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사람의 손을 유심히 보는 습관이 있다. 내게 가장 커다란 손은 아버지의 손이다. 아침 일찍 일어나 가게 앞을 비질하고 전자기기들를 꼼꼼히 닦고 기계를 수리하고 무거운 짐도 거뜬히 들어올리던, 검고 두꺼운 손. 아버지의 손아귀에 한번 들어가면 빠져나오기란 쉽지 않았다. 세남매가 아버지 손가락 하나에 매달려 팔씨름을 하거나 꽉 쥔 손아귀를 한 번 펴보라는 주문을 받을 때면 온 힘을 다해 앙다물고 덤벼도 우리 셋은 아버지 한 사람을 이길 수 없었다. 아버지의 악력은 대단했다.
그런 아버지의 손에 붙들려 우물 안으로 빠질 뻔한 기억은 악몽이다. 급성 신장염에 걸려 치료를 해야했는데 쓴 알약을 안 먹겠다고 악을 쓰던 아홉살 나는 어느 날, 거꾸로 들려선 우물 안의 시퍼런 속으로 들어갔다 나갔다 정신이 혼미해져서야 풀려났다. 그래도 발이 땅에 닿자마자 '나 죽는다'고 펄펄 뛰던 나도 참 어지간했구나 싶다. 크고 두터운 손은 성실하고 믿음직스럽지만 나는 그런 손이 두려운, 이중의 감정을 갖고 있다. 아무튼 나는 아버지의 손을 잡아본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니 거의 가물가물하다. 그런 애정의 결핍이 내 손을 꽉 잡아주는 손을 무한정 좋아하게 만들었던지도 모르겠다.
팔순을 바라보는 아버지를 생각하며 당신의 악력은 어느 정도였나 생각해보게 된다. 홀로 피난 내려와 자수성가 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아버지의 악력은 서글프리만치 굳센 것이었을 테다. 요즘 점자도서관에서 녹음과 편집을 동시에 하고 있는 리처드 예이츠의 소설 <레볼루셔너리 로드>에서 프랭크 휠러(영화에선 레오나르도 디 카프리오)가 그의 아버지를 떠올리며 손에 관련된 추억을 회상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영화에선 묘사되지 않았던 부분이 책에서 나오고 이 소설은 다분히 프랭크에 초점이 맞춰진 인상이다. 아무튼 냉소적인 문장들이 나쁘지 않다. 2/3 읽었다.)
|
|
|
|
(중략) 그러나 질투가 일어날 만큼 부러웠던 것은 아버지의 악력, 그 힘만은 아니었다. 자신만만함과 감수성 - 사람이 무언가를 붙잡을 때 전해지는 느낌 - 그리고 아버지 얼 휠러가 사용하던 모든 집기에 부여한 숙련된 힘의 아우라가 부러웠다. - 61쪽
|
|
|
|
|
나는 위의 문장을 읽다가 훅 멈췄다. 악력은 세상을 대하는, 세상을 살아내는 자신감만이 아니라 세상의 어떤 대상을 붙잡을 때 내면에 전해지는 느낌이라는 말일까. 악력이 감수성과 무슨 상관이람, 이라고 잠시 생각할 틈도 없이 나는 김훈의 소설 <공무도하>에서 "악력을 좀 길러봐" 라고 장철수에게 말하던 노목희와 경사의 말이 떠올랐다. 다 늘어진 소맷부리 아래로 맥없이 내려와 있던 손목과 손등 그리고 손가락이 안쓰러워 충고한 말이다. 가느다란 손목에 힘줄이 도드라진 손등, 앙상한 손가락이 아니었을까.
우리는 흔히 감수성이 예민하다는 말을 쓰곤 한다. 감수성은 '외계의 자극을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이고, 대상을 포착하는 자의 심안에 좌우한다. 무언가를, 누군가를 붙잡을 때에도 악력과 감수성이 살아있으면 좋겠다. 내가 눈으로 마음으로 손으로 붙잡는 모든 것, 그게 꽃이든 눈빛이든 글의 소재이든 그 무엇이든... 동물 중 가장 악력(물론 동물이니 쥐는 힘이 아니라 입으로 무는 힘)이 센 건 뭐니뭐니 해도 악어란다. 거짓눈물을 흘리는 악력의 대왕 악어는 상상력도 풍부한 감수성의 대왕? 과연? 비오는 봄날 저녁의 횡설수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