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그렇듯 앞 십분쯤 놓치고 시작한 케이블 무료 영화. 지친 몸으로 멍청하게 앉아서 보기 시작했는데, 19금이기 때문은 아니고, 낯 익은 배우들 때문은 아니고, 그저 좀 쉬고 싶어서 였다. 

음대 교수를 남편으로 둔 쥴리안 무어는 산부인과 의사에다 훤칠한 아들도 두고 멋진 집에서 산다. 중년의 위기랄까, 전 같지 않은 남편과의 거리감, 툭하면 반항을 일삼는 아들. 멋진 집은 괴괴한 기분이고 드디어 낯선, 하지만 묘한 매력이 있는 이십대 아가씨에게 남편을 유혹해 볼 것 (하지만 하지 않을 것을 바라면서)을 제안하고, 돈을 건넨다.  - 여기까지 아마, 내가 놓쳤을 테지만 상상이 가능하다. 

클로이와 무어가  마주 앉았다. 젊은 클로이는 빤히 무어의 눈을 들여다 보면서 깐족깐족, 조분조분, 남편과의 데이트를, 정사를 묘사한다. 그리고 무어는 화를 내고, 절망하고, 또 흥분한다.  

하지만 속으로는 클로이를 천한 것, 취급을 하고 접어두려는데, 아들 녀석도 클로이에게 끌리고. 어찌 어찌하다 클로이와 무어는 하룻밤을 보내고 칠칠치 못하게 자신의 집 주소, 일터, 남편의 개인 정보 등등을 다 드러낸다. 어찌보면 바보같은, 하지만 뭔가 찜찜한 표정의 클로이는 천진난만하게, 하지만 무섭게 들이댄다.  이제 해법은 남편과의 화해. 무어는 남편과 만나고 그 자리로 클로이도 부른다. 하지만, 여기서 이 영화의 유일한 반전이 짠, 하고 벌어지고. 영화는 그 파국으로 치닫는가 싶더니, 아아, 결국 너무나 허무하게 한 목숨이 진다. 너무나 산뜻하게, 그리고 편하게.  

마지막 장면, 그 알듯 말듯한 표정의 아들과 엄마, 그리고 남편. 그들은 모두 클로이를 잊기로 '편하게' 약속한 걸까. 그녀는 그들 중산층 가정의 감정의 사치, 아니면 감춰둔 인간의 본능 이런 것들의 사신 같은걸까. 생뚱맞게 엄마의 머리 장식을 보여주면서 영화는 조용히 끝나는데, 세상에, 이렇게 찜찜할 수가. 스릴러도 아니고, 치정극도 차마 안 되면서, 이리 찜찜한 이유는. 클로이나 무어의 아들이 무어에게 외치는 그 "왜 나 조종하려고 해요? 왜 다 맘대로 시켜요?" 라는 대사 때문이다. 그리고 어쩌면 저렇게 미친 방향으로 나가는 무어의 '중년의 위기'가 뭔지 알기 때문이다.  

그래도 교훈을 하나 건졌다면, 절대 남을 믿지 말것. 젊은 여자애라고 무시하고 곁에 두었다간, 아직 그 나이에 가지지 못한 것을 탐내고 앙큼하게 변하기도 한다는 것. 클로이를 '천하고 어린 것'으로 하지만 입으로는 '예쁘고 젊은 것'으로 부르는 무어는 완전 무방비 상태였다. 클로이는 자기가 갖지 못한 큰 집, 가정, 그리고 원숙함을 소유한 무어를 진정으로 갖고 싶었을테지. 그녀가 절정의 순간에서 무어의 옷장을 바라보던 눈길은 내가 이 영화에서 딱 하나 맘에 들었던 장면이다.  어쨌든, 영화는 찜찜하고 기분 나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