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커피가 처음 발견된 것은 8세기, 그러나 오늘날처럼 기호품으로 전환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커피를 처음 받아들인 아랍인들은 이 식물이 가진 각성제 효과에 주목했고, 한동안은 정례기도(이슬람은 하루 다섯 번의 기도를 하게 되어 있다)시 졸지 않도록 하는 약물로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이슬람화가 늦었던 투르크인들은 아랍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종교적으로 자유분방한 면을 보였다. 커피가 대중들에게 음용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이후의 일로 추정되며, 술레이만 시기 이스탄불에는 거리 카페의 선구라 할 만한 것들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커피의 서방전래설 가운데 가장 인상적인 것은 1683년의 빈 공방전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 전투는 이슬람 팽창의 분계선을 긋는 중요한 사건이었는데, 함락에 실패하고 돌아간 투르크군의 둔영지에 이상한 곡물이 가득 쌓여 있는 것을 본 오스트리아군... 처음에는 곡물이라 생각해서 빻아 먹어보기도 했다는... 어쨌든 이렇게 비인에 도입된 커피는 이후 마리아 테레지아가 부르봉 왕가에 시집갈 때 가져가서 프랑스에 퍼지게 되었다 한다.

그러나 이 설은 들리기엔 근사하지만, 사실과는 약간 차이가 있는 듯하다. 빈 공성전이 있기 수십 년 전부터 이탈리아 도시들에 카페가 생겨나기 시작했던 것이다.(17세기 초) 오스만투르크와 무역이 활발했고 그 문화를 편견 없이 도입했던 베네치아가 아마 그 통로일 것이다.(열렬한 베네치아교 신봉자인 시오노 나나미가 커피 도입 문제를 쓰지 않은 것은 참 이상한 일이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카페(이 말은 프랑스어다) 문화가 생겨나고 커피가 음용문화로 확고히 자리잡게 된 건 역시 프랑스에서 시작된다. 계몽주의 시기의 지식인들은 거의 커피 애호가였고, 발자크 같은 인간은 아예 커피 중독으로 죽어버렸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낯선 아내에게
아사다 지로 지음, 박수정 옮김 / 문학동네 / 2000년 6월
평점 :
품절


아사다 지로의 작품들 가운데는 초현실적 상황 설정이 되어 있는 작품이 적지 않다. 가장 심했던 건 <지하철>이었고, <안녕 내 소중한 사람>이야 완전히 처음부터 웃기기로 작정한 거니 그렇다 치고, <철도원>도 사실 따지고 보면 어린 시절에 죽은 아이의 귀신(?)이 찾아온다는 내용 아닌가?

그런 면에서 볼 때, <낮선 아내에게>는 '마지막 행운'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적인 세계(?) 만을 그렸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그의 단편소설류가 으레 그렇듯이, 주인공들은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앞의 네 편만 예를 들어보자면, 이혼한 부모 아래 자라는 고(춤추는 소녀), 교향악단에서 해고되어 술집에서 피아노를 치는 첼리스트(스타더스트 레뷰), 어린 시절 혼혈아 조지를 학대한 기억과 남의 여자였던 소꿉친구와 결혼한 콤플렉스에 시달리는 히데오(숨바꼭질), 자식들은 모두 해외로 나가버리고 독거주택에서 홀로 지내다 음식을 끊고 자살하는 72세 노파 후사코(덧없음)... 그리고 주인공들은 어느 하나 확실한 해피엔딩을 맞이하지 못한다. 그냥 담담한 필체로, 인생이란 그렇게 사는 거라고 말해주듯이 해피엔딩이냐 언해피엔딩이냐조차도 불분명한 선에서 스토리는 뚝 끊긴다.(이것도 '마지막 행운'은 예외)

개인적으로는 몰락한 예술가의 내면적 갈등과 행로를 세심하게 그려냈다는 점에서 '스타더스트 레뷰'가 가장 인상적이었고, 표제작인 '낮선 아내에게'는 <철도원>에 실린 '파이란'과 아주 유사한 스토리지만 더 나은 작품이라고 느꼈다.

