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 좋은 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책읽기 좋은 날 - 씨네21 이다혜 기자의 전망 없는 밤을 위한 명랑독서기
이다혜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수많은 독서에세이가 주는 기쁨은 조금, 자괴감(까지는 아니어도 아무튼)은 더 많이,일 때가 있다보니 언젠가부터는 독서에세이에 손이 가지 않았다. 저자가 읽었다는 도서를 나도 읽었을 땐 남다른 느낌이나 동감이나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지만 생소한 도서일 경우엔 낯선 나라의 이국어로 들릴 확률이 높다. 안 읽은 책들 중 끌리는 책을 체크해 뒀다가 다음에 읽을 거리들로 곳간에 쌓아두는 것도 어느 정도다. 밀리기만 하고 대체 사놓고 재여놓은 것들은 언제 다 읽을 거냐구, 이렇게 머리를 쥐어 박는 거다.
나는 이다혜 기자의 이름도 처음 들었다. 영화를 좋아하지만 씨네21을 읽어보는 일은 거의 아주아주도 잘 없다보니. 그런데 이 여자분 대단히 유명한 글쟁이다. 아니, 라디오에서 책을 소개하는 코너에서 들어본 적이 있는 것도 같고. 아무튼 내 기억엔 첫만남이고 첫사랑이 될 듯하다. 젊고 재기발랄하고 독서의 양과 질도 이렇게나 통통 튀다니. 이 책에서 소개된 책들만 해도 동서남북 버라이어티 쇼 이상이다. 만화에서부터 스릴러, 추리소설에서 고전소설, 자기계발서에서부터 인문사회 과학, 우리나라 도서에서 외국 도서까지 두루 손닿지 않은 데가 없어보인다. 다행히, 첫 책은 임범의 '내가 만난 술꾼'이다. 영화 '북촌방향'에서 자주 등장한 술집 '소설' 이야기도 나와 반갑다.
눈길을 더 끄는 건, 짧고 경쾌하고 명쾌한 글쓰기 방식인데, 자신만의 톡톡 튀는 독법에서 비롯한다. 한 권의 책을 읽고 이렇게나 엉뚱하고 색다른 소리를 초점을 잃지 않으면서도 유머러스하고 의미심장하게 할 수 있다니. 연애의 구질구질함에서부터 에로틱 환상에 너털웃음 웃는 모습까지, 가볍다가도 진중하고 쿨한 척하다가도 마음 약하고 따뜻하다. 게다가 자신의 경험과 체험, 일상에서의 크고 작은 느낌들을 절묘하게 환기해 어느 책에나 끌어붙인다. 스스로 말했듯, '그 책을 읽던 시기의 세상살이에 대한 내 생각이나 추억을 엮어' 썼다. 독서가 생활이고 생활이 독서인 정말 생활형 독서가라 부르고 싶어진다. 유명 작가들의 뒷이야기나 어느 작품의 배경 등 재미있는 정보도 쏠쏠하다.
거짓이 사회의 윤활유가 될 수는 있겠지만 아무리 좋은 윤활유도 엔진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그리고 그 사회의 엔진은 바로 정직과 솔직이다. (p160)
위의 글은 위르겐 슈미더의 <왜 우리는 끊임없이 거짓말을 할까>를 이야기하며 저자가 인용한 글귀다. 물론 나는 이 책을 읽어보지 못했다. 요즘 대세는 재력도 권력도 아니라 바로 '매력'이라는 말이 있다. 어떤 식으로든 매력이 없으면 꽝이다. 사람도 책도 매력이 있어야 뭐 그다음 일이 된다. <책 읽기 좋은 날>이 매력적인 이유는 이렇게 전혀 읽어보지 못한 책에서조차도 흥미로운 눈길이 가게 하는 점이다. 지루하지 않고 호기심 폴폴 이는 눈길로 끌어들이는 문장 덕분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읽고 싶어져서 붙여둔 포스트 잇이 주렁주렁일 가능성이 높다. 가령 이런 책 <작가가 작가에게>...
제임스 스콧 벨이 쓴 <작가가 작가에게>는 소설을 쓰는 77가지 전략을 소개한다. 과연 이 책이 하는 말이 진짜일까?
도움이 될까? 이 책에는 구체적인 조언들이 가득하고 전략과 전술이 빼곡하다. 한국에서는 아무 쓸모도 없는 에이전트
관련 지시사항도 있지만 소설에 절대 쓰지 말아야 할 것들로 날씨, 꿈, 행복한 사람들을 제시하고, 등장인물을 생각에
잠기게 하지 말라는 조언은 너무 적확해서 소름이 돋는다. - p 221
그나저나 책 읽기 좋은 날은 일년 365일인데 뭐하냐. 책을 읽어 더 잘 산다고 장담할 순 없지만 책이 있어 행복하다.
잊혀도 좋은 이름 없듯이, "잊혀도 좋은 책은 없다. 부디 이 책도 그러하면 좋겠다"고 말한 저자가 솔직해 보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24/pimg_749263175762619.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