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희, 조현아 그리고 산낙지.


 


한때 인문학 분야에서 " ●● 사회 " 열풍이 불었다. 피로 사회, 투명 사회, 행복 사회, 감시 사회, 과로 사회......  그런데 이러한 제목 설정은 새롭기는커녕 진부했다.  나 또한 이 열풍에 동참했다. 내가 내린 진단은 대한민국은 << 낙지사회 >> 였다 ㅣ http://blog.aladin.co.kr/749915104/6370810    해물탕 요리 전문점에 가면 가장 흔한 풍경이 손님이 보는 앞에서 살아 있는 낙지를 펄펄 끓는 냄비 속에 넣는 장면이었다. 낙지는 이내 뜨거운 국물 속에서  몸부림치다가 죽는다. 문제는 가게 손님들이 그 모습을 보며 즐거워 하는 태도에 있다. " 국물 맛이 아주 시원해요 ! " 그러니까 숨탄것의 고통 앞에서 당신은 혓바닥에 침이 고이는 것이다. 여기서 죽음은 볼거리로 전락하고 만다. 동물의 생명 윤리에 대한 인식은 진라면 국물에 밥 말아 먹은 모양이다.  

이러한 풍경은 마치 로마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 로마 경기장 안에 굶주린 사자와 노예를 풀어놓고 살육을 즐기는 방식 말이다. 그것은 몰락하는 증후가 아닐까 ? 최근 벌어진 통진당 해산 사태를 보면 해물탕 냄비 속 낙지'가 생각난다. 박근혜 정부는 정윤회 파동에 대한 성난 민심을 잠재우기 위해 백성 앞에 살아 있는 낙지를 펄펄 끓는 냄비 속에 넣는 이벤트를 마련하고,  백성은 우르르 몰려가 통진당의 사형 선고를 구경한다. 통진당은 해산되었다.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통진당은 뜨거운 물 속에 빠져 죽은 낙지 신세'였다. 이것은 공포 정치를 강화하기 위한 공개 처형 방식과 유사하다. 누구든 까불면 죽는다는 메시지'다. 목숨을 가지고 장난치는 가게 주인도 나쁘지만, 사실은 그것을 원하는 손님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가게 주인은 영악하고 가게 손님은 멍청하다. 헌재에 의한 통진당 해산이 엉터리라는 사실은 법학에 대한 교양뿐만 아니라 논리적 인간이라면 누구나 해석 가능하다. 하지만 가게 손님은 낙지의 고통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그저 뜨거운 물 속에 빠져 죽어가는 낙지를 보며 슬픔보다는 싱싱한 해산물이라는 기표와 기의'를 받아들일 뿐이다. 하긴 영화나 보면서 정치적 감각을 키운 영화 마니아'가 제대로 된 당대의 고통을 이해하기란 불가능할 것이다. 그는 안제이 바이다 영화나 캔 로치 영화에 대해서는 두 손을 번쩍 들며 지지하지만 정작 자신이 발 디디고 있는 당대의 노동 문제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그들은 " 판타지(스크린) " 에 감동할 뿐이지 " 리얼리티(현실) " 에 대해서는 관심조차 없다. 

 

조현아 땅콩 회항에 대한 언론 보도'도 조 씨 남매가 저지른 죄보다 과한 측면이 있다. 언론은 죄를 보도하는 역할을 하는 매체이지 죄를 심판하는 사법부가 아니다. 그런데 종편은 물론이고 지상파 방송은 온통 포청천이 되어서 조 씨 남매를 심판한다. 인민 재판을 떠올리게 한다.  언론이 조 씨 남매의 악행'을 단순히 냄비 속 낙지처럼 볼거리로 치부할 때, 그것은 더 이상 언론이 아니다. 타인의 고통을 즐기지는 말아야 한다. 이처럼 한국인은 점점 잔인하게 변했다. 하지만 명심하자. 당신도 언젠가는 냄비 속 낙지가 될 수있다는 점을 말이다. 대한민국을 지배하는 것은 " 시각적 쾌락 " 이다. 유식하게 말하자면 과시적 전시 효과'다.  냄비 속 낙지를 보며 즐거워하는 것도 시각적 쾌락이 병적으로 흐른 탓이다.

