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거인
프랑수아 플라스 글 그림, 윤정임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겨울에 이 책을 알고나서부터 정말 읽고 싶었는데 오늘에서야 드디어  다 읽었다.  정말 뭐라 표현할 말이 없다. 

수채화로 그린 아름다운 그림. 더불어 그보다 더 아름다운 거인의 모습, 그리고 거인과의 아름다웠던 시간들을 침묵하지 못하고 끝내 발설하므로써  자신의 잘못을 사죄하는 의미로 모든 것을 버리고 끝까지 숨어 지낼 수 밖에 없는 주인공 루트모어의 이야기는 재미있기도 하지만 정말 우리 인간이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말해 준다. 

책 서문에서<자연과 더불어 살아가지 못하고 자신을 낳아 준 자연을 파괴하며 살육하는 데에 주저함이 없는 인간의 사악한 이기심을 조용히 비판한다> 고 써 있는데 정말 다 읽고 나서 가슴이 먹먹해지고 정말 모든 것을 버리고 숨어 지낼 수 밖에 없는 루트모어의 후회가 느껴진다.  

루트모어는 어느 날 우연히 거인의 치아를 가지게 되고 그걸 조사하다가 거인들이 사는 숲에 도착하게 된다. 아사 직전에 있던 그를 거인들이 살려 내고 그 곳에서 거인들과 시간을 보낸다. 다시 인간 세상으로 돌아온 그는 거인들에 대한 책을 쓰게 되고  거인의 실재에 대해 강연까지 하게 되는데 결국 이런 모든 행동 때문에 9명의 거인들이 몰살당하고 만다. 자신을 구해 주고 사랑하던 거인 안텔라의 목을 보면서 루트모어는 말한다. < 거인들이 실재하고 있다는 달콤한 비밀을 폭로하고 싶었던 내 어리석은 이기심이 이 불행의 원인이라는 것을 나는 마음 속 깊이 너무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책 뒷면에 있는 최재천 교수(서울대 생명학부 교수)님의 말씀 또한 구구절절 옳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인데 막둥이 격으로 태어난 인간이 자연을 함부로 다루고 그 모든 일련의 일들이 안타깝다는 말씀이었다. 그러면서 언젠가 <호사도요>라는 새가 발견되어 관심이 집중된 적이 있었는데 그 새가 사는 곳이 만방에 알려지면 새들의 보금자리가 없어지고 결국 새들이 더 이상 그 곳에서 살기 어려울 텐테라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던 중 그 기사를 쓴 기자도 그걸 우려해서 잘못된 주소를 실었다며 교수님께 살짝 알려 주더란다. 기자는 기자의 양심을 팔긴 하였지만 그래도 호사도요를 구한 셈이다.    

거인 안텔라가 죽으면서 루트모어에게 했던 말 < 침묵을 지킬 수는 없었니?> 이다. 때로는 인간의 침묵이 자연을 보존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지금도 여기 저기에서 벌어지는 자연 파괴 사업들! 다시 한 번 생각해 봤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