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서재의 유명인 마태우스 님의 책을 구매한다.

마태우스 님은 내가 알라딘 서재에 둥지를 틀 때 벌써 여러 권의 책을 내신 저자였다.

워낙 유명하셔서 감히 댓글 달기도 쑥쓰러워 댓글을 달지 못했더랬다. 

이번에 댓글 달기 이벤트를 하셔서 처음으로 댓글을 달아봤다.

그 많은 댓글에 일일이 답글을 달아주신 걸 보고 참 좋은 분이구나 느꼈다.

대박 나시길 바라는 의미로 책을 구매한다.

서재에 올린 글은 여러 번 읽었지만 책으로 만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민적 글쓰기>

이름과 책 제목이 동일하여 입에 착 달라붙는다.

본인 말씀이 여러 가지 컴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글을 쓰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이제는 제일 잘하는 일이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워낙 겸손하셔서 글쓰기를 스스로 잘한다고 말하실 것 같지는 않지만서도.

이렇게 책 낼 정도가 되기 위하여 그 동안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였을 지 짐작이 안 간다.

그것도 본인만의 문체가 드러나려면 엉청 쓰고 다듬는 과정이 있었을 거다.

알라딘 서재에 올라온 마태우스 님 글은 일단 재밌다. 지루하지 않다. 유머가 있다.

이런 그만의 특징을 갖추려면 부단한 노력이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만의 개성을 갖추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지 들여다 보려고 한다.

밑줄 그으면서 말이다.

책 다 읽으면 리뷰도 써야지.

 

 

아들은 여러 책 중에서 이 책을 골랐다.

아들 책 고를 때마다 고민스럽다.

3-4학년은 자기 생활과 밀접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단계라고 하는데

재미나고 감동적인 생활 동화가 많이 나오면 좋으련만 책 고를 때마다 참 난감하다.

하여 이번에도 고학년에서 골랐다.

"마니또"라는 말이 둘째의 마음을 움직였나 보다.

마니또는 비밀 친구를 뜻하는 말이다.

누구나 한 번쯤 마니또 놀이를 해 봤을 테다.

위험한 게임이 절대 아닌데

왜 이런 제목이 붙었을까 무지 궁금하다.

 

둘째가 이 책 미리보기를 보더니 그림 스타일이 "스무 고개 탐정" 이랑 똑같단다.

듣고 있던 누나도 보더니

" 맞네 !" 한다.

난 전혀 눈치 못 챘는데...

이럴 때 보면 아이가 어른보다 낫다 싶다.

그림 작가 이름을 보니 수퍼남매 말이 맞다.

" 엄마, 이 작가는 검정과 노란색만 쓰잖아" 라며 딸이 한 마디 더 거든다.

아이가 보자마자 " 이거 누구 그림이야" 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작가만의 독특한 스타일이 있다는 건데

부럽다.

자기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내려면 얼마나 많은 연습이 필요했을까 또 한 번

마태우스 님과 그림 작가에게 존경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딸도 그런 그림을 그렸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나도 그런 리뷰를 썼으면 하는 소망을 가져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9-22 16: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22 16: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