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가장 위대한 생각들 : 공간, 시간, 운동 우주의 가장 위대한 생각들
숀 캐럴 지음, 김영태 옮김, 이상재 북디자이너 / 바다출판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과학자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의 묘비명은 시인 알렉산더 포프(Alexander Pope)가 만든 것이다. 포프는 뉴턴을 과학의 교황(Pope)으로 칭송했다.



Nature and nature’s laws lay hid in night;

God said, “Let Newton be!” and all was light.

 

자연과 자연의 법칙은 어둠에 싸여 있다.

하느님께서 뉴턴이 있으라!” 하시자 모든 것이 밝아졌다.



뉴턴은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켜 스펙트럼을 만들었다. 빛은 여러 가지 색이 혼합된 가시광선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뉴턴은 공간, 시간, 운동에 관한 법칙들을 정립했다뉴턴의 운동법칙(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은 물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행성운동까지 정확히 설명했다.


뉴턴이 남긴 말은 묘비명보다 제일 유명하다. 거인의 어깨라는 표현이 더 많이 알려진 뉴턴의 명언은 사실 중세 철학자가 제일 먼저 한 말이라고 한다.[주1]



“If I have seen further it is by standing on the sholders of Giants.”


내가 멀리 볼 수 있었던 것은 거인의 어깨 위에 있었기 때문이다.”

 


뉴턴에게 어깨를 내어준 거인은 뉴턴이 태어나기 전에 활동한 과학자다. 누군가는 거인의 정체가 데카르트(Descartes)라고 주장한다뉴턴은 대학생 때 남긴 노트에 제일 친한 친구를 언급했다.



“Amicus Plato, amicus Aristoteles, magis amica veritas.”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은 내 친구지만, 최고의 친구는 진리다.”

 


대부분 사람은 뉴턴을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과 함께 위대한 과학자로 거론한다. 이 때문에 뉴턴의 성취는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천재성이 발현된 결과로 알려졌다. 그래서 우리는 뉴턴의 운동법칙보다 땅바닥에 떨어진 사과를 보자마자 중력의 실체를 발견한 뉴턴의 경험담을 더 기억한다. 뉴턴의 지인은 말년의 뉴턴이 사과와 관련된 일화를 들려줬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해당 주장 진위는 불분명하다.


뉴턴을 신이 내린 과학의 교황, 또는 천재로 바라보지 말자. 과학은 가설을 세운 다음에 검증을 거쳐서 진리의 탑을 세우는 학문이다. 이 진리의 탑에 맞지 않는 또 다른 가설이 진리로 확증되면 과학자들은 공든 탑을 무너뜨려야 한다. 과학이 발전하려면 검증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따라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과학자라도 절대로 교황으로 칭송하면 안 된다과학자의 권위가 강력해지면 검증을 거부한다. 이러면 다른 가설을 제시하는 분위기가 형성할 수 없다


뉴턴의 친한 친구인 진리, 그 친구를 만나기 위해 오르려고 했던 거인은 수학과 관련이 있다. 데카르트는 좌표를 도입한 수학자다. 뉴턴은 독자적인 방식으로 미적분을 고안했다과학의 역사를 살펴볼 때 물리학자와 천문학자들은 수리적인 도구를 많이 이용했다. 그들이 많이 즐겨 쓴 수리적 도구는 방정식이다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숀 캐럴(Sean M. Carroll)의 물리학 강의 3부작 우주의 가장 위대한 생각들(The Biggest Ideas in the Universe)’ 1공간, 시간, 운동(Space, Time, and Motion)은 뉴턴역학과 아인슈타인의 (특수, 일반)상대론이론 등의 고전물리학 법칙들을 탄생하게 만든 방정식을 소개한다대부분 이론물리학 분야 책은 깔끔하게 정리된 법칙만 보여주는 결과를 알려준다. 하지만 공간, 시간, 운동은 법칙이 만들어지고 지금의 형태로 완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필자와 같은 과학 비전공 독자는 결과만 보는 일에 익숙하다. 그러므로 수학의 언어인 방정식이 동원되면서 가설이 이론으로 발전되는 검증 과정을 읽는 일이 쉽지 않을 수 있다. 걱정하지 마시라. 저자는 독자들에게 방정식을 풀어보라고 과제를 내주지 않는다. 이해되지 않으면 넘어가도 좋다. 그 대신에 방정식의 역할은 꼭 알아두자. 방정식은 물리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좀 더 간결한 형태로 표현하는 데 필요한 수리적 도구다.


