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 섣부르게 말을 더하기가 조심스럽다. (바보 소리 들을까 겁남)  다만 나보코프가 권말에 한 말을 인용.


이 강의에서 나는 문학적 걸작이라는 놀라운 장난감들의 메커니즘을 드러내려고 애썼습니다. 여러분이 자신과 등장인물을 동일시한다는 유아적인 목적이나 삶의 지혜를 배운다는 청소년 같은 목적이나 일반화에 푹 빠지고 싶다는 학문적인 목적을 위해 책을 읽지 않는 훌륭한 독자가 되게 해주고 싶었습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순전히 책의 형식, 비전, 예술만을 위해서 책을 읽는 법을 가르치려고 애썼습니다.  [...] 중요한 것은 어느 방면에서든 생각이나 감정의 설렘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설렘을 느끼는 법을 알지 못한다면, 인간의 정신이 내어놓은 예술이라는 귀하고 잘 익은 과일의 맛을 보기 위해 자신을 평소보다 조금 더 높은 곳으로 감아올리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면, 인생의 가장 좋은 것을 놓쳐버리기 십상입니다. (663-664)



이 책은 강의록이니 만큼 언급되는 각 문학작품 들을 '미리' 읽고 자신의 생각을 (어차피 나보코프 선생님께서 다 깨부셔주시겠지만) 어느정도 정리한 다음에 읽는 것을 권한다. 나는 이 도서 목록 중 중요한 세 권은 읽지 않고 책을 만났고, 어버버버 하면서 따라 갔지만, 그래도 소설 읽기와 내 인생의 아직은 '가독성' 있는 시간에 감사했다. 2020년 이 *같은 시간에 이 책을 만나서 다행이다. 난 롤리타를 읽고 (그것도 영문, 번역본 두 편이나) 나보코프를 저주하고 있었지만 이런 두뇌의 인간이라면 조금은 살려두기로 (내 마음 속에서) 했다. 그리고 .. 내가 뭘 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0-09-01 16: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지킬박사와 하이드씨> 부분만 읽었거든요. 저도 그 책들을 읽고 나서 나보코프의 감상을 읽는게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더랬습니다. 문제는 그 책들을 다 읽을 수 있겠느냐에 있겠습니다.
율리시스랑 맥주, 넘 근사하네요.... 뭐랄까요, 도전을 부르는 책두께라고 할까요? ㅎㅎ

유부만두 2020-09-01 17:01   좋아요 1 | URL
도전을 부르죠?!!!! 제가 저 책을 12년 전에 샀더라고요?!!!
충분히 숙성됐으니 이제 읽어볼까, 어쩔까, 생각하고 있어요.

나보코프의 문학 이해(향유) 방식이 유일한 길이라고는 생각 안하지만 중요한 점을 짚어주고 있어요. 역시 똑똑한 사람이에요. 수록작품들 읽고 다시 나보코프 읽고 싶어요. 결국 인생을 멋지게 즐기는 거!!!! 이런 느낌이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