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08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리처드 번스타인의 <우리는 왜 한나 아렌트를 읽는가>(한길사)를 읽고 적었다. 아렌트 입문서가 여럿 나와 있는데, 각각의 특장이 있으므로 비교해서 읽어도 좋겠다. 그러고 보니 올해의 마지막 리뷰다...
주간경향(18. 12. 31) 아돌프 아이히만은 악의 화신이었나
20세기의 주요 정치사상가로서 한나 아렌트의 책은 대부분 소개되었고 안내서 또한 적지 않다. 그럼에도 리처드 번스타인의 책이 갖는 의의를 찾자면 저자가 아렌트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찾을 수 있다. 아렌트 사상의 주요 개념들 가운데 그는 특히 ‘난민’과 ‘악의 평범성’, 그리고 ‘혁명정신’에 주목한다. 다른 저자라면 ‘정치’나 ‘인간의 조건’ 등을 내세울 수도 있었다. 주제를 한정하는 건 아니지만 그것을 풀어나가는 방식을 바꿈으로써 저자는 아렌트를 이해하는 새로운 경로를 제시한다.
아렌트의 생애에 대한 간략한 스케치에 뒤이어 특별히 강조되는 것은 난민으로서의 경험이다. 나치 하의 독일에서 탈출하여 프랑스로 망명하고 다시 미국으로 건너갈 때까지 아렌트는 독일계 유대인 난민이었다. 미국에 이주해서도 정식으로 시민이 되기까지 그녀는 18년간 무국적자였다. 본래 난민은 어떤 행위나 정치적 견해 때문에 피난처로 내몰린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20세기의 역사는 그 의미를 변화시켰다. 아렌트도 그런 경우이지만 나치는 유대인 전체를 난민으로 만들었다. 아렌트는 자신의 경험에서 출발해 무국적 난민의 양산 과정을 성찰한다. 그리고 이 성찰은 전체주의 체제의 탄생과 그 유산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아렌트의 주저는 <전체주의의 기원>과 <인간의 조건>이지만 그녀를 유명인사로 만든 건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 취재기였다.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아렌트는 아이히만을 악의 화신이 아니라 평범한 인물로 묘사한다. 소위 ‘악의 평범성’이라는 말로 아렌트가 지적한 것은 순전한 무사유와 상상력의 결여였다. 아이히만은 유대인들을 강제수용소와 죽음으로 내모는 데 아주 능숙했지만 희생자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상상력을 결여하고 있었고 ‘확장된 심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후에 아렌트가 아이히만의 연기에 속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지만 악의 평범성 개념은 여전히 중요하다. 핵심은 악을 신화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화는 사유를 봉쇄한다. 거꾸로 사유를 중단하는 순간 우리를 아주 쉽게 악으로 인도될 수 있다는 것을 아렌트는 경고한다.
아렌트에게 인간은 무엇보다 정치적 동물이다. 인간 존재의 복수성, 즉 우리가 여럿이 함께 살아간다는 조건이 정치적 행위의 바탕이다. 행위로서의 정치란 복수성이라는 조건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적 공간을 보존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복수성을 제거하고 획일화하려는 전체주의는 정치가 아니라 반정치의 산물이다. 우리는 각자의 차별화된 관점을 갖고서 펑등하게 공적 공간에서 함께 행위한다. 그런 기회와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 다름 아닌 혁명이다.
아렌트는 1871년의 파리코뮌과 1917년 러시아의 소비에트, 그리고 독일 스파르타당의 봉기와 195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봉기 때의 평의회를 혁명정신의 사례로 지목한다. 저자는 거기에 덧붙여 1980년대 동유럽과 중부유럽에서 확산된 정치운동을 아렌트가 목도했다면 혁명정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추가적인 사례로 인용했으리라고 추정한다. 그리고 2016∼2017년 한국의 촛불시위도 마찬가지로 혁명정신의 발현이라는 사실을 적시한다. “시민이 함께하고 공동으로 행위하며, 공적 자유를 실천하고 역사의 경로를 바꿀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깊은 확신”이 바로 아렌트의 유산이며 우리 시대에 갖는 적실성이다.
18.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