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은 관심분야가 아니지만 ‘신학과 인문학과의 대화‘를 경청할 의사는 있다. 김용규 선생의 신작 <그리스도인은 왜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가?>의 부제가 바로 ‘신학과 인문학과의 대화‘다. 저자의 역저 <신>의 짝이 되는 책.

˝2018년 <신>(IVP)의 출간을 계기로 여러 차례 강연회가 열렸고, 그 강연회에서 초점을 맞춘 신학과 인문학의 관계를 다룬 강연 원고를 담았다. 우리는 니체가 예고한 신의 죽음과 그 이후의 풍경들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한 신의 죽음은 인간의 죽음으로, 신본주의 가치의 몰락은 동시에 인본주의 가치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것을 현실로 체감하는 가운데, 이제 전 지구적 불안과 공포가 일상을 휘몰아친다. 

호모 데우스의 시대 인간의 자리는 어디인지를 묻는 실존의 아우성이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크고 작은 폭력 속에서 ‘각자도생’의 길을 걷는 우리는 어디에서 길을 찾을 것인가? 이러한 절박한 물음 앞에서 이 책은 기독교 신학과 인문학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살피면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한편, 저자의 깊은 숙고와 통찰에 근거한 예언적 외침을 전한다.˝

신본주의 가치의 몰락이 인본주의 가치의 몰락으로 귀결되었다는 진단은 검토가 필요한데(상식적으로는 중세 신본주의 사회가 인본주의 사회였던가를 묻게 된다) 그렇다고 일리가 없는 건 아니다. 구조적으로 신본주의와 인본주의는 동형적이기 때문에 그렇다. 나로선 두 가치의 몰락보다는 극복과 지양이 여전히 화두로 보이는데 저자가 어떤 통찰을 제시하는지 궁금하다.

겸하여 예일대 오픈코스 시리즈로 데일 마틴의 <신약 읽기>(문학동네)도 최근에 나왔다. 시리즈의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최고 명문대학의 강의를 청강해볼 수 있는 기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