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가을에 나온 황동규 시인의 시집이다. <오늘 하루만이라도>(문학과지성사). 절친 마종기 시인의 시집(<천사의 탄식>)과 앞서거니뒤서거니 나왔다. 이분들의 나이가 여든둘, 여든하나다. 마지막 시집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은 황동규 시인도 적었다("마지막 시집이라고 쓰려다 만다"). 딱히 그런 이유에서만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연말에 올해의 책을 꼽으면서 한국문학 작품으로는 이 시집을 골랐다(소설은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를 골랐다. 너무 '영화적'인 소설이었지만, 작가가 그 이상의 역작을 써낼 수 있을까? 그런 의미에서 골랐다). 이보다 앞선 시집은 <연옥의 봄>(2016)과 <겨울밤 0시 5분>(2015)가 있었다. 나로서도 대학 1학년 때부터 읽었으니 33년쯤 됐다(한 학기 강의를 들은 인연으로 내게는 음성지원이 된다). 시인은 1958년에 데뷔했으니 시력 62년이다. 첫번째 시가 '불빛 한 점'이고, 그 62년을 한 점으로 모으고 있는 시이다.
한창때 그대의 시는
그대의 앞길 밝혀주던 횃불이었어.
어지러운 세상 속으로 없던 길 내고
그대를 가게 했지. 그대가 길이었어.
60년이 바람처럼 오고 갔다.
이제 그대의 눈 어둑어둑,
도로 표지판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고
표지판들이
일 없인 들어오지 말라고 말리게끔 되었어.
이제 그대의 시는 안개에 갇혀 출항 못 하는
조그만 배 선장실의 불빛이 되었군,
그래도 어둠보단 낫다고 선장이 켜놓고 내린,
같이 발 묶인 그만그만한 배들을 내다보는 불빛.
어느 배에선가 나도! 하고 불이 하나 켜진다, 반갑다,
끄지 마시라.
마지막 연은 황동규 풍 그대로다. 안개에 갇혀 출항 못하는 조그만 배 선장실의 불빛 한 점이 시인이 찾은 현재의 '객관적 상관물'이다. 정확하고 재치있다(여든의 시인에게 쓸 말은 아니지만). 비록 여든의 나이는 아니더라도 한해의 마지막 날은 인생의 마지막 날과 같은 느낌을 잠시라도 갖게 한다. 지난 한해를 돌아보는 건, 한평생을 돌아보는 일의 축소판 아닐까. 우리 각자가 불빛 하나 켜두어도 좋은 밤인 것. 당신도 끄지 마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