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은 너무 힘들다.
요즘은 더 그렇다.
온이가 계속 새벽에 밥 달라고 울어서 잠을 깨곤한다.
갓난 아기 키우는 거랑 똑같다.
푹 잠을 못 자니 피로가 누적된다.
게다가 목요일은 격주로 동아리 활동이 있어서 6교시까지 수업을 해야 한다.
동아리가 있는 날은 심리적으로 더 힘들다.
지난 번에는 독서부 아이들이 교실에서 폭력 행사까지 하여 책을 덮고, 일장 훈계를 늘어놨다.
그 덕분인지 아님 내가 너무 불쌍해서인지
오늘 동아리 시간에는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줬다.
폭력을 주고받던 두 아이가 화해의 제스처를 보이기까지 해줬다.
마지막 갈 때는
말 잘 듣지 않았냐면서 나에게 사탕을 요구해온다. 헐~~
당연히 폭력을 해서는 안 되고, 독서부에 와서 책을 읽는 것이 마땅한 일인데 말이다.
어처구니 없었지만 다음에는 사탕을 준비해 놓겠다고 했다.
동아리 시간에 편두통이 와서 가벼운 그림책을 한 권 골랐다.
교실에 내내 있었던 모양인데 한번도 내 레이다에 들어오지 않더니 오늘 불쑥 제목이 클로즈업되었다.
<글짓기 시간>이라는 그림책이다.
요즘 읽고 있는 <고종석의 문장>과 비슷해서 골랐는데
내용과 주제가 전혀 달랐다.
오히려 그게 더 좋았다.
축구를 좋아하는 소년은 생일 선물로 고무 축구공을 받아 적잖이 실망한다.
가죽 축구공을 원했기 때문이다.
또래보다 키는 작지만 몸이 날래 축구를 잘하는 소년은 언젠가는 진짜 축구공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어느 날, 친구 아버지가 "반독재"를 찬성하였다는 이유로 군인들에게 잡혀가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10살 소년은 그런 이유로 군인들이 아저씨를 잡아가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
그것 뿐이 아니다.
학교에서는 선생님과 함께 군인이 교실에 들어오더니 갑자기 글짓기를 하라고 한다.
글짓기 내용은 다름 아니라
밤에 부모님이 하시는 일을 자세히 쓰는 거란다.
이건 또 뭐야?
그렇다.
독재 정권은 아이의 글짓기를 통해 반독재에 찬성하는 부모를 색출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음흉한 의도를 모르는 아이는 글짓기를 잘하면 원하는 상품을 준다는 말에 귀가 솔깃해진다.
글짓기 장원을 하면 진짜 축구공을 갖게 될 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이 든다.
아이는 생각한다. 요즘 부모님이 밤마다 뭐 하시지?
주인공의 부모님은 밤마다 "반독재"를 외치는 라디오를 듣고 있었다.
심지어 엄마는 울기까지 했다.
이걸 솔직하게 다 써? 말어?
나의 예상과는 완전 다르게
<글짓기 시간>은 독재 정권 하에 벌어지는 일을 보여주고 있다.
과연 소년이 사실대로 쓸 것인지 아님 거짓말로 쓸 것인지 팽팽한 긴장감이 느껴진다.
사실대로 쓰면 부모가 잡혀갈 것이요
거짓말로 쓰면 축구공을 받을 수 없을지도 모르는데
소년은 어떤 선택을 할까?
겉표지를 보라.
총을 든 네 명의 군인 앞에서 자신이 쓴 글을 읽고 있는 소년의 모습이 너무 애처롭다.
칠레처럼 한국도 독재를 경험한 나라이다.
독재 아래에서 산다는 것이 얼마나 살벌한 일인지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그림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