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빨리 모범생 라임 어린이 문학 25
박서진 지음, 오윤화 그림 / 라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민이네 반에  "빨리빨리 작전" 이 생긴 건 순전히 선생님 때문이었다.

선생님이 갑자기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

1학기에 보지 않던 단원평가를 실시한다는 이야기와 함께 메트로놈을 가져오면서부터다.

그때부터 아이들은 빨리빨리에 중독되어 갔다.

메트로놈 소리에 맞춰 행동을 하다보니

식당에 가서도 빨리 먹으려고 새치기를 하고

밥도 허겁지겁 먹어 배가 아프고

문제집을 빨리 풀기 위해 해답지를 보고...

역효과가 하나둘 생기기 시작한다.

심지어 구민이는 지난 번 심어 놓은 씨가 싹을 틔우자 빨리 자라라고

싹을 쭉쭉 뽑는 통에

식물이 죽어버리는 일도 생기게 된다.

이쯤 되자 선생님도 뭔가 잘못 되어가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누구나 자기만의 속도가 있는 법인데

무조건 빨리빨리만 외치면 이렇게 탈이 난다.


교실에는 자기만의 속도를 가진 아이들이 존재한다.

빠른 아이도 있고 느린 아이도 있다.

그런데 구민이네 반 담임 선생님처럼 

교사나 부모가 아이에게 "빨리빨리"만을 강조하다 보면

아이들 대부분은 구민이네 반처럼 편법을 쓰게 된다.

내가 교실에서 가능한 선착순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다.

예를 들어 "알림장 먼저 쓴 사람부터 급식 먹자"

이러면

도덕적인 아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림장을 제대로 쓰겠지만

승부욕 강한 아이들은 글씨 날려 쓰고 대충 빼먹고 쓰면서까지

급식을 1등으로 먹으려고 한다.


조금 늦더라도 정당한 방법으로 제대로 하는 것을 가르쳐줘야 하는 게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아이들이 가진 고유의 속도를 인정해 주고 그 아이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맡은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게 어른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빨리빨리 보다는

자기만의 속도대로 제대로 하자를 강조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