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286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일본계 미국 역사학자로 하버드대학의 교수로 재직중인이리에 아키라의 <20세기의 전쟁과 평화>(연암서가)를 찾아 읽고서 적었다. 저자에게 주목한 건 최근에 나온 '하버드 C.H. 베크 세계사' 시리즈의 <1945 이후>(민음사) 책임편집을 맡고 있어서인데, 이리에의 전공 분야가 미국 외교사이고, 인터내셔널 내지 트랜스내셔널한 세계사에 대한 관심은 <20세기의 전쟁과 평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역사가가 보는 현대세계>(연암서가)도 <1945 이후>의 입문격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주간경향(18. 07. 23) 자기파괴와 자기재생, 전쟁의 양면성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아직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려우나 궁극적으로 전쟁이 아닌 평화가 우리의 선택지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그렇지만 평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이해당사국 간의 외교적 대화와 협상만으로 충분한가.


지난 20세기는 양차 세계대전을 포함해 전례없는 규모의 파괴와 살상으로 얼룩진 전쟁의 세기였다. 그렇지만 아이러니하게도 1900년에 20억명 정도였던 세계인구는 100년 사이에 3배 이상 증가했다. 전쟁과 내전으로 수천만 명이 희생되었지만 전쟁이 삶에 대한 인류의 희망을 다 꺾지는 못했던 것이다. 다르게 보면 전쟁의 역사는 자기파괴의 경험뿐 아니라 자기재생의 기회도 갖게 해주었다.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양면성이다.

인류의 역사가 전쟁으로 점철돼 있다고 하지만 20세기의 전쟁은 이전의 전쟁과는 다른 성격을 갖고서 출발했다. 20세기의 출발점이 된 1차 세계대전의 원인을 짚어보면서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차이다. 1914년 여름 이전에도 발칸반도에서는 1912년과 1913년에 무력충돌이 발생했었다. 그렇지만 이때는 주변 대국을 전쟁으로 끌어들이지 않았고 세계대전으로 비화하지 않았다. 하지만 1914년은 달랐다. 당시 대국의 하나였던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황태자가 세르비아라는 소국의 테러리스트에게 암살됐다. 오스트리아의 동맹국 독일이 개입하자 이 두 국가와 대립하던 러시아와 프랑스가 참전했고, 중립을 지키던 영국까지 독일에 선전포고함으로써 유럽의 대전이 시작되었다.

국지전쟁이 대전으로 발전하는 데 열쇠가 되는 것은 대국이다. 국제관계의 글로벌화가 열강을 낳고 열강들 간의 분쟁이 세계대전으로 번진다. 저자가 보기에 1차 세계대전의 배경이 된 것은 이러한 글로벌화의 진전이다. 교통과 통신수단의 비약적 발전과 무기기술의 발달로 20세기의 글로벌화는 더 가속되며 이것이 1차 세계대전보다도 훨씬 더 규모가 큰 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낳았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국지전쟁이 대규모 전쟁으로 발전한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에 저자는 주목한다. 1920년의 러시아·폴란드 전쟁이나 1935년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 그리고 1940년대의 중국내전과 1950년대의 한국전쟁, 1960년대의 베트남전쟁 등이 그러했다. 이 전쟁들을 국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이다. 강대국의 군사력뿐 아니라 국제기구, 세계 각지의 여론 등이 전쟁의 억지력으로 작용해 국경을 초월한 평화운동이 구축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저자는 한국전쟁의 의의를 새로운 시각에서 평가한다. 미·소 간 전면전에 이르지 않은 것은 두 나라가 핵전쟁으로의 확전을 바라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휴전’은 ‘평화공존’의 다른 말이었다. 이제 휴전체제를 넘어서 종전선언이 이루어지고 한반도에 평화체제가 구축된다면 평화를 위한 인류의 희망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게 될까. ‘20세기의 전쟁’의 교훈을 다시금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18. 07. 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