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교육'은  인간'의

결함을 숨기려는 데 있다


                                       개인은 사회의 희생을 강요할 수 없다. 치안이 불안한 사회'는 곧 개인에게 불이익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는 개인의 희생을 강요할 수 있다. 세월호 집회 때 시민이 도로를 점거하면 불법 집회가 되지만 경찰이 "치안을 이유로  차벽 " 을 설치하면 불법이 아니다. 명백한 시민 보행권'을 침해하는 행위'인 데도 말이다. 네가 하면 로맨스이고 내가 하면 불륜이냐 ?  이처럼 사회와 개인은 불평등 관계'에 놓여 있다. 개인 입장에서 보면 사회는 패대기치고 싶은 대상'이다. 더군다나 공정 사회'가 아니라면 " 패대기 욕망 " 은 극에 달할 것이다. 대한민국 사회는, 그래요.... 건강한 사회가 아니라 썩어빠진 사회'랍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부모는 자식에게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 되라고 말한다.

이 말은 썩어빠진 사회'를 도우라는 뜻이 아닌가 ? 부모가 돼서 이 사회의 공모자'가 되라는 소리나 작작하고 있으니 통탄할 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당당하게 말할 필요가 있다. " 저는 사회에 필요 없는 인간이 되겠습니다 ! " 웃자고 하는 소리'가 아니다. < 필요 > 는 관념과 물건 따위를 지시하는 단어'와 어울려야지 엉뚱하게 사람 옆에 붙으면 안된다. 누군가가 당신에게 " 우리 조직에 꼭 필요한 사람 " 이라고 귓속말로 은밀하게 말한다면 그 사람은 열에 아홉, 당신을 소모품 따위로 취급하는 인간이다. 백만돌이 에너자이저인 당신이 팔팔할 때에야 우야우야 떠받들겠지만 백만 스물 하나에서 백만 스물 두우우우우울'이 되는 순간 쓰레기통에 버릴 것이다. 조직에 의해 제거된 희생자는 한때 조직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인물이라는 소리를 들었던 인물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필요한 인간과 불필요한 인간 따위로 모집단을 나눌 수 없다. 인간을 < 필요 - 인간 > 과 < 불필요 - 인간 > 으로 나누는 사회는 파시즘 국가'가 될 위험이 있다. 히틀러는 장애인, 집시, 유대인을 악(불필요한 인간)으로 취급했던 위험한 인간이 아니었던가. 그는 인간을 " 빠떼리 " 를 삽입한 automan쯤으로 취급한 인물이었다. " 빠떼리가 다 된 놈은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 " 이런 놈에게는 빠떼루를 줘야 한다. 권정생은 이오덕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상대가 선할 땐 나도 선한 것이고 상대가 악할 땐 나도 악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인간 자체가 악한 것도 아니고, 그리고 선한 것도 아니라 다만 어리석다는 것뿐입니다.

지나친 지혜로움은 사악을 유발시키고, 지나치게 착한 것은 어리석음의 원인이 됩니다. 아담과 이브가 몰락하게 된 원인도 그들은 지나치게 착했기 때문입니다. 선한 사람은 절대 앞뒤 결과에 대한 계산을 하지 못합니다. " 이 깊은 통찰 앞에서 무릎 탁, 치고 아, 했다. 사회는 끊임없이 " 권선징악 " 을 유포하지만 악랄한 놈일 수록 성공하는 사회'다. 그 옛날, 이솝의 주인이 노예였던 이솝을 어여삐 여겨 이런 젠차로 서로 사맛디 아니했던 노비'를 자유인 신분으로 풀어준 이유는 이솝 우화가 주인의 법'에 충실했다는 데 있다. 노예였던 이솝이 동료들에게 꾀부리지 말고 열심히 일하라, 현실에 만족해라, 욕심을 부리지 마라 - 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예뻐하지 않을 주인이 있을까 ? 이솝(우화)는 삶의 지혜'가 담긴 책이 아니라 후흑학에 가깝다.

