯되는 듯하다. 그 문체의 낯설음은 저자가 '독자'가 아닌 '청중'을 고려하고 있기에 빚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 물론 군데군데 역자의 실수도 가독성 떨어뜨리기에 동참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대체적으론 무난한 번역이지만).  

가령 "어느 분야든 지식인에게 이상적인 학문적 훈련을 제공하는 것은 연구와 교육이다."(9쪽)은 내가 보기에 오역이다. 원문은 "Research and teaching across different disciplines provides ideal academic training for the intellectual."이고 'across different disciplines'은 '어느 분야든'이 아니라 '각기 다른 학문을 가로지르는', 즉 '학제적(interdisciplinary)'이란 뜻이어야 이어지는 내용과 호응이 된다. 단순히 '연구와 교육'이 지식인에게 이상적인 학문적 훈련이 된다고 하면 싱거운 노릇이다. 다방면에 걸친 '학제적 연구와 교육'이어야 한다. 그리고 저자가 개척의 공로자 중 하나인 '사회인식론(sociial epistemology)'은 바로 그런 학제적 연구와 교육을 근간으로 한 프로그램이 아닌가.

'사회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사회인식론은 지금까지 지식이 어떻게 생산되었는지를 인식하고 그런 인식에 비추어서 앞으로는 지식이 어떻게 생산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실제로 그것은 일종의 추상적인 사회 정책론(social policy)'이다."(9-10쪽) 나름대로는 사회인식론에 대한 정의이기도 하므로 원문을 따라 적으면 "Social epistemology is concerned with how knowledge should be produced, in light of what is known about how it has been produced. In effect, it is a kind of abstract science policy."

기이한 것은 원문의 'science policy(과학/학문 정책론)'이 번역문에서 '사회 정책론(social policy)'으로 엉뚱하게 탈바꿈한 것이다(아무래도 '사회인식론'에서의 '사회'란 말의 연상작용 때문에 빚어진 착오인 듯하다. 덕분에 이후에 잘 읽히지 않는 대목은 모두 원문을 확인하게 된다). 이 문장의 '추상적인(abstract)'을 나대로는 그냥 '이론적인'이란 뜻으로 이해하는데, 사회인식론은 지식이 어떻게 생산되어 왔는가(->지식의 고고학)를 검토해서 앞으로는 어떻게 생산되어야 하는가(->학문 정책론) 하는 그림을 제시하는 학제적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왜 그냥 인식론이 아니라 사회인식론인가? 그것은 인식/지식이 그 사회적 발생조건과 분리될 수 없다는 전제 때문이겠다. 저자가 마키아벨리의 '권력에의 진리(truth to power)'론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이다. '사회적 조건'을 '권력관계'와 나란히 놓는다면 그런 조건/관계와 무관하게 생산되는 지식은 없다. 그런 의미에서 풀러는 이 책의 모델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라고 말한다. 

"마키아벨리는 대단히 성공한 지식인이며 그런 영예로운 칭호를 얻을 자격이 충분하다. 그는 모두가 알고 있지만 결코 인정하지 않으려 했던 것을 공공연하게 말한 사람이었다. 그는 권력을 그런 식으로 언급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시대에 '권력에의 진리'를 설파했다.(...) 이 책은 마키아벨리 같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며 마키아벨리 같은 사람들에 관한 책이다."(6쪽)

책은 다양한 주제들을 건드리고 있지만 내가 읽은 범위내에서 가장 유익한 대목은 지식인과 총제적 진리의 관계를 다룬 절이다(68-78쪽). 바쁘신 분들은 이 대목만 챙겨두어도 책값의 1/3은 건지는 게 아닌가 싶다. 더불어 '마키아벨리스트'로서의 지식인을 표방하는 풀러이지만 그를 '포퍼리언'으로 이해할 때 사회인식론의 기본적인 관점과 입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국내에 소개된 그의 전작 <쿤/포퍼 논쟁>이 이미 시사해주는 것이지만). 내가 그렇게 읽은 경우이다. 그 '읽기'는 나중에 여건이 된다면 다루기로 한다...

07. 11.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