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 김열규 교수의 열정적 책 읽기
김열규 지음 / 비아북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속에 길이 있고 인생이 있다고 했던가. 저자 김열규 선생에게 딱 어울릴만한 말이다. 하지만 책 속에만 인생이 있는 것은 아니다. 책 밖 세상에 더 많은 인생이 글로 표현 안되어 우리를 둘러싸고 볶아 대고 있다.

두 부분으로 나뉜 이 책은 생각보다 가볍고 또 무겁다. 첫 부분은 저자가 70 넘는 인생동안 어떻게 또 얼만큼 책과 글과 또 그 안의 주인공과 사랑하며 지냈는가 하는 이야기이다. 책과 저자의 연가. 독자도 얼핏얼핏 비슷한 경험을 떠올리려 애를 쓸 테지만 책과 저자의 사이가 워낙 돈독해서 그 긴 시간 동안 세상이 어떻게 변했던지 하는 것은 별로 중요치 않아 보인다. 일제 땐 일본어 책을 목청껏 또박또박 읽었고 해방후 일본인이 남기고 간 책 보퉁이가 횡재이면서 육이오 피난길엔 청명한 부산 하늘 아래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원서로 정신을 살찌운다. 우리말 우리글에 대한 사랑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글과 이야기 속에서 저자는 너무 행복했다. 하지만 서글픈 시대에는 행복도 죄스러운 일 아닐까.

낙엽을 태우면서 물침대에 뜨거운 물을 채울 염려를 하는 이효석이 생각나는 첫 부분을 마치고 두 번째 부분을 읽기 시작하면, 사실 저자의 책 사랑, 글 사랑이 그저 흥겨운 신선노름 뿐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문득 고등학생 입시 준비 같이 꼼꼼한 독서법 강의는 읽는 나를 다시 학생 위치로 돌려 놓았다. 또 책 마무리에 자리 잡은 "[그]의 것이 되어 버린 책들". 이 부분이야말로 저자의 평생 공부의 내공이 알차게 빛나는 순간이다. 그의 책 소감을 거쳐서 읽는 책이야기이지만 내 살이 되고 피가 되는 기분이다. 

또 다른 책과 인생의 글, 서경식 선생의 "디아스포라 기행" 과 "소년의 눈물"이 많이 생각나게 했다. 다만 김열규 선생의 이 책 "독서"는 책과 함께한 행복한, 참으로 행복한 인생 이야기 라는 것이 다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