특수상대성이론이 위대한 생각인 이유는 뉴턴역학의 중요 개념인 절대 시간절대 공간을 뒤집어 놓았기 때문이다. 특수상대성이론을 설명할 때 언급되는 법칙이 질량(M)-에너지(E) 등가원리다. 이것을 수학의 언어로 표현하면 ‘E=MC2’.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 방정식은 원자력, 원자폭탄, 원자력 발전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만약 아인슈타인이 수학에 완전히 눈길을 주지 않았으면 상대성이론이 세상에 알려지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을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리만 기하학(Riemannian geometry)을 공부했다. 똑똑한 아인슈타인이 수학을 공부했다는 표현이 낯설게 보일 것이다. 놀랍게도 사실이다


유클리드 기하학(Euclidean geometry)은 평면 위에 있는 점과 선으로 공리를 증명한다. 무조건 평면이어야 한다. 리만 기하학은 말 안장 또는 감자칩(프링글스)처럼 생긴 구부러진 곡면을 다룬다. 그래서 리만 기하학을 비 유클리드 기하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인슈타인은 유클리드 기하학에 익숙했고, 당시 리만 기하학은 소수의 수학자들만 이해할 수 있었던 생소한 수리적 도구였다. 처음에 아인슈타인도 시공간이라는 개념 자체를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혼란스러운 아인슈타인에 도움을 준 사람은 동료 물리학자가 아니라 수학자였다. 아인슈타인에게 수학을 가르친 헤르만 민코프스키(Hermann Minkowski)와 마르셀 그로스만(Marcel Grossmann)아인슈타인의 머릿속에 흐릿하게 맴돌던 시공간 개념이 태어나도록 도운 산파였다. 곡면과 곡선도 수리적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비로소 받아들인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물리적인 가 아니라 구부러진 시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공간시간운동에 소개된 모든 방정식을 다 이해하지 못했다저자는 생각보다 미적분의 기본 개념들이 이해하기 쉽다(50~51)’고 했다계산하는 일에 능숙하지 못한 필자는 여전히 미적분이 어렵다수학을 깊이 공부해 본 독자라면 어느 정도 친근감이 있겠지만그렇지 않은 이들에게는 접근하기 힘들 수 있다하지만 수학보다 제일 어려운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이 책에서 다룬 공간, 시간, 운동이다공간시간운동은 일상적으로 친숙한 용어이지만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설명하기 어렵다따라서 수학은 우리 눈이 볼 수 없는 공간시간운동이 무엇인지 보여주게 만드는 실용성을 갖춘 렌즈다수학자들은 이 렌즈를 갈고 깎아서 방정식을 만들었다공간, 시간, 운동을 다 읽고 난 후에 거인의 어깨’를 요렇게 바꿔 쓰고 싶었다. 


 “내가 멀리 볼 수 있었던 것은 수학자의 어깨 위에 서서 그가 만든 방정식 망원경을 들여다보고 있었기 때문이다.”

 





※ cyrus의 주석과 정오표

   



[주1] 12세기 프랑스의 스콜라 철학자 샤르트르의 베르나르(Bernard of Chartres)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dwarves perched on the shoulders of giants)’라는 표현을 썼다. 여기서 말하는 거인은 고대인, 난쟁이는 현대인을 뜻한다. 중세를 배경으로 한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의 소설 장미의 이름》(열린책들, 합본 154쪽)에 윌리엄 수도사가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난쟁이’를 언급한.


 

 “그래요, 우리는 난쟁이들입니다. 그러나 실망하지 마세요. 우리는 난쟁이는 난쟁이되, 거인의 무등을 탄 난쟁이랍니다. 우리는 작지만, 그래도 때로는 거인들보다 더 먼 곳을 내다보기도 한답니다.”


  



* 54

 




 하위헌스는 원운동이 가능하도록 돌에 주어야 할 구심력의 양을 계산하는 공식을 유도했습니다(또 그는 빛의 파동이론을 제안했고, 진자시계를 발명했으며, 토성의 위상[주2]인 타이탄을 발견했습니다. 모두 그가 자신의 전성기일 때 한 일들입니다).

 

[주2] 위성(衛星)’의 오자.





* 78

 




 아이작 뉴턴이 자신의 법칙들을 발표한 이후, 기본적인 물리계에 대한 수많은 법칙이 제안되었습니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전기와 자기에 관한 일련의 방정식을 제시했습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시공간의 곡률에 관한 방정식을 제안했습니다. 에르빈 슈뢰딩거는 양자역학의 파동함수에 관한 방정식을 제안했고, 다른 많은 제안이 뒤를 따랐습니다. 이들 모두가 가진 공통점은 모두가 미분 방정식입니다. 즉 어떤 대상을 기술하든 상관없이 이들 방정식은 도함수(시간에 대한 도함수, 또 흔하게는 공간에 대한 도함수)포함하고 있다고[주3] 것입니다. 이 때문에 물리학 연구에서는 미적분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주3] 있다는의 오자.





