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독서 교육에서 가장 큰 화제는 바로 <온작품 읽기>가 아닐까 싶다.

다독을 강조했던 예전에 비해 슬로 리딩, 깊이 읽기 등의 말이 나오기도 하고

한 학기 한 작품 읽기 등 깊이 읽기 및 함께 읽기가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작년부터 온작품 읽기 라는 말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맥락을 같이 하는 걸로 보여진다.

 

온작품 읽기 연수를 받고 이번에 4학년 아이들과 처음으로 온작품 읽기에 도전해봤다.

전에는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동화책을 읽어주는 방식이었다면

이번에 소개받은 방식은 교사와 아이가 다함께 번갈아 가며 읽는 것이다.

이 방법은 책이 모두 있어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가능하다.

 

책은 교과서에 수록된 <지우개 따먹기 법칙>으로 정했다.

교과서에는 마지막 꼭지가 살짝 실려 있어

말 그대로 온작품이 아니다.

책에 나온 내용만으로는 오롯이 작품을 이해할 수 없는 게 당연하다.

 

지난 5월 황금 연휴 동안 책을 준비해 주십사 학부모한테 장문의 편지를 전달하고

연휴가 끝난 후 부터 매일 국어 시간에 2꼭지씩 번갈아 읽었다.

1꼭지는 내가 읽어주고 다음부터는 아이들이 한 쪽씩 돌아가며 읽었다.

그렇게 5차시를 읽는 것에 할애하여 깊이 읽을 수 있었다.

읽을면 읽을수록 점점 상보의 매력과 책의 매력에 빠져드는 아이들.

쉬는 시간에 여기저기서 지우개 따먹기 놀이를 하기 시작하였다.

 

책을 완독하고 독후활동도 여러가지로 해 봤다.

기본적으로 독후감 쓰기를 했고

미니북 만들기도 했다.

내가 가장 공감하는 지우개 따먹기 법칙도 골라보고

우리 반이 가장 공감하는 지우개 따먹기 법칙도 다수결로 정해봤다.

마지막, 오늘

실제로 지우개 따먹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제비뽑기로 상대를 정하고

토너먼트와 리그전으로 승자를 골랐다.

상대의 지우개를 따먹었을 때 여기저기서 " 앗싸!" 라는 환호가 터져나왔다.

지우개 따먹기 법칙 10

지우개 따먹기 상대는 친구이다.

그러기에 이겨도 져도 즐거울 수 밖에...

이걸 터득하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한 게 아닐런지...

 

아이들이 써 온 독후감 및 주인공에게 쓴 편지를 보니

상보의 따뜻한 마음에 많이 공감하고

공부만 잘하고 친구들을 무시하는 준혁이에 대해서는 정의감이 발동한 것 같다.

공감한 것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 생활에서 실천하는 울 반 아이들이 되었으면 한다.

 

아이들과 처음 해 본 온작품 읽기

책 선정이 관건인데

아이들이 깊이 빠져들어서 아주 만족스럽다.

 

2번째 온작품 읽기는 7월에 한다고 했다.

어떤 작품을 할까 지금부터 물색 중이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빠져들만한 책이어야 하는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29 12:1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