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함께 세상구경
노경실 글, 이담 그림 / 휴먼어린이 / 2010년 11월
장바구니담기


노경실 작가와 이담 작가가 함께 한 작품이라는 것만으로도 소장 가치가 충분하다.

경실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어릴 적 자신의 경험담을 세세하게 풀어 내고 있다. 아빠라는 든든한 존재와 함께 첫 세상 구경을 하면서 경실이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꼈을까? 경실이와 함께 가 보자.

다섯 살 난 경실이는 아빠와 함께 서울 나들이를 하기로 한다.

먼저 전차를 타기로 한 경실이. 마냥 설레고 신이 난다.
저기 전차가 오네.

전차에 아빠와 나란히 앉은 경실이는 반대편에 앉은 사람들을 관찰한다.
닭을 보자기에 싸서 안고 있는 할머니,
젖을 먹이는 아주머니,
큰 짐을 지게에 인 채로 앉아 있는 아저씨 등등
정말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이다.

경실이는 성에 낀 창문을 호호 불어 바깥 세상을 본다.
" 동전만 한 세상이 고구마만 하게, 호떡만 하게, 빈대떡만 하게 커졌다"
- 이 표현이 참 좋다.

창문을 통해 본 서울의 모습이다. 지금과는 완전 딴판이다.
작가가 58년 개띠이니 40-50대 들은 작가가 본 것을 본 기억이 날 것이다.
나 또한 어렸을 적에 소 달구지와 망태 아저씨를 봤던 기억이 난다.

동대문에 내려 아빠와 함께 <돌아온 외팔이>란 영화를 본다.
그 시절에는 동네에서 외팔이 아저씨을 자주 봤던 것 같다.
가끔은 나병 환자들이 돌아 다니면서 구걸을 하여 엄청 무서워했던 기억이 난다.

나들이에 빠질 수 없는 자장면.
자장면 한 그릇이면 정말 최고였던 그 시절.

아빠와 행복한 나들이 속에 갑자기 시커먼 손이 불쑥 나타난다.
경실이는 너무 놀랐다.
경실이와는 달리 이렇게 구걸을 하러 다니는 자기 또래의 아이도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집집으로 구걸하러 다니는 사람들이 참 많았었다.

작가가 그림 작가에게 특별히 부탁했다는 마지막 장면이다.
하룻 동안 경실이가 봤던 그 모든 것들을 이 장면에 다 넣어달라고 했단다.
경실이가 아빠와 함께 한 세상 구경에는 행복한 것, 그렇지 못한 것도 섞여 있다.
이 세상이 실제로 그러하니깐 말이다.
다섯 살 경실이 눈에 비친 세상 또한 아름답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다.

하지만 아빠라는 이름이 있기에 든든하다.

이 책 또한 어린이보다는 부모가 읽고 감동할 책이다.
경실이의 아빠처럼 그런 든든한 존재가 되어야지 하는 결심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우리의 자녀가 경실이처럼 나를 이렇게 기억해 주고 있다면 그게 가장 행복한 부모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1-08-06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담 그림책으로 노경실 작가의 경험이야기라니 관심이 갑니다.
노경실 작가가 58년 개띠씩이나 됐어요? 놀라워라~~~ ^^
여기서는 왜 사진이 아주 작게 보일까...

수퍼남매맘 2011-08-07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사진 크기를 작게 했어요. 다시 고치려다가 귀찮아서 그냥 놔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