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름의 덤더디 시공주니어 문고 2단계 80
이향안 지음, 김동성 그림 / 시공주니어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향안 작가와 김동성 작가의 조합이라니!

어떤 포스팅에서 이 책에 관한 리뷰를 읽었던 적이 있어 무척 궁금해서 한달음에 읽었다.

 

이야기는 6.25전쟁을 시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덤더디는 다름 아닌 탁이가 키우는 늙은 소의 이름이다.

한국전쟁이 터지던 그 해 여름.

탁이네 식구를 비롯해 덤더디는 전쟁을 피해 산속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전쟁은 산 깊은 곳까지 부지불식간에 잠식해 들어오고

탁이네 가족은 점점 먹을 것이 없어지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탁이가 너무나 따르고 좋아하던 형수는 유산을 하고 말고....

형수의 몸을 추스리기 위해 온가족은 덤더디에 형수를 태우고 형수네 친정으로 가게 된다.

형수네 친정은 아직 전쟁이 할퀴고 지나가진 않았지만

식구는 많아지고 식량은 구할 길이 없고...

결국 탁이 아버지는 어렵고 중대한 결단을 내리게 된다.

그 결단이 무엇인고 하면,

덤더디를 잡아 형수네 친정 마을 사람들이 나눠 먹는 것이다.

아버지의 결정을 들은 탁이는 절대로 덤더리를 죽일 수 없다고 난리가 나고....

표지 그림은 덤더디를 잡지 못하도록 탁이가 지켜서고 있는 장면이다.

 

전쟁의 상흔은 너무나 크다.

어린 탁이에게도

뱃 속의 아이를 잃은 형수에게도

자식처럼 키우던 덤더디를 잡아 먹게 결정을 내린 탁이 아버지에게도 말이다.

그리고 전쟁 중 위험한 상황을 두 번이나 넘기고 형수를 기꺼이 친정까지 데려온 덤더디에게도 말이다.

 

한국전쟁이 일어난지 67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그 상처는 아직도 존재한다.

아니 어쩌면 계속 존재할 거라고 생각한다.

 

얼마 전 부산에 다녀왔다.

부산역 앞에 이바구길이라는 곳이 있는데

한국전쟁 때 피난민이 모여 살던 곳이라고 한다.

고향을 버리고 남으로 내려온 피난민들이 높은 산꼭대기에 둥지를 틀고 겨우겨우 살아가던 곳이었다.

옛날 자료 사진을 보니 물도 전기도 살 집도 궁색하기 이를 데 없었다.

지금은 문화 관광지로 계발되어 외지인이 구경오는 곳이 되어 있지만

거기에 얽힌 우리의 슬픈 역사가 지워지는 건 아니다.

그 곳에서 장기려 박사가 돈 없고 헐벗은 사람들을 위해 치료를 해주기도 하였다고 한다.

부산 곳곳에는 피난민이 모여살던 달동네가 아직 존재하고 있었다.

도심을 가로지르다 보면 산꼭대기마다 빽빽하게 들어선 집들이 자주 보인다.

해운대에 들어선 고층 아파트와는 사못 대조적이어서 놀랍기도 하고 아련하기도 했다.

(거제도를 가보진 않았지만 그곳도 마찬가지 아닐까 싶다.)

사랑하는 가족, 태어나고 자란 정든 고향, 자식처럼 애지중지 키우던 가축들을 버리고

오직 살기 위해 남으로 남으로 내려와야헸던

피난민의 고단한 삶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책이었고 이바구길이었다.

꼭 이 책을 읽어보고 그 길을 걸어봤으면 좋겠다.

 

한국전쟁을 다룬 동화하면 떠오르는게 바로 "몽실언니" 이다.

그런데 이 책은 두께가 제법 두꺼워 안타깝게도 어린이들이 많이 도전을 안한다.

이 책은 내용이 묵직하지만서도 두께가 얇은 편이라서

아이들이 쉽게 도전해 볼 수 있는 책이다.

다 읽고나면 마음이 저릿저릿하며 애잔해지는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전쟁에 대해서, 가축에 대해서, 반려동물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책이기도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1-27 09: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27 10:3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