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이야기의 힘이라는 게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언제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지 모르니 사람들의 귀를 쫑긋하게 만들 만한 이야기들을 모아 두는 것도 나중을 위해서 꽤 괜찮을 것 같았다. 지금까지 본 바로는 남의 속사정이나 나쁜 소식 같은 것들이 가장 인기 있는 이야기였다. 남의 이야기는 하기 쉬웠고 나쁜 이야기는 흥미를 끌었다. 그러니까 결국, 멀리 그리고 빨리 퍼지는 소문의 핵심은 다름 아닌 타인의 불행이었다. (독고솜에게 반하면) 








나는 매일 아침 날이 밝기가 무섭게 발하임으로 달려간다네. 그곳 주막집 정원에서 완두콩을 몇 개 따가지고 와서는 콩깍지를 까면서 호메로스의 작품을 읽곤 한다네. 때로는 부엌에 들어가 냄비에 버터를 두르고 완두콩 꼬투리를 넣은 뒤 뚜껑을 덮고 앉아서 흔들어줄 때도 있는데, 그럴 때마다 무례한 페넬로페의 구혼자들이 소와 돼지를 도살한 후 잘게 토막을 내어 불에 굽던 광경이 생생히 떠오른다네. 부족사회의 풍경만큼 내게 평온하고도 진실한 감정을 어떤 가식도 없이 나의 생활방식에 투영 시킬 수 있다니 천만다행이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사사 유비는 다마키 이쿠에가 자살한 사실을 몰랐다. 진술조사 때 처음으로 알고 정신없이 울었다고 한다. 다카네자와와 시게카와도 몰랐는지, 알면서 유비한테는 숨기고 있었던 건지, 그 부분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다만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사사 유비의 자살 미수도 사사 도모키가 초췌해진 것도, 두 사람의 죄책감 때문이라기보다는 '무서운 범죄에 휘말리고 말았다'는 피해자 의식에 가까운 감정 때문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절대영도' 어제가 없으면 내일도 없다)


나는 이해했다. '없애야' 할 자와 단죄받아야 할 자의 역할 분담이다. 

"두 사람은 오래 살아 주었으면 좋겠어요. 서로 미워하고 죄를 떠넘기고, 세상에서 손가락질을 당하고 생지옥을 맛보면서." ('절대영도' 어제가 없으면 내일도 없다)


"저는 우리 할머니가 했던 말을 떠올렸어요. 술만 마시지 않으면, 도박만 하지 않으면, 바람만 피우지 않으면 좋은 사람이라는 건, 그걸 하니까 안 되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요." ('절대영도' 어제가 없으면 내일도 없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큰 소리로 재채기 하는 것을 길조로 여겼다. (오뒷세이아 17권 주석)


'나는 신이 아니다. 왜 너는 나를 불사신으로 여기느냐?

 나는 네가 그를 위해 신음하고 많은 고통을 당하고 

 남자들의 행패를 감수했던 네 아버지이니라!'

  이렇게 말하고 그가 아들에게 입맞추자 눈물이 두 볼에서 

  땅으로 떨어졌다. 그가 늘 억제하던 눈물이었다.  (오뒷세이아)






'메디아 비타 인 모르테 수무스 Media vita in morte summus' 라는 라틴어는 우리도 알고 있다. 즉 "한창 살아가는 중에도 우리는 이미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태어나는 날 죽어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의학이 발달해, 이젠 미국인 대다수가 생의 말년을 실제로 죽어가는 상태로 보내게 된다. 미국 인구 중 빠르게 늘어가는 층이 85세 이상이다. (잘해봐야 시체가 되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