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차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리시올)을 읽었다. 피셔는 영국에서 2000년대 이후 가장 주목받은 비평가였다는데 ‘K-punk‘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블로그 지식인이었다. <자본주의 리얼리즘>(2009)이 그가 펴낸 첫 책이고 이후 <내 삶의 유령들>(2014)와 <기이한 것과 으스스한 것>(2016) 등을 펴냈다. 2017년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는데 유작으로 <K-PUNK>가 나왔다. 이 책들을 모두 주문했으니 나로선 ‘전작 작가‘의 한 명이다.

제목이 암시하듯 피셔는 자본주의 이후에 대한 상상마저 봉쇄한 자본주의의 위세를 인정한다. ‘자본주의 리얼리즘‘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는 것. 그렇지만 19세기에 마르크스가 그랬듯이 그는 자본주의가 지속가능한 체제라고 보지 않는다. 포스트자본주의에 대한 상상과 모색은 그래서 필연적인 과제가 되지만 무엇을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알기 어렵다. 슬라보예 지젝과 마찬가지로 먼저 요구되는 것은 현 시대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다. 피셔는 이 인식을 문화비평의 형태로 제시한다. <자본주의 리얼리즘>은 좋은 문화비평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그의 작업 전반을 따라가 보려고 나머지 책들도 주문한 것인데 마침 지난주에는 <기이한 것과 으스스한 것>(구픽)도 출간되었다.

원저에는 들어있지 않은데 한국어판 <자본주의 리얼리즘>에는 부록으로 조디 딘과의 대담이 실려있다. <지젝의 정치학>이란 책의 저자로 접했는데 여러 권의 흥미로운 책을 더 썼고 최근에 <공산주의의 지평>(현실문화)이 번역돼 나왔다. 피셔는 ‘포스트자본주의‘라고 부르지만 딘은 전통적인 용어로 공산주의란 말을 계속 쓴다. 그렇지만 슬라보예 지젝에게서도 그렇듯이 이 공산주의는 새롭게 발명되어야 할 공산주의다. 딘의 책도 이번에 몇 권 주문했다. 지젝 이후 좌파이론의 향방에 대해서 두 저자를 참고해보려 한다...

PS. <자본주의 리얼리즘> 80쪽에서 ˝이것이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소비에트 국가의 실패를 ‘인정했던‘ 1965년 연설이 그토록 중대했던 이유다˝라는 문장이 나오는데 연도 표기가 잘못되었다. 확인해보니 원저에서부터 1965라고 잘못 표기되었다. 흐루쇼프(요즘 표기)의 유명한 연설은 1956년 제20차 전당대회에서의 비밀연설을 가리킨다. 1964년에 실각한 그가 1965년에 무슨 연설을 했다는 것부터가 상식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