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밖으로 - 루이 브라유 이야기, 어린이문학상 수상작 3
러셀 프리드먼 지음, 케이트 키슬러 그림, 김은정 옮김 / 큰북작은북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점자를 발명한 루이 브라유의 일대기를 그린 책이다.

루이 브라유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불과 얼마 전이었던 것 같다.

책에 대해서 조금 관심이 생기자 그가 바로 점자를 발명한 사람이란 것도 알게 되었다.

 

얼마 전 열심히 봤던 조인성, 송혜교 주연의 드라마 < 그 겨울, 바람이 분다>에서 여자 주인공 오영이 시각장애우로 나온다.

그 드라마에서 오 영을 사랑하게 된 오 수가

오 영에게 점자로 된 편지를 쓰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장면을 보면서

점자가 그렇게 어려운게 아닌가 보다 하는 생각을 했더랬다.

시각장애우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쉽게 배워서 읽고 쓸 수 있는

점자를 발명한 사람이 루이 브라유다.

시각장애우에게 점자의 발명이 어떤 의미인지

이 책을 보기 전에는 잘 몰랐었다.

이 책을 덮고 나서야 루이 브라유의 점자야 말로

깜깜한 방에서만 갇혀 지내던 시각장애우들을

세상 밖으로 나가게 하는 첫 걸음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루이 브라유는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우가 아니다.

어릴 때 마굿간에서 날카로운 송곳을 가지고 놀다가 그만 송곳으로 눈을 찌르는 엄청난 사고가 일어난다.

그 당시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여 반대쪽 눈 까지 염증이 생겨 두 눈 다 시력을 잃게 된다.

네 살 때의 일이다.

그 후로 루이 브라유은 암흑 속에서 살게 된다.

환한 햇살을 더 이상 보지 못하고,

사랑하는 가족의 얼굴을 더 이상 보지 못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어린 소년은 맹아 학교에 보내지고,

그 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아이들과 생활하게 된다.

거기서 우연히 돋음 문자라는 것을 배우게 되는데

이것이 지금의 점자를 만들게 되는 계기가 된다.

돋음 문자가 가지고 있던 단점을 보완하여

쉽고 간편한 점자를 발명하기까지 루이는 잠시도 자신의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한순간의 장난으로 시력을 잃어버리고, 깜깜한 세상에 갇혀지내던 연악한 아이가

모든 시각장애우들에게 광명한 세상을 안겨주기까지의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