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 시의 놀이터 상상문고 14
제성은 지음, 정은선 그림 / 노란상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028 오늘 읽은 책

제성은 글/정은선 그림/ 노란상상

<오후 네 시의 놀이터>

동화책 보며 우리 남매를 지극 정성과 사랑으로 키워주시던 친정 부모님이 생각 나서 훌쩍였다. 특히 여시아 할빠가 돌아가신 아버지 모습과 겹쳐져 눈물이 났다.

이 책은 오후 네 시 놀이터에 손주와 함께 와서 육아를 하는 남지민 할마(할머니 엄마)와 여시아 할빠( 할아버지 아빠)의 고군분투 이야기다. 초 4인 남지민과 여시아가 남녀 주인공이지만 난 할마와 할빠의 삶이 더 눈에 들어왔다. 특히 키오스크로 음식 주문할 때 못해서 진땀 빼는 그 장면, 완전 공감한다.

나처럼 그 시기를 지나온 부모는 추억을 회상하며 공감하게 되고 , 아직 경험하지 못한 예비 부모는 미래를 대비하는 법을 알 수 있다.

아이 입장도 마찬가지일 것 같다. 지민과 시아 입장에서도 부모님 대신 어린 동생을 돌보는 일이 녹록지 않음을 공감할 수 있겠고 , 자신의 유아 시절, 자신을 돌봐주셨던 그 누군가를 회상하며 감사한 마음을 떠올릴 수도 있겠다.

혹시 지민 할마와 시아 할빠처럼 손주를 돌보시는 어르신들이 이 책을 읽으신다면 지민 할빠의
" 우린 늙어 가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익어 가는 겁니다"말씀에 작은 위로를 받으실 수 일지 않을까 싶다.

지민 엄마를 보자. 이제 육아휴직을 마치고 회사로 복직하는데 전문 돌보미를 구하지 못해 결국 친정 어머니께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 자식 키우느라 고생하셨던 부모님이신데 나이 드셔 손주까지 돌봐달라고 말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정말 친정 어머니 아니셨다면 얼마나 막막했을까 싶다. 나도 갑자기 엄마가 당뇨가 심해져 딸을 어린이집에 보내야해서 얼마나 황망했는지 모른다. 딸은 어린이집 안 간다고 매일 울고불고. 전쟁이었다 .

지민 할마 입장을 보자. 애 키운 공로는 없다 하지 않던가! 서운하고 속상해서 흘리는 할마의 눈물이 이해 된다 . 정성으로 지민의 동생 지후를 돌보지만 애 키우다 보면 사고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엄마가 24시간 봐도 사고는 잠깐 사이에 일어난다. 지민 엄마와 지민 할머니의 소소한 갈등이 보이는데 이것도 100퍼센트 공감된다. 나도 그랬다. 육아 가치관이나 방법이 달라 종종 엄마와 갈등이 있었다. 엄마와 할마가 갈등할 때 지민이의 언행이 참 지혜롭다 싶다. 할마 서운하지 않게 말이다 .

이렇게 아이 하나 키우는 게 너무 힘드니 출산율이 당연히 저조할 수밖에 없다. 자녀 한 명, 두 명 , 세 명 차이도 크다. 작년에 8시 경에 출근하면 가끔 돌봄 교실로 등교하는 1-2 학년 친구들을 본다. 어쩐지 마음이 짠해진다. 아침에 그 가정은 얼마나 바빴을까! 수많은 지민이와 비슷한 가정이 오늘도 아침에 전쟁을 치르고 있을텐데 좀더 안정되고 여유로운 아침 출근, 등교, 등원을 위한 해법은 어디에 있을까. 지민이 엄마처럼 개인이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마을이 나라가 해결해 주는 사회가 속히 오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 책은 삼대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지민, 지민 엄마, 지민 할머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