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두랑 놀자
김영 지음, 명수정 그림, 구본창 사진 / 청년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 전통 문화에 대해서 배우고 있어서 이 책을 골라 읽었다.

꼭두는 어린이들에게 아주 낯선 존재일 것이다.

이 책을 읽어보면 꼭두가 우리 조상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존재였는지 깨닫게 될 것 같다.

 

꼭두란 한마디로 이승과 저승을 연결해주는 천사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이승을 떠나는 자의 상여에 매달아 그가 저승으로 무사히 갈 수 있도록 지켜주는 수호 천사 말이다.

우리 나라의 꼭두는 나무로 만들었다고 한다.

꼭두의 모양도 가지각색.

하는 일도 천차만별이다.

지금은 장의차가 상여를 대신해 주어

어린이들이 상여를 보기도 어렵거니와 그러니 꼭두는 당연히 모를 수밖에 없겠다 싶다.

 

사람이 죽으면

"돌아가셨다" 내지는 " 저 세상으로 가셨다"라는 표현을 쓰는 것도

이 세상 너머에 다른 세상이 있음을 암시하는 말들이라고 한다.

그 두 세상의 연결고리가 바로 꼭두라는 것이다.

조상들은 저승이 있다고 생각하니 이승에서 허랑방탕하게 살아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들을 자연스레 했을 것이다.

어쩌면 이승의 삶보다 저승의 삶이 더 길지도 모르는데(어쩌면 무한할지도)

이승에서 잘못 살았다가 저승에서 고생을 면치 못하면 어쩌나 하는 생각들을 하지 않았을까!

불교의 윤회사상을  떠올리면 이승에서 죄 짓지 말고 잘 살아야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이승이 마지막일 것처럼 전후좌우 돌아보지 않고 파렴치하게 사는 이들이 있지만

내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현세의 삶을 좀 더 인간답게 살려고 노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에게 죽음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어색하고 굳이 아이들에게 죽음을 말해야 하나 싶을지도 모른다.

어차피 인간은 언젠가, 한 번은 죽게 되어 있으니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며 이런 그림책이 도움을 줄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

 

꼭두 이야기를 읽으니 어제보다 오늘 더 잘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12월하고도 4일이 지나갔다.

남은 기간만이라도 나를 사랑하며 남을 사랑하는 나날이 되도록 노력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