후흑학이란 후 : 厚 두터울 후'에 흑 : 黑 검을 흑'이 결합한 말로 뻔뻔하고 음흉한 놈이 권력을 얻는다는 사실을 가르치는 학문이다. 멀리 볼 것 없다. 이승만으로 시작하는 한국 정치사'를 보면 답이 나온다. << 이솝 우화 >> 는 고대 그리스의 << 용비어천가 >> 에 지나지 않는다. 후흑의 달인'은 누구보다도 지나치게 착한 놈은 어리석은 놈이라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안다. 한국 사회'가 끊임없이 < 착한 사람 > 을 호명하는 이유'이다. << 이솝 우화 >> 를 읽고 자란 아이는 결국 주인의 법에 길들여진 노예의 태도를 배우게 된다. 이 책은 도덕을 가르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복종에 대해 가르친다. 기득권 세력이 보기에 이보다 " 아름다운 세뇌 " 는 없다. << 잔혹 동시 >> 가 어른 사회에서 격렬한 반감을 일으킨 원인'은

이 시집이 " 어린이-다움 " 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이 詩(학원 가기 싫은 날)에서 시인'은 어른이 요구하는 길들여진 동심'을 거부한다. 한국 사회'는 사회가 요구하는 " - 다움 " 을 거부하는 사람에게는 " 위플래시 " 하는 경향이 있다. 남자다워야 하는데 남자답지 않은 남자는 즉각 << 사내새끼가... >> 로 시작되는, 앙칼진 말풍선 공격을 받고, 여자다워야 하는데 여자답지 않은 여자 또한 << 감히 여자가... >> 따위로 시작하는, 앙칼진 말풍선 공격을 받는다. 아이도 마찬가지'다. 아이다워야 하는데 아이답지 않은 아이'는 되바라진 아이'가 된다. 정상적인 어른이라면 이 詩에서 아이의 상처를 보고 아파해야 하는데, 오히려 이 시 때문에 자신이 상처를 입었다고 징징거린다. " 아이가 고사리손으로 한 대 때려서 아팠쪄요 ?  " 이처럼 사회가 요구하는 성 역할을 위배하면 응징이 따른다.

예쁜 동심은 사회가 만든 허구'다. 천사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사탄도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사탄 없는 천사는 존재하지 않으니까.  마찬가지다. 예쁜 동심을 긍정하기 위해서는 나쁜 동심도 있다는 사실을 긍정해야 한다. 잘못된 교육은 인간의 결합을 숨기려는 데 있다. 권정생의 말이다.

 

 

 

 

덧대기

 

아무리 생각해도 출판사의 삽화는 오버 앤 오버'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15-05-11 19: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예쁜 동심은 사회가 만든 허구˝라는 말에 크게 공감합니다.
예전에 한국 아동문학사를 어설프게나마 공부한 적이 있었지요. 그런 공부를 하는 동안 알게 된 사실이, 아직까지도 한국 아동문학에는 `동심천사주의`라는 사상이 뿌리 깊게 남아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동심천사주의`를 제창한 사람은 이른바 한국 어린이들의 아버지로 불리는 방정환인데, 그는 `어린이 찬미`라는 수필에서 어린이를 일러 `죄 많은 세상에서 죄를 모르고 더러운 세상에서 더러움을 모르고 부처보다도 예수보다도 하늘 뜻 그대로의 하느님`이라고 정의 내리지요.
이런 동심천사주의 사상은 후대 동화/동시 작가들에게 깊고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문제는 방정환의 사상이 당시 천대받고 멸시받았던 어린이들의 인권과 입지를 높이는 데는 효과를 거두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어린이들을 현실의 인간과는 사실상 유리된 감상적/이상적/관념적/권선징악적인 존재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죠. 어쩌면 위 편지글에 나오는대로 권정생과 이오덕이 극복하려고 했던 것은 한마디로 말해 현실과 동떨어진 동심천사주의라고 말해도 좋습니다. 비록 오늘날 쓰여지는 동화엔 그러한 동심천사주의의 영향이 걷혀 있지만, 그래도 사회 다수의 시각은 여전히 `어린이는 어린이답게 순수하고 무구해야 한다`에 갇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 더 얘기를 하자면 방정환은 평론가이자 활동가로서의 자질은 높이 평가받았지만 창작자(그는 수백 편이 넘는 동화를 썼다고 합니다)로서의 역량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게 문학사적 중평입니다. 어쩌면 그는 현실의 아이가 아니라 자신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아이를 상정하고, 거기서 현실과 유리된 사상을 만들려고 했다는 생각조차 듭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5-05-11 19:54   좋아요 1 | URL
이거 뭐. 제가 하고 싶은 말을 요약 정리해 주셨네요.
저도 평소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아이는 작은 어른`일 뿐, 그 아이들에게 자꾸 날개 잃은 천사 역할을 하라고 하면
열받죠. 그것은 아이를 보호하는 게 아니라 아이의 개성을 획일화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이가 어쩌면 저럴 수 있지 ? 라는 말 속에는
아이를 독립체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어른의 어리석음이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솔까말 초등학교 5,6학년만 되도 벌써 성적인 것에 눈을 뜰 나이입니다.