* 245

 




 마침내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시공간 자체의 곡률을 표현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대단히 귀중한 깨달음이지만, 이것을 적절한 방정식들의 집합으로 나타내지 못한다면 실질적인 물리학 이론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런 방정식들은 기하학, 특히 리만 기하학(Riemanian geometry)[주4]에서 나올 것입니다.

 

[주4] 알파벳 ‘n’이 빠졌다. 독일의 수학자 리만의 알파벳 철자는 ‘Riemann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24-01-24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흥미롭게 읽다가 방정식 얘기가 나오는 순간 흥미가 식어 버렸어요. 수학이라니! 저는 읽지 못할 책일것 같아요. 과거의 철학자들은 과학자이기도 했지만, 수학자이기도 했죠. 제가 유일하게 공감할 수 있는 과학자는 수학을 못 했던 다윈 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cyrus 2024-01-27 20:53   좋아요 0 | URL
솔직히 수학 분야의 책을 읽을 때 계산하는 방식을 설명한 내용을 과감히 건너뜁니다. 학창 시절에 답이 나올 때까지 수학 문제를 풀곤 했는데, 화장실 가는 것을 거를 정도로 계속 자리에 앉아서 수학 문제를 풀었어요. 하지만 수학 성적이 좋지 않았어요. 수능 수리 영역에서 고득점을 못 받았고요. 그래서 계산하는 일이 즐겁지 않아요. ㅎㅎㅎ
 




대구 책방 <일글책> 고전 읽기 모임이 올해로 2년째다. 지난해는 고대 그리스 고전 문학을 읽었다면, 이번 해는 고대 서양 철학을 본격적으로 읽어 나간다. 첫 번째 텍스트는 플라톤(Plato)의 대화 편 소크라테스의 변명(또는 변론)이다. 1월 6일 올해 첫 번째 토요일이 바로 올해 첫 모임 날이었다. 하지만 그날 나는 서울에 가야 해서 모임에 나오지 못했다.


















[대구 책방 <일글책고전 읽기 모임 선정 도서, 파이데이아 독서 목록 2년 차]

* 플라톤, 천병희 옮김 소크라테스의 변론 / 크리톤 / 파이돈 / 향연(도서출판 숲, 2012)

 

* 플라톤, 강철웅 옮김 소크라테스의 변명(아카넷, 2020)

 



독서 모임을 위해 읽어야 할 『소크라테스의 변명번역본은 천병희 교수의 책(이하 변론’)으로 정해졌다다른 후보 번역본은 정암학당 소속 연구자들이 번역한 아카넷 판본(이하 ‘변명’)이었다. 나는 이 책을 추천했다.


아카넷 판본의 플라톤 전집본문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옮긴이의 각주가 많은 편이다옮긴이는 변명』에 묘사된 소크라테스의 재판 장면뿐만 아니라 당시 아테네의 모습과 사회적 분위기를 상세하게 설명했다. 나처럼 텍스트를 깊이 읽는 독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주석 읽기를 즐긴다. 하지만 친절한 주석이 너무 많아도 문제다.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주석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천 교수의 변론은 각주의 양이 적다. 그래서 주석의 유혹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본문 읽기에 집중할 수 있다.


그런데 변론의 각주 중에 검토해야 할 것이 있다.

 


* 각주 9, 25쪽

 

 Leontinoi, Gorgias, Keos, Prodikos, Elis, Hippias. 이들은 이 무렵 아테나이에 와서 활동한 이름난 소피스트들이다.



출신지와 고대 철학자 이름을 같이 쓸 땐 중간에 쉼표를 넣지 않는다출신지 of 철학자 이름식으로 써야 한다. 따라서 각각 ‘Gorgias of Leontinoi’, ‘Prodikos of Keos’, ‘Hippias of Elis’로 표기해야 한다. 



















강철웅 옮김 소피스트 단편 선집》 (전 2권, 아카넷, 2023)

* 루이-앙드레 도리옹, 김유석 옮김 소크라테스》 (소요서가, 2023)




각주 10번 소피스트에 대한 천 교수의 설명은 소크라테스(Socrates)와 소피스트를 철저히 구분하는 기존의 견해를 답습하고 있다.



* 각주 10, 25

 

 소피스트는 원래 특수한 기술이 있는 지자(知者)라는 뜻인데, 기원전 5세기에 이 말은 보수를 받고 지식을 전수하는 순회 교사들을 지칭했다. 그들은 지리, 수학, 문법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쳤으나 출세를 위하여 젊은이들에게 주로 수사학을 가르쳤다.



수사학의 핵심은 로고스(logos)’, 이다. 로고스의 중요성을 강조한 소크라테스는 직접 글을 쓰지 않았다. 고르기아스는 말이 가진 설득의 힘이 인간의 영혼을 움직이는 신적인 힘과 맞먹는 것으로 이해했다. 당시 그리스인은 설득의 힘을 신령스러운 능력으로 받아들였다.


