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아 창비아동문고 175
박기범 지음, 박경진 그림 / 창비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끼 개>를 우연히 접하고 나서 박기범 이라는 작가에 대해 관심이 커졌다.

이 작가 또한 세상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 책 제목처럼 "문제아" 일 지도 모르겠다.

굳이 이런 어둡고 칙칙한 이야기를 동화로 써낼 게 뭐야? 라고 생각하는 어른도 있을 지 모른다. 

윤구병 작가의 추천사에 이런 글귀가 나온다. 

" 어린이는 세상의 아픔과 그늘을 모르고 자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이 있습니다. 

어린이들도 알 것은 알고 느낄 것은 느껴야 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감추어도 어린이의 맑은 눈에 그런 일이 보이지 않을 리가 없습니다." 

이 말에 동의한다.  아이도 알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인해 

하늘 나라에 간 권정생 작가도, 이 책의 저자 박기범 작가도

세상의 어두운 곳에 존재하는 소외된 이웃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제아>는 모두 10가지의 다른 이야기가 나온다.

손가락 무덤, 아빠와 큰 아빠, 독후감 숙제, 전학, 문제아, 김미선 선생님, 끝방 아저씨, 송아지의 꿈, 겨울꽃 삼촌, 어진이  이다.

하나같이 가난하고 고통 당하며 소외된 이웃의 이야기이다.

" 손가락 무덤 "은 산업 현장에서 손가락이 잘렸는데 제대로 보상 받지 못한 아빠의 이야기이다.

" 아빠와 큰 아빠 "는 정리 해고 때문에 화목했던 가족이 등을 돌리게 되는 이야기이다.

" 독후감 숙제 "는  너무 가난한 나머지 집에 읽을 만한 마땅한 책이 없어 상상으로 이야기를 지어 내 독후감 숙제를 해 가는 아이의 이야기이다. 

" 전학 "은 주택 지역에 사는 아이가 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학교를 다니면서 겪게 되는 이질감과 소외감을 말하는 이야기이다.

" 문제아 "는 할머니의 약값을 뺏기지 않으려고 애를 쓴 게 결과적으로 문제아가 되어버린 이야기이다.

" 김미선 선생님 "은 정말로 친절하고 좋았던 담임 선생님이 악소문에 휩싸여 고통 당하는 것을 지켜보는 제자의 이야기이다. 

" 끝방 아저씨 "는 철거지역에 살았던 끝방 아저씨가 갑자기 노숙자가 되어버린 사연을 엄마로부터 전해 듣는 이야기이다.

" 송아지의 꿈 "은 축산가가 망하는 바람에 자식 같은 송아지를 버릴 수 밖에 없었던 사회 문제를 아이의 눈으로 바라본 이야기이다.

" 겨울꽃 삼촌 "은 민주화 운동을 하다 분신한 박래전 열사의 이야기이다.

" 어진이 "는 장애를 가진 반려견 어진이를 끔찍하게 사랑하는 득철이네 이야기이다. 


관심을 가지고 살피지 않으면 우리 이웃의 삶이 이렇게 팍팍한 줄 모르고 지나치기 마련이다.

나, 우리 가족에만 국한되어 생각하다 보면 이웃이 당하는 고통을 모를 수 있다.

"더불어 살아가자"라고 외치고 배우지만 실상 삶에 쫓기다 보면 이웃의 고통을 외면할 때도 있다.

이 책은 그런 내 삶을 반성하게 한다.

이웃의 신음 소리를 들어보라고, 먼저 손을 내밀어 보라고, 지푸라기라도 던지라고 말이다. 

불편한 이야기는 계속 내 양심을 찔러댄다.

제발 주변을 살피라고 말이다.


"이라크로 간 동화작가"로도 유명한 박기범 작가는 고통 받는 이웃이 있으면 달려가 함께하는 작가로 알고 있다. 

이 다음에는 그가 어떤 불편한 이야기를 들려줄까! 

그의 이야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