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볼 높은 학년 동화 34
이현 지음, 최민호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는 선생님께서 추천한 책이라 아들에게 사준 책이었다.

야구부를 소재로 한 책이라 추억이 돋아 나도 한번 읽어봤는데 계속 읽게 되어 끝까지 읽어버렸다.

아들을 따라잡았다. ㅋㅋㅋ

역시 이현 작가 답다는 생각이 들게 아주 흥미롭고 감동적인 성장 동화였다.


롯데 자이언츠 열성팬이었던 엄마는 관객이 심히 적었던 날, 

부산 사직구장에서 자전거를 타던 아빠와  아주 극적으로 만나 결혼을 하게 된다.

" 나" 이름은 최동원 선수의 이름을 본따 동원으로 하려고 했으나 우여곡절 끝에 동구 한동구가 된다.

동구는 야구 열성팬 엄마의 소원대로 야구부 주장이 된다.


이 이야기는 야구를 좋아하는 엄마의 아들로 태어나

야구와 함께 울고 웃는 한동구의 성장 동화인 셈이다.


지금은 야구를 즐겨 보지 않지만

나도 한 때는 야구를 즐겨 보던 때가 있었다.

선동렬 선수가 한창 잘 나가던 때 말이다.

아마 그때는 나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야구 팬이었을 것이다.

내 기억 속의 야구는 최동원, 선동렬 선수가 활약하던 그 때에 멈춰있다. ㅎㅎㅎ


동구는 구천초등학교 야구부 주장이다.

잘 나가는 야구부는 아니지만 새로운 감독 덕분에 심기일전하고 점점 실력이 향상되고 있는 요즘이다.

성실한 타입인 동구는 투수 겸 4번 타자가 된다.

그렇게 잘 나가는 감독 밑에서 하루하루 실력을 쌓아가다보면

언젠가 자신도 명문 야구부에 들어가고 최동원 선수처럼 멋진 투수도 되고, 박찬호 선수처럼  메이저 리그에도 뛸 수 있겠지 생각했었다.

하지만 인생은 그리 녹록하지만은 않았다.

안팎으로 동구에게 위기가 닥쳐 온다.


동구의 친구이자 배터리였던 포수 푸른이는 동구와 함께 야구 인생을 시작하였지만 급기야 관두게 된다.

실력 좋은 후배에게 밀린 탓이다. 

어디서 굴러온 지도 모를 영민이란 녀석은 뛰어난 야구 감각 덕분에  동구가 4년 동안 이룬 입지를 하루아침에 이룬다.

승부의 세계는 정말 냉정하다.

조금만 실력이 떨어지면 가차 없이 라인 업에서 제외되니 말이다.


푸른이, 동구, 영민이를 보면서

셋 다 야구를 좋아하는 것은 똑같으나

열심히 해도 실력이 늘지 않는 푸른이

열심히 하고 실력도 늘지만 뛰어난 재능은 없는 동구(착실이형)

뛰어난 천재 감각을 지녔지만 자기 밖에 모르는 영민이(천재형)

이 세 친구를 보면서 " 모짜르트와 살리에르 "가 떠오른다.

영민이를 향한 동구의 질투와 부러움은 살리에르가 모짜르트를 향해 가졌던 마음과 흡사하다.

자신은 4년 만에 겨우 4번 타자를 꿰차는데 영민이는 불과 5개월만에 그 자리를 차지하니

동구 아빠 말대로 열심히 한다고 해도 

최선을 다하다고 해도 안 되는 일이 있나 보다.


열심히 최선을 다하지만

천재성을 가진 모짜르트에게 매번 느끼는 좌절감.

그건 참 극복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동구가 영민이를 향한 마음이 그랬다.

다른 것보다 예체능은 특히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그 세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입지를 다질 수 있는 것 같다.

야구를 좋아하는 마음은 그 누구보다 뒤지지 않지만

타고난 천재성 앞에서는 작아지고 움츠러들 수밖에 없는 동구의 마음이 정말 공감된다.


오랜만에 야구의 재미에 흠뻑 빠질 수 있었다.

아주 오래 전 롯데-해태 의 경기를 보는 듯한 흥분을 느낄 수 있었다. 

야구가 이런 매력이 있었구나 작가 덕분에 온전히 느낄 수 있었다.

야구는 계속 지고 있다고 해서 자포자기하고 경기를 끝낼 수 없다.

특히 투수 입장에서는 계속 안타를 맞아 속상하고 주저 앉고 싶지만

팀이 합심하여 3 아웃을 잡아내지 못하면

이닝이 끝나지 않는다.

아이들과 발야구를 하면 그 모습을 잘 볼 수 있다.

수비 입장에서 공격팀이 계속 해서 안타를 치면 수비수들은 절망하여

계속 하여 실수 연발하고 악순환이 계속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경기가 멈추지 않는다.

마음을 다잡아 서로 합심하여 아웃을 잡아내야 이닝이 끝날 수 있다.

야구의 이 점이 잘 부각된 동화였다.


작가의 최동원 선수에 대한 그리움이 곳곳에 묻어난다. 

최동원 선수는 타고난 재능과 항상 최선을 다하는 선수였음에도 불구하고

노조 활동을 하였다는 이유로 최고가 되지 못하게 변방에서 지내는 고통을 당해야 했다.

아무리 실력이 있어도 송곳 같은 사람은 최고가 되지 못하게 가로막았던 우리나라 현실이기도 했다.

이 책 보고나서 조승우 씨가 최동원 선수 역할을 한 영화를 보는 것도 좋겠다. 

오래 전 영화 " 공포의 외인구단"도 괜찮고 말이다.

야구 경기 장면은 마치 동영상을 보듯이 잘 묘사되어 있다.

이 현 작가가 오래된 야구 팬이거나 조사를 많이 한 듯하다.

동화를 보면서 눈물이 핑 돈 것은 참 오랜만인 듯하다.

마지막 부분은 참 뭉클하다.


아이들의 꿈을 물어보면

반에서 2-3명 정도의 아이가 스포츠 선수라고 대답하곤 한다.

그 아이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진정한 스포츠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지 동구의 이야기를 통해 깨달았음 좋겠다.

우리 반에도 축구부가 2명인데

오로지 머리속에 축구 밖에 없어 보이는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에게 빌려줄테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현실과 타협하여 그걸 놓치지 않고 지금 누리는 동구는 진정한 승자라고 말해주고 싶다.

멋진 동구! 널 응원한다. 

우리 아이들이 그런 멋진 동구처럼 자라나길 바란다. 


우리 아이들이 동구처럼 잘 지는 법을 배웠으면 좋겠다. 


*참고로 오타 아니다. 책에 나온 부산 사투리를 그대로 인용했다.

나는 미래를 알 수가 없다. 그렇다고 알 수 없는 미래가 두려워 지금을 잃고 싶지 않다.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내게도. 야구에게도. 그러므로 나는 오늘도 야구를 한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야구를. 플레이 볼.

잘 지는 법을 알아야 한다. 질게 야구하는데, 이기는 날보다 지는 날이 헐타. 3할 치모 강타자다. 이대호도 열 번 중에 세 번 밖에 몬 친다 이 말이다. 삼성 라이온즈가 잘 나갈 때도 이길 때 반, 질 때 반이다. 이기는 기야 다 잘하지. 그렇지만 야구하는 기 내내 지는 일이다. 잘 질 줄 알아야 한다. 인생은 토너먼트가 아니라 리그다. 리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