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동생은 로봇 ㅣ 라임 어린이 문학 8
제임스 패터슨.크리스 그레벤스타인 지음, 줄리아나 뉴펠드 그림 / 라임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로봇이 동생이라니?
이 무슨 해괴한 일인가 생각할 수도 있겠다.
새미네 가정을 속속들이 알고나면 이 상황이 이해가 될 지도 모르겠다.
새미네 가정은 참 독특하다.
엄마는 로봇을 만드는 과학자이고
아빠는 만화가
여동생 매디는 희귀병이 있어 집 밖으로 나가 본 적이 없다.
주인공 새미는 학교에서 왕따다.
그렇지 않아도 왕따인데
엄마가 이상한 로봇을 동생이라 소개하며 함께 학교에 가라고 한다.
이 무슨 황당한 일이?
자신을 동생이라 소개하는 로봇은 싫다고 하는 새미를 따라
학교에 간다.
예상했던 것처럼 로봇을 붙이고 학교에 온 새미를 보고 쿠퍼 일당은 놀리고
동생 로봇은 의도하지 않았지만 독특한 행동방식 때문에 학교에서 사사건건 사고를 일으킨다.
하여튼 첫날 전교에 자신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고 할 수 있다.
동생 로봇 때문에 새미의 학교 생활은 더 엉망이 되어가는 듯하다 전세가 역전된다.
어느 날, 쿠퍼가 새미를 괴롭힐 때 로봇이 나서서 새미를 도와주는 계기로
새미는 동생 로봇에게 차츰 마음을 열어가는데....
그만 공교롭게 로봇이 유괴당하는 사건이 터진다.
미운 정, 고운 정이 든다고 하던가!
새미와 동생 로봇도 그랬던 것 같다.
옆에서 계속 쫑알대던 로봇이 못마땅했던 새미이건만
이제 그런 조잘거림이 그립다.
새미는 동생 로봇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
난 새미가 왕따 당하는 것을 알게 된 엄마가 새미를 돕기 위해 만든 로봇인 줄 알았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어보니 더 깊은 뜻이 숨겨져 있었다.
어떤 의미인지는 직접 확인해 보시길.
로봇이 가족이라면 어떤 기분이 들까!
새미도 처음에는 말썽쟁이라며 로봇을 엄청 구박했더랬다.
하루하루 시간이 흐르고, 그 시간 동안 정이 쌓였던가 보다.
로봇이 행방불명되자 새미는
가족이 사라진 것처럼 걱정을 한다.
함께 한 시간은 그런 마력이 있는 듯하다.
미래 사회를 상상해 보자고 하면
언제나 로봇이 등장하곤 한다.
물론 로봇이 형이나 동생이 된다는 상상을 말하는 아이는 내 기억상 이제껏 없었다.
이 책이 먼저 그런 상상의 세계를 열어줬다.
외동이 많아지고, 출산률도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은 그 자리를 반려 동물이 채우고 있지만
머지 않아 로봇을 입양하는 때도 올 수 있겠다 싶다.
인간과 로봇이 한 가족으로 사는 세상.
책에서는 참 행복해 보였는데
실제로는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