cyrus 2015-05-11 19: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삽화는 좀 과하다고 생각했어요. 사람은 텍스트보다 이미지에 더 강한 인상을 받잖아요. 동시집 폐기 처분 논란에 삽화를 만든 사람은 어떠한 의사를 표명하지 않을 걸로 알고 있어요. 삽화가 잔인하고, 괴기스러워서 일부 사람들이 동시집에 반감을 가졌을 겁니다. 글을 읽어보지 않고, 논란이 된 시와 삽화만 보고서요. ‘어린이-다움’과 ‘도덕’을 강조하는 사람들 중에 그림 형제 동화가 원래 잔인한 이야기라는 진실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5-11 19:52   좋아요 1 | URL
위 수다맨 님이 지적했듯이 ( 이것은 권정생과 이오덕도 같은 생각이었습니다만 ) 한국 아동 문학은 아이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아이에게 날개 없는 천사 이미지`를 입혔습니다 그래서 많은 아동 문학가들이 권정생 동화는 아이들이 보기에 지나치게 우울하다고 평가하고는 했습니다. 사실 필립 아리에스의 << 아동의 탄생 >> 을 보면 어린이`라는 말은 근대를 거치면서 만들어졌다고 하죠 ?이러한 지적은 푸코도 하고 있습니다만.... 실제로 그 이전까지는 아이는 그냥 작은 어른 취급을 했다고 합니다.함께 일을 하기도하고요..
수많은 그림( 아, 화가 이름이 갑자기 생각 안 나네요.. 유명한 그림인데 네델란드... 거, 뭐냐... 왜 풍속화 그리는 화가.. 하튼 ) 속에도 보면 아이들이 술 마시고 막 그럽니다. 아이에게 천사를 강요하는 것을 옳지 않습니다. 아이는 그저 작은 어른일 뿐. 착한 어린이가 있으면 나쁜 어린이도 있는 법.

권정생 편지에 보면 그가 장 콕토의 무서운 아이들을 읽고 난 짧은 평이 있습니다. 재미있게 보았다고 말이죠....

뽈쥐의 독서일기 2015-05-12 00: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사실 약간 충격받기야 했지만.. 참 많이 솔직하고 살아있는 작품이라 생각했어요. 얼마나 학원이 싫으면..하고요. 아닌 사람도 많지만요.
책 회수까지는 너무한 조치인 것 같습니다. 다른 시가 표현이 괜찮은 것도 많았다고 하는데 나머지 시는 감상할 권리도 안 주고 말이죠... 싸이코패쓰니 일베니 사람들이 너무 겁이 많은거라 좋게 해석하렵니다. 아님 화딱지나서.

곰곰생각하는발 2015-05-12 11:25   좋아요 0 | URL
위 수다맨 님이 지적했듯이 아이를 무조건 천사 같은 아이`라는 신화를 만드는 것은 좋지 않다고 봅니다. 저는 잔혹성보다는 솔직성에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아이들은 어른에게 칭찬받을 만한 시를 쓰죠. 그때는 어른에게 칭찬받는 것을 좋아하니 말입니다. 하지만 이 아이는 그런 자세에서 벗어나 있잖아요. 표현의 과격은있을 지 몰라도 그 자세는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