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의 재판 옛이야기 그림책 까치호랑이 21
홍성찬 글.그림 / 보림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 1세대 작가이신 원로 홍성찬 님이 시력을 거의 잃어버린 상태에서 근 2년간 작업을 하신 뜻깊은 책인지라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느낌이 남달랐다.  잘 보이지도 않는 상황에서 연로하신 분이 세밀한 그림책 작업을 하시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일까 감히 상상조차 하지 못하지만 아무튼 그 분의 그런 열정으로 인해 독자인 나는 이렇게 가슴에 진한 감동을 주는 귀한 그림책을 접할 수 있어서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지 모르겠다.

 

 

 토끼의 재판은 작가님의 구성진 이야기와  해학과 따뜻함이 묻어 나는 그림과 더불어 토끼를 포함한 아홉 마리의 재판을 통해 동물에게 비쳐진 인간의 모습을 되돌아 보게 만들고 있다.

 

 이야기의 발단은 이렇다. 어떤 마을에 자꾸 호랑이가 나타나 마을 사람들을 해치는 사건이 벌어져서 어느 날 훈장님 집에 모여 의논을 한 결과 허방다리를 놓아 호랑이를 잡기로 결정을 하게 된다.

 

 

 

 그 허방다리에 빠진 호랑이를 지나가던 나그네가 구해주지만 배은망덕한 호랑이는 자신을 위험에서 구해준 나그네를 잡아먹으려고 하고, 이에 나그네와 호랑이는 시시비비를 가르기 위해 아홉 번의 재판을 받아 보기로 한다.

 

 

 재판을 의뢰한 재판관들은 나무, 멧돼지,  닭, 황소, 염소, 곰, 여우, 사슴, 토끼이다.

황소와 사슴은 어느 누구의 편도 들지 않았고 나머지 동물들은 사람에게 맺힌 것들이 많아서 호랑이더러 냉큼 나그네를 잡아먹으라고 한다.  그 중에 닭이 말하는 부분은 약간 코믹하면서도 한 맺힌 절규 때문에 씁쓸해진다. 닭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인간이 웬수 같겠단 생각이 들기도 하겠다 싶다.

 

초복, 중복, 말복, 이렇게 세 번 있는 복날마다 병아리 옷을 겨우 벗은 어린 닭을 '약병아리'라며 식구뿐만 아니라, 이 사람 저 사람에게 한 마리씩 먹이지.  그뿐인가? 우리가 날마다 알을 낳으면 병아리 깰 것만 조금 남기고는 모조리 가져가 날 것으로 먹고, 기름에 부쳐 먹고, 밥솥에 쪄 먹고, 통째로 삶아 먹어.

 

 

 곰을 만나 재판을 해 달라는 부분에서도 곰이 사람에 대해 불평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 또한 웃기면서도 한 편으론 인간이 동물들에게 몹쓸 짓 참 많이 했다는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게 만든다. 더불어 곰이 자신이 절대 느리지 않다는 걸 입증하려고 호랑이의 콧수염을 뽑아 보여주는 그림은 정말 재치가 넘친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 장면이다. 얼마나 느린 곰탱이란 말이 듣기 싫었으면 눈 깜짝할 새 콧수염을 뽑아 나그네에게 보여줄까!

 

 

 어디 그 장면 뿐인가! 재판을 받으러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통에 지치고 더워서 그늘에서 쉬게 된다. 그 장면에서 나그네가 체면도 생각지 않고 웃통을 훌훌 벗어 던져 나뭇가지에 걸치고, 쉬고 있는 모습은 웃음이 절로 나게 만든다.

 

 

 이렇게 토끼의 재판 구석구석에 작가님의 해학이 보인다. 죽게 될 지도 모르는 긴박한 상황에서 9번의 재판을 받으러 다니는 호랑이와 나그네의 그 발걸음은 긴장되고, 두렵기보다 마치 마실을 다니는 것처럼 이 동물 저 동물의 형편을 살피러 다니는 모양새다. 동물들의 말을 들어보니 그동안 사람한테 당한 것들이 많아 보인다. 토끼를 뺀 나머지 동물들은 인간에게 호의적이지 않다.  아니 오히려 적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차피 호랑이를 살려 두면 머잖아 잡아먹힐 신세인데도 그들은 오히려 호랑이더러 인간을 잡아먹으라고 한다. 그들의 재판은 현재 나그네와 호랑이의 전후사정과는 전혀 상관없이 자기들이 그동안 인간에게 당한 고통을 떠올리면서 내리는 아주 주관적인 판단일 따름이다.

  

아주 불리한 처지에 놓인 나그네에게 이제 마지막 재판관 토끼만이 남아 있다. 나그네가 토끼에게 넙죽 절을 하고 있는 모양새를 보아하면 토끼가 어떤 판결을 내렸는지 능히 짐작이 갈 것이다. 하지만 토끼가 정말 나그네가 불쌍해서 그런 판결을 내린 것 같지는 않는다. 아마도 앞선 동물들이 그 호랑이가 풀려나면 결국은 자신들은 잡아 먹게 될 것을 그 한치 앞도 살피지 못하고 호랑이더러 나그네를 잡아 먹으라고 했던 반면, 토끼는 호랑이를 살려 두면 결국 호랑이가 자신을 잡아 먹으리란 것을 예감하고  호랑이를 허방다리에 다시 가둔 게 아닐까 싶어진다. 여기서 지혜란 다름아닌 앞을 헤아려 볼 수 있음을 말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며 그래서 토끼가 나그네에게 하는 다음과 같은 말이 심상치 않다.

 

나그네여, 어찌 호랑이를 풀어 주셨습니까?

허방다리를 팠을 때는 그만한 까닭이 있었을 터인데 말입니다.

 

 

 지혜로운 토끼에게 시선이 집중되기가 쉽겠지만 - 제목도 토끼의 재판이고 - 난 아홉 번의 재판을 지켜보면서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 인간이 나무나 동물들에게 도가 넘치는 나쁜 일들을 많이 저질렀구나 싶어서 미안하다는 마음이 들었다. 인간도 그들도 모두 자연의 일부부인데 말이다. 그래서 지혜로운 토끼에게도 시선이 가지만 이 이야기는 어떤 면에서는 인간에게 들려주는 경종의 메시지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