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리커버)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작가의 이름이 너무 예뻤다. 어릴 때부터 '채'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이름을 좋아해서 아이의 이름에도 하나 넣었는데 '채경'이라는 이름이 너무 예쁘더라. 그런데 그 사람이 천문학자란다. 천문학에는 우둔한 나이지만 우주나 하늘에 대해선 낭만적인 꿈을꾸는 내게 천문학자의 직함은 경외의 대상이었다. 


 과학적 지식도 좀 쌓아볼까 싶은 마음이 없었던 것도 아니다. 지난 겨울 대중적이고 재밌다고 해서 읽은 '코스모스'가 전혀 재밌지도 쉽지도 않아서 자괴감이 들었었다. 김상욱 교수의  '떨림과 울림'은 어려웠지만 아름답고 더 알고팠는데 '코스모스'는 '나는 대중의 수준에 못 미치는 것인가?' 속으로 앓으며 겉으로는 '코스모스 읽은 사람'인 척 했다. 과학에세이에 목말라 하던 터였다. 그런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책은 과학에세이가 아닌 과학자의 에세이라 다소 불순한 나의 마음은 충족되긴 어려웠다. 하지만 '코스모스'보다 쉽고 '떨림과 울림'만큼 아름다운 글들이 담겨 있어 고민없이 끝까지 다 읽게 되었다. 


 천문학자로서의 전문적인 이야기와 한 사람의 노동자로서의 이야기, 지금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으로서의 이야기가 따뜻하게 담겼다. 따뜻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숨기거나 피하지 않고 명확하게 전하는 점이 좋았다. 우주인 이소연에 대한 응원, 달 탐사가 미뤄진 데에 대한 해명을 조곤조곤하게 무례하지 않게 이쪽저쪽에 모두 이야기 하듯 하는 모습이 작가가 좋은 사람일 거라는 믿음이 생겼다. 따뜻하지만 단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에세이란 이런 명확한 아름다움이 있어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심어준 책이었다. 


  어젯밤에 꿈을 꾸었다. 과감하게 학년 중에 휴직을 해 버리는. 그 개운함이 기분이 좋아서 오랜만에 제대로 된 꿈을 꾸었구나 만끽했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고 별과 관련된 데이타를 본다지만 선생은 학생을 보지 않고 학생에 관한 데이타만 봐서는 안 되는 노릇인데 그만 둘 생각을 하면서도 밥그릇을 잡고 산다. 마치 천상 선생인 것처럼. 그래, 꿈은 꾸자. 작가에게 우주가 꿈을 꾸는 공간이든 나에겐 나의 우주가 있고 그 우주 안에서 나는 나만의 꿈을 꾸련다. 삶은 삶이고 꿈은 꿈이지 않겠는가. 좋은 책을 읽었고 좋은 꿈을 꾼 하루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리커버)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밑줄 


장기하식으로 말하자면, 천문학자가 《코스모스》를 완독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뭐 상관없는 거 아닌가?
  - P86

한국 최초의, 그리고 한국 최고의 우주인인 그를 한껏 응원한다. 우리는 우주인 이소연이 지상 훈련에서, 우주 실전에서, 그리고 우주에 다녀온 뒤에 겪은 모든 이야기에 귀기울여야 한다.  - P109

우주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만 원짜리 한 장은 가지고 다니도록 하자. - P2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대 이상으로 문장력까지 좋은 소설. 비유가 좋다고 느낀 때가 자주 있었다. 드라마를 볼까 말까? 소설만으로도 괜찮은데....그래서 내가 아직도 랑야방을 못 봤다는 거.


"도저히 모르겠다. 날 사랑하시는 건지 두려워하시는 건지. 날 보호하시려는 건지 죽이시려는 건지......" - P478

안타깝게도 조정의 관원들은 모두 명석한장사꾼들이었으며, 조당은 이들의 시장으로 전락한 지 오래였다.
- P4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반한 책

1980년대 어린 아들과 친구들을 데리고 수학동아리를 운영한 경험을 기록한 수학일기<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논문이 베이스가 된 터라 일반적인 일기를 넘어서지만 기록의 의미를 다시 확인한다. 아주 일반적인 일기를 묶어 책으로 낸 이후 일기에 대해 더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이것을 일종의 책임감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가끔 소환되는 내 독서일기가 2013년 즈음인 걸 볼 때마다 마음이 편안해진다. 내 기록은 의미있다는 위로랄까? 더 의미있어질 것이라는 다짐을 포함한.

아이에게 오늘 많은 책을 읽어주다 몇 해 전 어린이집 선생님께 선물드린 <나, 꽃으로 태어났어>를 다시 봤다. 그리고 전에도 한 번 감탄했던 <눈을 감고 느끼는 색깔 여행>도 다시 보아도 아름다웠다.

북카페를 나오려던 참에 아이가 빈백 코너에서 한참 읽길래 나도 기다리며 이 책 저 책 읽다가 맘에 든 <스스로 생각하는 아이>. 요즘 애들은 생각도 그렇고 노는 것도 스스로 잘 안 한다고 느끼는 건 나뿐일까? 자유로운 할머니가 되는 것보다 자유로운 아이들이 되는 게 내겐 더 관심 대상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1-07-29 01: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앗! 저렇게 똘똘하고 귀엽게 생긴 꼬마가 있으신 젊은 엄마 그렇게혜윰님 부러워요. 😍 내 기록은 의미 있다는 위로..라는 글 좋아요!!

그렇게혜윰 2021-07-29 01:54   좋아요 1 | URL
7살 터울이라 육아가 깁니다ㅠㅠ
 
딱 하나만 선택하라면, 책 - 책덕후가 책을 사랑하는 법 INFJ 데비 텅 카툰 에세이
데비 텅 지음, 최세희 옮김 / 윌북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취향저격 당해 본 사람?

아들들이 좋아하는 음료가 걸어서 40분 거리의 도서관 옆에 있고 산책 삼아 혼자 걸어서 다녀오기로 했다. 물론 스무디의 특성상 올 때는 버스로.

어제 빌린 에세이 하나를 들고 가 근처 카페에서 대충 읽고 반납을 한 후 서가를 구경하다 제목은 좀 아쉬운데 그 자리에서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책 발견! 기대보다 더 좋았다. 작년에 책에 관한 카툰책이 히트 친 것이 있었는데 그것보다 훨씬 난 좋았다.

과장되지 않게 책 좋아하는 사람의 면면이 담겨 있다. 어떤 책은 읽으면서 ˝그 정돈 아닌데?˝ 갸웃거리게 되는데 이 책은 딱 내 일상!
그렇게 하루의 고단함을 쉬어갔다.

지금은 깜장비니루에 스무디 담아서 귀가 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7-20 08: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서 대여를 하지 않고
단박에 읽는 책을 만나는 것도
도서관을 찾는 즐거움 중의
하나인 것 같습니다.

깜장비니루에
스무디는 뽀나수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