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타 할아버지 사로잡기 작전 ㅣ 작은도서관 37
정영애 지음, 원유미 그림 / 푸른책들 / 2011년 12월
평점 :
12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바로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하면 뭐니뭐니해도 산타클로스! 오늘 수퍼남매도 산타할아버지께 각각 받고 싶은 선물을 카드에 적었다. 11개월 내내 말썽에 장난만 치던 아이들도 12월 한 달 만큼은 산타 할아버지가 선물을 안 주실까 봐 슬금슬금 눈치를 보며 착한 일을 하려고 드니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들을 협박(?)하기에 참 좋은 달이기도 하다.
국수도 다른 어린이들처럼 산타를 무지무지 기다리는 아이 중의 한 명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다른 아이들은 산타 할아버지가 가져다 주시는 선물을 기다리는 것이지만 국수는 산타할아버지를 사로잡아 친구들에게 보여 주려고 기다리고 있다. 왜 국수가 산타 할아버지를 사로잡으려고 하는 걸까? 그건 바로 아이들과의 토론에서 비롯된다. 이맘 때면 산타가 있다 없다로 설전이 펼쳐지곤 하는데 국수네 반에서도 산타가 있다 없다 논쟁이 벌어졌다. 당연 국수는 산타가 있다는 주장을 하게 되었고 산타는 없고 그건 아빠가 산타로 분장하여 선물을 놔두고 간다고 주장하는 아이들의 코를 납작하게 해 주기 위해 산타 사로잡기 작전에 몰두하게 된다. 국수는 왜 굳이 산타를 사로잡으면서까지 산타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것일까? 그건 바로 국수에게는 아빠가 없기 때문이었다.
국수는 엄마와 단 둘이만 살고 있다. 엄마와 아빠는 철부지 대학생 시절에 결혼하고, 국수를 낳자마자 아빠는 떠나 버렸다. 그렇게 남겨진 엄마와 국수 둘이서 살아가고 있다. 회계사인 엄마 덕분에 경제적으로 어렵지는 않지만 국수는 엄마가 퇴근할 때까지 반나절을 혼자서 지내야 한다. 그나마 지하에 마련해 준 귀신방(놀이방을 그렇게 부른다)이 있어서 외로움을 달랠 수 있었다. 국수가 산타를 사로잡고 싶어 하는 속마음에는 아빠가 없는 아이들을 은근히 무시하는 아빠가 있는 아이들에 대해서 보란 듯이 한 방 펀치를 날려 주고 싶은 마음이 컸을 것이다.
한편 국수에게 10년 만에 아빠가 나타난다. 면접교섭권을 가지고 말이다. 초반에는 관계회복을 위해 국수를 위해 뭐든지 해 주던 아빠도 시간이 지나자 차츰 귀차니즘이 몰려와서 귀신집(아빠집을 그렇게 부른다)에 틀어박혀 있거나 나중에는 2주에 한 번 만나는 것도 미루는 등 역시나 이기적이고 철부지 같은 면모를 보여 준다. 면접교섭권까지 어렵게 따내서 아들을 만나겠다고 생난리 칠 때는 언제고, 불과 몇 개월 만에 이렇게 나가 떨어지다니... 역시 철부지 아빠 답다. 그러니 국수 엄마의 마음이 다른 남자에게 자꾸 가려고 들지. 그렇게 국수를 슬슬 귀찮아(?) 하는 것 같아 보이는 아빠인데도 불구하고 국수는 아빠 없던 시절보다 가끔이라도 아빠를 만나는 지금이 더 행복한가 보다. 부모란 그런 존재인가 보다. 아무리 못난 부모라 해도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 주니 말이다.
얼마 전 어떤 나라 뉴스 앵커가 산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망언을 하는 바람에 시청자들로부터 질타가 쏟아졌다고 한다. 12월 내내 아니 일년 내내 산타를 기다리고 있을 어린이들에게 찬물을 끼얹어도 유분수지. 기다리는 그 자체가 행복하다. 우리 수퍼남매도 오늘 카드를 썼으니 아마 크리스마스 때까지 행복하게 기다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