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한 4월도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다.

어제보다 날씨가 제법 쌀쌀해져 조금 두꺼운 외투를 껴입었다.

손이 계속 시리다.

봄날씨 진짜 변덕스럽다.

 

국어 시간에 " 광고 읽기"를 배우고 있는 중이다.

어제부터 시작되었는데

도입 부분에 공익광고 2편을 보여줬다.

하나는 배려

하나는 부모VS학부모 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72pl_kBf9W8

https://www.youtube.com/watch?v=nTJRuWZoQkw

짧은 30초 동안 우리 마음을 숙연하게 만드는 그런 광고이다.

아이들도 두 광고를 보고 느끼는 게 많았던 듯하다.

 

왜 "광고 보기" 라 하지 않고 "광고 읽기" 라고 단원명을 정했을까? 아이를 향해 질문을 던져봤다.

본다는 것을 넘어서서 광고 그 자체에 담긴 의도와

비판까지 해보는 게 이 단원의 학습 목표이기 때문이다.

아이들과 재미나게 수업할 것 같다.

 

숙제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광고에 대한 글쓰기를 해 오라고 하였다.

5명의 남자 아이가 숙제를 안 해 왔다. (재적의 1/4 이다. )

엄청 혼을 내 줬다.

점심 시간에 2배로 쓰라고 하였다.

여자 아이들은 100% 해 오는데 남자 아이들은 조금만 신경 안 쓰면 이렇게 된다.

이게 습관으로 굳어져 중고등학교 가면

남자 아이들이 수행에서 바닥을 깐다고 한다.

지필 시험을 행여 잘 볼지 몰라도 수행이 엉망이라 전교 30등 안에는

거의 여자가 다수라고 한다.

 

많은 아이들이 뽑은 광고는 단연코 " 금연공익광고" 였다.

" 페암 하나 주세요. 뇌졸중 하나 주세요" 이렇게 하는 광고 말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_8ZjoqoZoUg

나도 그 광고 보면서 인상적이다 못해 너무 끔찍하다 싶었는데

아이들이 받은 느낌도 그랬던가 보다.

아버지 건강을 걱정하는 아이도 있었고,

담배 값을 지금보다 엄청 올려서 (1갑당 10만원) 사람들이 백해무익한 담배를 사지 않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주장한 아이도 있었다.

 

아! 어제 하나 더 본 광고가 있는데

광고 문구가 아주 인상적이었다.

"당신은  이 광고를 보더라도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_xMxSCd9DbM

 

환경보전에 대한 공익광고였는데

초반에는 비록 이 광고를 보더라도 변하지 않을 거라고 약간 염세적으로 말한다.

중반 이후, 남이 변하기를 바라기 전에 나부터 변하자는 것을 아주 자연스럽게 연결해 보여준다.

이 광고를 가지고 글쓰기를 한 아이도 있었다.

 

30초 짧은 광고 속에 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다.

광고를 공부하니 이 책이 떠오른다.

수많은 유명 광고 카피를 생산해 낸 박웅현 씨의 "책은 도끼다 " 이다.

좋은 문구를 만들기 위한 그의 노력이 참 멋졌다.

저절로 이뤄지는 성공은 없다.

아이들도 그걸 깨달았음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4-28 16: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29 10:0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