별 감동은 없는, 그러나 읽고 나서 마음이 부드러워지는 면이 있는 괜찮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ou see a gorgeous girl at a party.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본다.

You go up to her and say, "I am very rich. Marry me!"
당신이 그녀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나는 돈이 많아. 나랑 결혼해줘!" 라고 말한다.

That's Direct Marketing.
그것이 직접적인 마케팅이다.

-----------------------------------------------------------

You're at a party with a bunch of friends and see a gorgeous girl.
당신이 한무리의 친구들과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본다.

One of your friends goes up to her and pointing at you says,
당신의 친구중 하나가 그녀에게 다가가서 당신을 가리키며,

"He's very rich. Marry him."
"그는 돈이 많다. 그와 결혼해." 라고 말한다.

That's Advertising.
그것이 광고다.

-----------------------------------------------------------

You see a gorgeous girl at a party.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본다.

You go up to her and get her telephone number.
당신은 그녀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전화번호를 얻는다.

The next day you call and say, "Hi,I'm very rich. Marry me."
다음날 전화해서 "나는 돈이 많아. 나랑 결혼해줘." 라고 말한다.

That's Telemarketing.
그것이 텔레마케팅이다.

-----------------------------------------------------------

You're at a party and see a gorgeous girl.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보았다.

You get up and straighten your tie, you walk up to her and pour her a drink.
당신은 자리에서 일어나 옷매무새를 추스리고, 그녀에게 다가가 음료를 따라준다.

You open the door for her, pick up her bag after she drops it, offer her
당신은 그녀를 위해 문을 열어주고, 그녀가 놓아둔 가방을 집어들어 그녀에게
건네준다.

aride, and then say,
그리곤, 무미 건조하게

"By the way, I'm very rich. Will you marry me?"
"그런데 말야, 나는 돈이 많아. 나랑 결혼해줄래?" 라고 말한다.

That's Public Relations.
그것이 PR이다.

-----------------------------------------------------------

You're at a party and see a gorgeous girl.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보았다.

She walks up to you and says, "You are very rich."
그녀가 당신에게 다가와 "당신은 굉장한 부자.."라고 말한다.

That's Brand Recognition.
그것은 브랜드의 인지이다.

-----------------------------------------------------------

You see a gorgeous girl at a party.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본다.

You go up to her and say, "I'm rich. Marry me"
당신은 그녀에게 다가가 "나는 부자야. 나랑 결혼해." 라고 말한다.

She gives you a nice hard slap on your face.
그녀가 당신의 얼굴에 보기좋게 따귀를 때린다.

That's Customer Feedback !!!!!
그것이 고객의 피드백이다.

------------------------------------------------------------

You see a gorgeous girl at a party.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본다.

You go up to her and say, "I am very rich. Marry me!"
당신이 그녀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나는 돈이 많아. 나랑 결혼해줘!" 라고 말한다.

but you only have a lottery.
그러나 가지고 있는건 로또 한장.

that's stock option.
그게 스탁옵션이다.

------------------------------------------------------------

You see a gorgeous girl at a party.
당신은 파티에서 끝내주는 여자를 본다.

You go up to her and say, "I am very rich. Marry me!"
당신이 그녀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나는 돈이 많아. 나랑 결혼해줘!" 라고 말한다.

but you only have a credit card and debt.
하지만 가지고 있는건 신용카드와 빚 뿐.

that's accounting fraud(window dressing).
그것이 바로 분식회계.


http://geist.co.kr
2003.12.19
nirvan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마성자
미국수피즘협회 / 정신세계사 / 1989년 7월
평점 :
절판


 지금은 이 책에 실린 우화들이 좀 유치해 보인다. 그건... 아마도 나 역시 이런 류의 우화를 수없이 접하면서 어느 정도 감수성이 무뎌졌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첫 우화인 '꼬마 성자'는 십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읽을 때마다 가슴이 설렌다. 그만큼 영감이 스며 있는 글이다.