이처럼 고르기아스는 설득의 힘을 가진 로고스를 (arete)보다 중요하게 인식했다. 그러나 모든 소피스트를 덕의 기능에 무관심한 수사학 전문 교사로 규정할 수 없다. ‘첫 번째(최초의) 소피스트로 알려진 프로타고라스(Protagoras)는 말과 덕의 기능 모두를 가르치는 일에 매진했다. 그는 고르기아스와 다르게 덕의 교사임을 자처했다.


천 교수의 각주 10번은 소피스트를 소크라테스와 대비되는 비 철학적 학파로 보는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소크라테스 대 소피스트는 고대 철학의 주류 견해로 오랫동안 자리 잡았으나 소피스트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거의 밀려난 상태다. 소크라테스를 묘사한 고대 철학자들의 텍스트들을 연구한 루이 앙드레 도리옹(Louis-Andre Dorion)은 자신의 책 소크라테스(소요서가, 2023)소피스트들도 소크라테스처럼 철학적 질문을 성찰의 특별한 대상으로 삼았음을 인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프루 GD 시리즈
티아구 호드리게스 지음, 신유진 옮김, Nyhavn 사진 / 알마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희곡 가게 <인스크립트> 2024‘1월의 인스크립트추천 도서]


<인스크립트> 인스타그램 계정

https://www.instagram.com/inscriptbooks/





유령은 희끄무레하다. 보이지 않고, 만질 수도 없다. 이와 반대로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유령이 있다. 이 유령의 이름은 엑토플라즘(ectoplasm)’이다. 이것은 유령이라기보다는 신비로운 물질에 가깝다. 엑토플라즘은 영매(靈媒)의 몸에서 나온다. 그것하얗고 끈끈한 액체로 되어 있다. 엑토플라즘이 흘러나오는 부위는 입, 콧구멍, 귓구멍이다밖으로 나온 엑토플라즘은 죽은 자의 모습으로 변한다사람들은 엑토플라즘이 영혼의 실체를 밝혀 줄 수 있는 물적 증거로 확신했다. 그들은 엑토플라즘을 사진으로 촬영했다. 하지만 엑토플라즘을 찍은 사진 대부분은 조작되었거나 가짜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간은 항상 뜨겁다. 시간은 식을 줄 모르고 계속 앞으로 나아간다. 열기를 내뿜는 시간 앞에서 살아있는 존재는 맥을 못 춘다. 파릇파릇한 생명은 점점 누렇게 변하면서 사라진다. 기억은 정교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시간의 열기가 닿는 순간 기억은 원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사르르 녹는다이처럼 시간은 모든 것을 태우고 파괴한다엑토플라즘이 가짜라고 해도 죽은 자를 잊지 못한 사람들은 죽은 자가 엑토플라즘으로 다시 태어나길 바란다. 영매는 시간에 태워져서 재로 남은 기억을 뭉쳐서 복원한다.


<소프루>는 무대 위에 열연(熱演)하는 배우들, 이 사람들의 뜨거운 연기 열정을 덥혀 주는 극장에 다시금 불을 지피는 희곡이다. 소프루(sopor)’는 포르투갈어로 을 뜻한다. 우리가 내쉬는 숨은 눈에 보이지 않고, 한순간에 사라진다. 배우들의 연기도 마찬가지다. 배우는 무대 위에 오르기 전에 캐릭터(character)와 한 몸이 된다. 캐릭터가 된 배우는 숨 쉬듯이 연기한다. 종이에서 살고 있던 캐릭터는 무대에서 다시 태어난다배우는 온몸을 이용해 캐릭터의 성격을 보여주고, 표정과 목소리로 캐릭터의 감정 상태를 표현한다. 관객은 배우들의 숨소리(연기)와 숨결(연기력)에 집중한다. 연극이 끝나고 나면 배우의 몸속에 캐릭터는 남아 있지 않다. 무대 위에서 숨이 되어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극장에 배우만 있는 게 아니다. ‘그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살아 있다. 하지만 관객은 그 사람을 볼 수 없다. 그 사람의 정체는 프롬프터(prompter)프롬프터는 무대 근처에 있다. 배우들이 열심히 숨 쉬는 무대 뒤쪽이나 아래쪽에. 프롬프터는 무대 근처에 숨어 있다. 배우들을 바라보면서 그들의 대사를 읊어준다. 캐릭터가 된 배우가 숨 쉬는 도중에 동작과 대사를 잊어버리면 캐릭터의 생명력이 끊긴다. 프롬프터는 배우를 위해 다음 동작과 대사를 알려준다. 그러므로 프롬프터는 배우와 캐릭터를 살리는, 아주 중요한 존재다.

