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생의 사고 ㅣ 한길그레이트북스 7
레비 스트로스 지음, 안정남 옮김 / 한길사 / 1996년 4월
평점 :
화양연화는 없다
사르트르는 “ 타인은 지옥이다 ” 라고 말했다. 그런데 오래된 원시 사회 신화 속 도덕률은 “ 지옥은 우리 자신이다 ” 라고 가르친다. 에둘러 말하지 말고 서둘러 말하자면 : < 그게 그거 > 같지만 곰곰 생각하면 < 그게 그거 > 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사르트르가 말하는 지옥에는 < 나 > 는 속하지 않은 반면, 레비-스트로스가 세계 오지를 찾아다니며 수집한 원시 사회 신화의 서사에는 지옥에 < 나 > 가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사르트르는 내 탓은 하지 않고 남 탓만 하는 것이고, 오래된 신화는 네 탓보다는 내 탓에 방점을 찍는다. 레비-스트로스가 보기에 사르트르는 지독하게 자기중심적(서구중심적) 사고‘를 가진 좌파 꼰대’다(내가 보기에는 사르트르는 좌파 꼰대‘라기보다는 마초 꼰대처럼 보인다. 그는 선민의식에 사로잡힌 부르주아’다).
레비-스트로스는 << 야생의 사고, 제9장 >> “ 역사와 변증법 ”은 온통 사르트르를 씹는 데 할애한다. 그것도 아주 신랄한 어조로 말이다. 그의 말을 그대로 표현하자면 “ 의식적으로 난폭한 표현을 ( 야생의사고, 355쪽 ) ” 쓴다. 역시, 비난할 때는 체면 차리지 말고 제대로 씹어야 제 맛이다. 사르트르는 역사가 있는 인류를 문명인으로 설정한 후에 역사가 없는 인류는 야만인으로 분류했는데, 지구 저기, 저어어기, 저 어어어어...... 어두컴컴한 변방의 부족 사회‘를 주로 관찰한 레비-스트로스가 보기에는 역사가 없는 사회’라고 해서 야만인이라는 단정은 얼토당토목금토‘다. 그렇기에 역사 있는 인류가 역사 없는 인류에게 의미를 가져다주며 축복을 준다는 말은 기만이다. 이럴 때 흔히 하는 말, 너나 잘하세요.
레비-스트로스는 “ 기억 ”를 믿지 않았다. 기억이란 본질적으로 “ 왜곡 ” 이다.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각색한다. 불리한 것은 못 본 체하거나 지운다. 반면 입장에 유리한 사실은 취사선택 하여 과장한다. 기억이란 솎아 내거나, 지우거나, 확대한다. 그 결과, 자신이 잡은 생선은 “ 피라미 ” 인데 기억에 의해 재생된 물고기는 “ 월척 : 한 자가 넘는 물고기 ” 이다. 얼척없는 과장인 셈이다. 이 기억을 개인에서 국가로 확장하면 역사’가 된다. 역사란 개인적 기억을 국가의 기억으로 확장한 것이다. 피라미를 잡았으나 월척을 잡았다고 기억하는 낚시꾼의 오류나, 역사 있는 인류가 역사 없는 인류에게 축복를 내렸다는 역사의 오류나 매한가지‘다. < 보수 > 는 기본적으로 과거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다.
옛것은 낡고 가난한 것이지만 가치 있고, 새것은 번드르르하고 삐까번쩍하지만 싸가지가 없다고 믿는다. 그래서 매사에 새것(젊은 것)은 못마땅한 존재다. 하지만 위에서도 지적했듯이 기억이란 왜곡을 동반한다. 그들은 < 21세기 새것 > 에 비해 < 20세기 옛것 > 은 투박하며 품질은 떨어지지만 낭만과 운치가 있었다는 생각은 완벽한 착각’이다. 왜냐하면 옛것은 그 당시에는 번드르르하고 삐까번쩍한 신상이었다는 사실은 까마득히 잊고 있는 것이다. 까마귀도 아니고 말이다. 보수가 옛것을 그리워하는 이유는 그 시대의 문화가 아니라 자신의 젊음‘이다. 젊었기에 좋았던 것이지 그 시절이 좋았던 것은 아니다. 그들이 그리워하는 것은 자신의 젊음이다. “ 왕년에 ~ ” 라는 흔한 말투는 그 사실을 증명한다.
자신은 “ 젊음 ”에 대해 높은 점수를 주면서 정작 요즘 젊은것들’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다. 하지만 젊다고 해서 좋을 것 하나 없다. 그 시절에는 그 시절에 맞는 무게를 짊어져야 한다. 낭만은 없다. 낭만이란 과거를 회상할 때 발생하게 되는 감성일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