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00. 증기 기관차 미카 (안도현)

큰 줄거리가 있다기보다는 각 장마다 인생살이에 대한 비유적 이야기가 오래된 증기 기관차와 그의 옛 기관사의 대화로 이어진다. 사족 같은 마지막 장은 기관사 할아버지의 죽음을 더 차갑게 만들어 버린 것 같아서 아쉽지만, '어른들을 위한 동화' <연어>를 다시 읽어볼 마음이 생겼다. 

 

22/400. 철도원 (아사다 지로)

<철도원>에도 낡은 기차가 나온다. 간이역을 지키는 역장은 눈이 펑펑 내리는 날에, 먼저 보냈던 아기, 雪子의 혼령(?)을 만나고 평온하게 눈을 감는다. 다른 단편들에도 심심치않게 혼령이 등장하고 산자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츠노하츠에서>는 아버지의 나이에 다다른 아들이 목메어 '아빠'를 부르고, <악마>에서는 외롭던 소년이 감당못하는 공포로 어쩔줄 몰라한다. 과거를 돌아보고 또 돌아보는 사람들. 못다한 말이 얼마나 서러운지는 <러브레터>가 압권. 그런데, 이야기들이 너무 감상적이라서 메마른 가슴에 한번 읽기는 좋아도 돌아서면 그 메마름이 더 심해질까 걱정이다.

 

23/400. 내 머릿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김대식)
기억과 존재에 대한 답을 찾아 뇌과학 책을 읽었는데, 이 역시 나만의 정당화일까. 좌뇌,우뇌의 구분만큼 이 책도 전반부, 후반부의 구분이 명확하다. 전반부는 이미 알고도, 또 처음 알게된 이야기들을 뇌의 구조와 이론을 연결시켜 설명하는데 읽기 쉽고 재미있다. 고정관념이나 틀을 깨는 자유의지를 강조하고 있는데, 바로 그것이 인간의 정체성이 아닐까.  영화 소스코드나 인셉션 등이 연상되기도 했다. 하지만 책 후반부에서 저자는 강한 국가, 강한 자의식을 강조하고 뇌과학과는 멀리 떨어진 이야기로, 어쩌면 정치로 흘러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