 

<소프루>에 등장하는 예술감독은 프롬프터의 역할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예술감독은 프롬프터가 주인공인 연극을 만들고 싶어 한다.

 


 프롬프터, 당신을 말하고 싶어요. 프롬프터를 연기하는 배우가 아니라, 진짜 프롬프터인 당신이 무대 위에서 배우들에게 대사를 알려주고 그들을 구조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요. 사고를 다루는 이야기를 쓰는 거죠. 사고가 났을 때의 구조대원 이야기요. 나는 당신을 위한 연극을 쓸 거예요


(<소프루> 3, 12)

 


평생 숨어 있는 존재로 살아온 프롬프터는 예술감독의 제안을 거부한다. 프롬프터는 항상 시커먼 옷을 입는다. 보이지 않으려고 철저히 숨으면서 살아온 프롬프터는 화려한 조명 빛을 받아야 하는 무대 정중앙이 낯설다예술극장은 프롬프터를 극장의 호흡’, ‘극장의 기억’, ‘극장의 허파’(<소프루>, 19, 80)로 표현하면서 찬사를 보낸다. 프롬프터는 자신과 함께 일했던 배우들의 숨소리를 기억하기 위해 기록한다.


 

 나는 대사에 밑줄을 긋고 날짜를 적어뒀습니다. 늘 그렇게 해왔어요. 만약 누군가 극장의 기록 보관소에서 내가 프롬프터로 참여했던 모든 대본을 찾는다면, 내가 지금까지 일하는 동안에 속삭였던 모든 대사들을 정확히 알 수 있을 겁니다.

 

(<소프루> 20, 82)

 


<소프루>의 프롬프터는 배우뿐만 아니라 스태프들도 기억한다. 스태프는 배우가 숨 쉴 수 있는 무대를 만든다관객은 무대 위에 흘린 배우의 땀을 기억하지만, 무대를 만들다가 흘린 스태프의 피는 모른다. 그래서 프롬프터의 기억력은 소중하다.


프롬프터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직업이다. 그러나 프롬프터가 없으면 배우와 캐릭터의 숨소리도 영영 사라진다. 프롬프터는 뜨거운 시간 한가운데 뛰어들어 타버린 배우와 캐릭터 모두를 다시 살릴 수 있는 존재다. 따라서 <소프루>는 프롬프터의 눈과 입에서 흘러나온 액터플라즘(actorplasm)’이다. 액터플라즘이 많을수록 좋다. 한 번 나오는 순간 금방 사라지는 배우의 숨소리를 다시 볼 수 있으니까.


아, 그런데 프롬프터가 진짜로 사라진다면 이 일은 누가 해주지? 극장을 찾는 관객이 하는 수밖에…‥




우리는 극장에서 모두 같은 공기를 마십니다.

 

배우, 스태프들, 인물들. 우리는 같은 공기를 마십니다.

 

어쩌면 그래서 우리는 늘 같은 이야기로 되돌아오는 것입니다.

 

우리는 같은 공기를 마십니다. 우리는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각자만의 방식으로 숨을 쉬지만 그 공기는 같습니다.

 

나는 그들이 숨을 쉬는 것처럼 숨을 쉬어보려고 합니다.



(<소프루> 16, 57~59, 프롬프터의 대사)

 

 

관객도 배우와 함께 호흡하고, 같은 공기를 마신다. 관객인 나는 배우들이 숨 쉬는 것처럼 숨을 쉬어보려고 한다. 비록 정확하지 않더라도 나만의 액터플라즘을 만들 것이다. 





추신

 

* 소프루》에 <소프루><그녀가 죽는 방식>, 총 두 편의 희곡이 실려 있다.

 

* ‘actor’남자 배우를 뜻한다. 여배우는 ‘actress’를 쓴다. 하지만 내가 만든 조어 액터플라즘(actorplasm)에 남배우/여배우로 명시되는 젠더 이분법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배우의 연기 활동을 설명할 때 자주 거론되는 기준들, 즉 연령(성인 배우/아역 배우), 연기 비중(주연/조연/단역) 또한 배제되어 있다. 따라서 액터플라즘의 액터배우를 통칭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삶의 이야기를 쓰는 법 - 『은유의 글쓰기 상담소』 저자 은유 추천
낸시 슬로님 애러니 지음, 방진이 옮김 / 돌베개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글쓰기는 종이 위에 호흡하는 일이다. 숨을 들이쉬면 산소를 마시고, 내쉴 때마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우리 몸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산소의 농도가 낮아진다. 이때 숨이 가빠지면서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우리 삶의 이산화탄소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느낀 부정적인 감정들이다부정적 감정의 생김새는 다양하다분노는 시간이 지나도 화를 품고 있어서 항상 시뻘겋게 달아오른다. 질투와 미움은 타인의 마음을 찌르는 날붙이다. 열등감은 내 마음을 쪼그라들게 하는 감옥이다. 좁은 열등 감옥에 오랫동안 갇히면 마음의 몸집이 작아진다. 열등 감옥 수감자는 작아져서 초라해진 자신의 존재를 더더욱 감추려고 한다이산화탄소 농도가 짙은 삶은 정신 건강에 해롭다. 건강한 내 삶을 지키고 싶으면 글을 써보자종이에 대고 이산화탄소를 뱉자.[주] 어떻게 하면 뱉을 수 있을까.