누군가 내게 수피즘이 뭐냐고 묻는다면 딱 한 마디로 대답할 수 있다. '이슬람의 선(禪)이죠.'

지구상에 출현했던 모든 종교는 대중을 위해 열린 문 외에도 소수의 용사들을 위해 뒷문을 열어놓았다. 불가에서 그 역할을 달마대사가 해냈다면, 이슬람에서는 루미, 유가에서는 왕양명, 기독교 세계에서는 에크하르트, 유대교에서는 하시디즘 랍비들이 그 문을 열어주었다. 그 작은 문이 열린 건물들의 외형은 모스크에서부터 법당, 교회, 시나고그까지 다양했지만 문 안의 세계는 결국 한 길로 통했던 것이다.

여기 실린 열여덟 편의 우화는 모두 '신의 본질을 발견'하는 데 헌정되어 있다. 기독교인이라면 그대로 별 문제 없고, 불자라면 '신'을 정법(다르마)로 바꿔 이해하면 될 것이다. 아이를 둔 부모라면 이 우화들에서 모티브를 취해 자녀들의 영감을 일깨우는 데 활용할 만한 교재로서도 훌륭하다.

다만 각 우화 끝에 편저자가 튀어나와 '이 우화에서는 이러이런 점을 함께 생각해 보자' 라고 토를 다는 부분들이 눈에 거슬려 별 하나 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제가 가는 곳마다, 어디를 찾아가든지 그곳에는 신이 계셨습니다. 신께서 보고 계시므로 이 새를 죽일 수 없었습니다.(오른이)

- 돈은 쓰임새가 많구, 보석은 정말 보기 아름답지요. 하지만 그런 것은 행복과는 그다지 상관없는 거예요. 아니 전혀 상관없다고 볼 수 있어요.(시냇물 한우리)

- 용서하는 마음에서만 걸림돌을 치워버리는 힘이 생긴다.(한우리가 만난 어느 아줌마)

- 최고의 지혜의 운행법을 배우려면, '완전한 믿음'과 '기꺼운 맡김'이 앞서야 한다. 최고의 지혜를 완전히 믿고, 최고의 지혜에 기꺼이 자기 자신을 내맡겨버리는 것이다. 자기 자신이 죽어 없어지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완전히 믿고 기꺼이 맡겨야 한다.(올빼미 선생)

- 유머 감각도 전염성인 게 분명해!(대머리 왕 나라의 지도급 인사들)

- 지난번 드라이브에서 경험해보았던 것처럼, 거칠고 괴로운 길이 끝나는 곳에는 항상 천 개의 태양이 빛나는 환희가 기다리고 있다.(진진이의 운전사 아저씨)

- 비실체는 게임/ 하느님이 만든 내기/ 모든 인간에게 내건 공평한 게임(깃털 왕자)

- 진주를 얻으려면 바닷속 깊숙히 들어가야만 한단다.(딸깍발이가 잠든 나무)

- 사실을 말하자면 나는 세상에 자주 나간단다. 나의 도움을 바라는 사람들을 만나러 다니지. 네가 원한다면 지금보다 더 자주 세상에 나가마.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주겠다. 하지만 사람들은 건망증이 너무 심해. 나를 만나고도 잠시 후엔 나에 대해 잊어버리곤 해. 자기가 나를 잊어먹고 산 사실은 기억 못하고, 내가 자기를 잊어버린 채 내버려둔다고 불평만 심하게 하지.(위대한 치료자)

- 네가 나를 생각하는 한 우리는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란다. 그러므로 '안녕'이라는 작별 인사는 필요치가 않은 거야.(그 분)

- 태반의 씨앗들은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니까 그런 거야. 과거를 기억한다구 좋은 것도 아니구... 문제는 꽃으로 거듭나는가 하는 거지."(단비)

- 네가 여기까지 올 때, 너는 굶주리고 목마른 눈으로만 봤기 때문에 이 아름다운 골짜기를 사막으로 착각한 거지...(무두질장이의 아버지 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