내 삶의 이야기를 쓰는 법은 종이에 호흡하기, 즉 글쓰기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책이다. 호흡과 글쓰기의 공통점은 생명 활동이다. 호흡하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다. 글을 쓴다는 것 또한 내가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일이다이 책에서 말하는 내 삶의 이야기는 자전적 수필(essay)을 뜻한다자전적 수필을 쓰려면 부정적 감정의 이산화탄소를 끄집어내서 뱉어내야 한다. 부정적 감정의 이산화탄소는 자기 자신과 상대방을 죽일 수 있는 살인 기체. 하지만 살인 기체가 종이를 만나면 이라는 울창한 숲이 생긴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글 숲은 글 쓰는 사람을 위한 치료제다부정적 감정의 이산화탄소에 중독되면 삶이 무기력해진다글을 쓰면 정신이 개운하다. 글 숲의 주인은 글쓴이다. 글 숲의 주인은 자신의 이야기를 소리 높여 외친다. ‘나는 이런 사람이야, 이런 것들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고, 지금 나는 여기에 있어(13)’라고.


저자는 글 쓰는 사람의 영혼은 배움을 즐기고, 자신을 위해 성장하고, 성찰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한다. 글 쓰는 사람의 영혼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이다. 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뜻을 가진 단어다. 긍정적인 의미의 얼은 정신과 영혼이다. 반면 부정적 의미의 얼은 밖으로 드러나 있는 흠 또는 다른 사람 때문에 겪는 피해. 자전적 수필은 얼의 두 가지 얼굴이 있는 글이다. 글에서 표현된 얼의 한쪽 얼굴은 글쓴이의 내면 상태다. 글을 쓰면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알 수 있다. 자전적 수필에 늘 좋은 일만 있는 건 아니다. 내가 숨기고 싶은 흠이나 약점을 솔직하게 글로 표현할 수 있다. 또 타인의 말과 행동으로 생긴 마음의 상처가 어느 정도인지 진단하기 위해 기록하기도 한다. 따라서 자전적 수필은 글쓴이의 얼이 담긴 얼글이다.


우리는 상황과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한다. 자전적 수필을 꾸준히 기록하면 시시각각 달라진 내 삶을 되돌아볼 수 있다. ‘글 숲이 우거질수록 이야기는 풍성해지고, 이야기의 주인공이자 글 숲 주인의 모습과 얼도 다양해진다. 한 사람이 종이에 만든 글 숲속에 얼의 화음이 메아리가 되어 울려 퍼진다. 하나의 글 숲은 ()의 얼글이다.





[] 김수영의 시 의 시구들(‘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자’, ‘밤새도록 고인 가슴의 가래라도 / 마음껏 뱉자’)를 인용해서 패러디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1-05 10: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1-08 06: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 정암고전총서 플라톤 전집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 / 아카넷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점


4점  ★★★★  A-





여러분, 저는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지금 제 머릿속에 텅텅 비어 있는 상자들로 가득하답니다. 그 상자의 정체는 ‘무지()’이에요. 이 무지함에 무얼 채워 넣어야 할까요? 저는 책을 삽니다. 제가 책을 읽으면 눈동자는 바삐 움직여요. 무지함에 담을 만한 지식을 찾는 거죠. 그 순간 뇌도 분주해요. 눈동자를 통과한 지식을 무지함에 담을 수 있게 깎고, 자르고, 다듬어요.


책 한 권을 다 읽으면 비어 있는 무지함이 한 개도 남아 있지 않아요. 아무것도 없어서 새까맸던 무지함은 잘 정돈된 지식을 품은 똑똑함()’으로 변하거든요.똑똑함은 빛이 나요. 똑똑함이 많은 사람의 생각은 눈이 부실 정도로 밝아요. 그들이 주로 하는 일은 무지함이 많은 사람을 만나는 거예요.


똑똑한 사람이 타인을 만나면 제일 먼저 말을 걸어와요. 타인과 대화할 때 똑똑함의 빛으로 상대방의 말을 두드려 봅니다. 똑똑, 가벼운 말 속에 아무것도 없어요. 똑똑, 계속 두드리면 이상한 소리가 나요. 개가 짖는 소리가 아닌데도 사람들은 그 소리를 개소리라고 불러요. 개소리는 무지한 사람의 귀에 잘 들리지 않아요똑똑한 사람은 무지한 사람이 보이면 자신의 빛을 쏘아 대요. 국어사전은 이런 행위를 계몽(enlightenment)’이라고 알려주네요. 우리는 책을 많이 읽으면 똑똑해질 수 있다고 믿어요. 누구나 선망하는 똑똑한 빛은 책을 많이 읽은 기업가의 빛일 거예요. 그들의 빛은 재물(財物)이 되니까요.


, 여러분. 여러분에게 질문할게요. 똑똑한 빛의 강도가 세면 좋은 걸까요? 책을 많이 읽으면 우리의 똑똑한 빛은 영원히 화려할까요? 책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찬찬히 검토해 봅시다.


똑똑한 사람은 무지를 경멸해요. 계몽주의자는 무지로 어두운 세상을 원하지 않아요. 본인은 똑똑하다는 자신감은 계몽을 위해 쓰이는 빛의 강도를 높여줘요. 그런데 똑똑하다고 자부했던 사람들이 왜 어리석은 짓을 하는 것일까요? 앞서 제가 개소리하는 사람들은 본인의 말에서 이상한 소리를 듣지 못한다고 했어요. 본인의 무지함을 잘 모르는 거죠. 여러분, 똑똑함을 100개든 1,000개든 엄청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도 무지해요. 똑똑하다고 자신만만한 사람은 정작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알지 못하거든요. 이를 심리학 용어로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라고 해요. 모른다는 사실을 모르면 자신이 알고 있는 것만 크게 부풀려서 상대방에게 보여 주려고 해요. 똑똑함의 빛이 과장되면 그 빛나던 상자는 오만함()’으로 변해요오만함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아요. 오히려 오만한 빛으로 자신의 생각과 다른 타인을 공격하며 제압하려고 해요. 오만한 사람들이 많아지면 세상은 밝아지기는커녕 빛 좋은 개소리가 더 많아집니다. 겉은 화려해도 속은 칙칙한 빛이죠.


여러분, 저는 똑똑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아요. 그래서 책을 읽을 때도 항상 무지함 한두 개는 따로 챙겨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의 머릿속에는 똑똑한 상자뿐만 아니라 무지한 상자도 여러 개 있었을 거예요. 소크라테스는 본인은 무지하다고 생각하면서 살아왔거든요. 그는 자신이 똑똑한지, 아니면 상대방이 똑똑한지 검토하기 위해 상대방에게 말을 걸었어요. 질문이 계속 쏟아져 나오는 소크라테스가 익숙하지 않은 아테네인들은 불만이 많았어요. 결국 멜레토스(Meletus)라는 사람이 소크라테스를 고발했습니다. 아테네 법정에 선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행동이 정당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면서 검토 없이 사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소크라테스의 변명38a, 101)’라고 말합니다.


여러분, 저는 항상 책을 검토하듯이 읽어요. 한 개의 단어가 눈동자를 지나가다가 걸리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거든요. 이때 저는 생각해요. 책에 적힌 단어의 정의가 과연 사실일까? 아니면 내가 지금까지 단어의 정의를 잘못 알고 있었나? 제일 먼저 의심합니다. 책 읽기를 멈추고 단어를 검토해 봅니다. 단어의 정의를 뒷받침해 주는 타당한 근거나 단어의 정의를 다르게 보는 견해를 찾기 위해 책을 또 사고, 또 읽습니다. 여러 권의 책을 요리조리 보면서 검토하면 내가 무지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만약 검토 없이 책을 읽는 삶을 살았더라면 나의 무지함을 제대로 보지 못했을 거예요.

 

똑똑함에 보관된 싱싱한 지식은 시간이 지나면 시들어요. 삭은 지식은 버려야 해요. 똑똑함 속에 담긴 지식을 검토해야 해요. 그러려면 제일 먼저 내가 똑똑하다는 자신감을 덜어내야 해요. 똑똑함의 빛이 과하면 나의 무지함이 보이지 않아요. 그러면 더닝 크루거 효과와 같은 편견에 빠지게 돼요. 똑똑한 사람이 무조건 지혜로운 건 아니에요. 소크라테스는 무지한 자신이야말로 지혜롭다고 믿었어요. 만약에 자신이 방면되면 숨 쉬고 있고 할 수 있는 한 지혜를 사랑하는 일(29d, 74)’을 절대로 멈추지 않을 거라고 포부를 밝혔어요. 자신의 존재를 의심하지 않은 데카르트(Descartes)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Cōgitō ergo sum, 코기토 에르고 숨)’라고 말했어요. 소크라테스가 법정에서 발언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았더라면 이렇게 말했을 겁니다. 나는 모릅니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입니다.’

 

여러분. 내 삶을 검토하기 위해서 책을 많이 사고, 글 쓰는 일이 좋은 일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여러분은 이런 나를 잘 이해하지 못할 겁니다. 그래도 저는 제 일이 즐거워요. 그래요, 저는 내년에도 지혜를 사랑할 예정입니다.[주] 저는 모르는 것이 많거든요.





* 函(지닐 함): 옷이나 물건 따위를 넣을 수 있도록 네모지게 만든 통



[] 어제 12월 31일에 서평을 썼다서평 제목은 변윤제의 시 내일의 신년, 오늘의 베스트 마지막 문장 ‘그래요, 저는 내년에도 사랑스러울 예정입니다 패러디했다. 이 시가 실린 시집 제목은 저는 내년에도 사랑스러울 예정입니다(문학동네, 2023)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넬로페 2024-01-01 15: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혜를 사랑하고.
즐겁기때문에 책을 읽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매번 저의 무지함 상자는 1000개가 넘습니다.
더 읽어야겠어요^^

cyrus 2024-01-05 07:41   좋아요 1 | URL
올해는 읽고 쓰는 일에 좀 더 시간을 투자해야겠어요. 작년에 책도 많이 읽고, 공연도 보고, 재미난 경험을 많이 했는데 글로 쓰지 못한 게 아쉬웠어요. 저는 무지함도 많고, ‘나태함’도 많아요 ㅎㅎㅎ

서니데이 2024-01-01 18: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cyrus님 오늘부터 2024년입니다.
새해에도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새해복많이받으세요.^^

cyrus 2024-01-05 07:41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페크pek0501 2024-01-01 18: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예전에 읽었던 책이라 반갑네요.
새해에도 건강과 건필, 기원합니다.

cyrus 2024-01-05 07:42   좋아요 1 | URL
페크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필하세요. ^^

은오 2024-01-01 2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이러스님의 읽기 너무 멋지고 존경스럽습니다.. 내가 알고 있는 단어의 정의를 의심하고 검토하고 또 읽고.... 이렇게 해야 사이러스님처럼 서평을 쓸 수 있는 거군요?! 🥹

cyrus 2024-01-05 07:46   좋아요 0 | URL
틀리더라도 책을 비판적으로 읽어보려고 해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지만, 해보면 재미있어요. 내가 몰랐거나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을 알고, 책의 저자 또한 실수하고 착각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거든요. ^^

새파랑 2024-01-02 06: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올해는 좀 지혜로워 졌으면 ㅡㅡ 사이러스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지혜 사랑이 계속되길 바라겠습니다~!!

cyrus 2024-01-05 07:47   좋아요 1 | URL
새파랑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꼬마요정 2024-01-02 12: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멋있어요!! 저는 cyrus 님 글을 보며 제 무지를 깨닫습니다. 게을러서 무지함을 알지만 개선 못하는 저를 또 반성합니다. 존경해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cyrus 2024-01-05 07:48   좋아요 1 | URL
저도 게으른 편이라 무지함 다음으로 많은 게 ‘나태함’이에요 ㅎㅎㅎㅎ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얄라알라 2024-01-02 2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새로운 형식의 리뷰 멋져요! 완전 독창적이고 지성미 뿜뿜! 2024 리뷰 문화를 선도하실 듯한 이 예감!

cyrus 2024-01-05 07:49   좋아요 0 | URL
다양한 형식으로 글을 써보려고 해요. 철학과 과학 같은 독자들이 어려워하는 주제의 책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기 위해서 고민하고 있답니다.. ^^;;

transient-guest 2024-01-03 02: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뭔가를 남기는 독서가 너무 어려워서 그냥 읽는 행위에서 즐거움을 찾는 것에서 만족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cyrus 2024-01-05 07:50   좋아요 1 | URL
t-guest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stella.K 2024-01-05 1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귀엽고 야무지게 썼구만. ㅋ 정말 글을 자꾸 쓰다보면 단어에 집착이 생겨. 내가 지금 이 단어를 잘 쓰고 있는지 단어가 뜻하는 바를 정확히 알고 쓰는지. 하지만 난 너처럼 꼬리에 꼬리를 물고 책을 사지는 않지. 그럼 머리가 아파질 거 같아서. 그냥 무지함에 넣기로하는 거지 뭐. ㅋㅋ

cyrus 2024-01-08 06:39   좋아요 0 | URL
올해는 도서관에 책을 빌려 보기로 했어요. 해를 거듭할수록 도서 지출비가 늘어나고 있어서 이제는 줄일 필요가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