 

한국인의 시각적 욕망을 들여다보면 과잉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더욱이 수컷의 시각적 욕망은 꽤나 까다롭다. 한국 남성이 원하는 여성상은 청순 글래머이거나 베이글녀'이다. 글래머'이되 남성에게 순종적이어야 좋은 여자'이다. 글래머'이지만 남성에게 순종적이지 않는 여자는 좋은 여자가 아니다. 속이 보이는 뻔뻔한 수컷의 욕망이다. 베이글녀도 마찬가지다. 몸은 성숙하되 얼굴은 베이비'여야 한다. 롤리타적 욕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는 민망하니깐 내세운 논리가 베이글녀'다. " 동안 열풍 " 도 뜯어보면 롤리타 콤플렉스'에서 비롯된 욕망이다. 그리고 허버지를 꿀벅지'라고 욕망하는 부분에서는 식인 욕망마저 느껴진다. 이처럼 여성을 외모와 몸매로만 보는 것도 병적인 시각적 쾌락의 몰입 혹은 전시효과의 극대화'라 할 수 있다.

 

내가 보기엔 죽어가는 낙지를 보며 낄낄거리며 박수치며 웃는 손님이나, 청순 글래머 혹은 베이글녀를 호명하는 좆의 욕망이나, 통진당 해산 사태를 보며 박수치는 젊은 20대 우파의 욕망이나 모두 동일하다. 한마디만 하련다. 소설가 박민규와 시인 류근의 말풍선을 섞어서 흉내 내겠다. " 시바, 조낸 조까라마이싱이다. "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galmA 2014-12-25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뇨, 리얼리티에 대한 과도한 집중이 판타지 알까기 하고 있는 거죠. 그래, 어디까지 얼마나 더 보여줄 수 있지 하며 말이죠. 판타지는 더!더!더!를 추구하는 리얼리티의 노예화 되어가고 말입니다. 리얼화 추구(시각적 쾌락)를 위한 3d가 판타지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 건 재미난 부분이죠. 그러니 리얼리티와 판타지는 상호배제관계가 아니라 상호소통, 보족관계죠. 통진당 해산은 그렇게 판타지적 완성이 돼버렸습니다.
소설이 왜 허구로서 있음직한 현실을 만들어내는지, 대다수의 독자 또한 여전히 소설을 위한 소설보다 현실을 대변하는 소설을 더 선호하고 우위로 생각하는지를 볼 때도 리얼리티의 입지는 매우 공고한 셈이죠.

곰곰생각하는발 2014-12-25 21:50   좋아요 0 | URL
오, 이런 뻘글에 훌륭한 댓글이... 이런 걸 두고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것이겠죠. 이 글은 모 영화학도가 올린 글에 대한 저격글입니다.. ㅋㅋㅋㅋ 정치적 색은 다 다르겠씁니다만, 제가 보기엔 통진당 해산 결정은 과대망상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이 들더군요. 통진당 해산은 말 그대로 현실(리얼리티)에서는 말도안되는 것인데 요게 완성이 되니 정말 판타지가 완성된 꼴이 되었습니다. 허허.. 이런 개지랄같은세상......


AgalmA 2014-12-25 2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잡히지 좀 마라, 낙지 판타지야! 하고 싶은 세상이죠. 휴.

곰곰생각하는발 2014-12-25 22:19   좋아요 0 | URL
산낙지 문화`는 아마도 무혈을 무통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빨간 피가 안 나니 최민식이 올드보이에서 뜯어먹는 거죠.
낙지는 다리가 떨어지면 새빨간 피가 철철 넘치도록 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AgalmA 2014-12-25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술 더떠서 산낙지가 반려집단화 되지 못하는 태생적 환경이라는 아쉬움이 있군요. 아니, 내가 키우는 낙지를 잡아먹다니! 문화를 만들어야....

곰곰생각하는발 2014-12-25 22:53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최초로 낙지를 반려동물로 키우겠습니다. 반려 동물하니 달팽이 생각이 나네요. 시장을 지나가다가 왜 즙 내는 개소주 가게 있잖습니까. 그 가게 앞에 왕달팽이를 진열했더라고요. 가만 보니 무진장 예쁘더군요. 보니깐 달팽이즙도 내는 것 같더군요. 불쌍해서 제가 주인에게 왕달팽이 파냐고 했더니 헤헤, 거리시면서 그럼요, 이러시길래 몇 개만 삽시다, 했더니 고개를 갸우뚱. 왜 그러시냐고 묻길래 집에 가서 몇 마리 키울려고 합니다. 했더니 똥십은 표정으로 어이없다는 듯이 말도 안 하시고 들어가시더라고요.. ㅋㅋ 정말 키울려고 했씁니다. 왕달팽이 말이죠..

2014-12-25 2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2-26 1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2-26 13: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2-27 09: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4-12-25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저도 아까 달팽이 생각을 한참 했는데 말입니다. 역시 판타지 세계엔 모든 게 동시적으로 돌아다니는 군요 ㅎ...낙지 판타지의 최후를 꼭 들려주세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12-26 11:51   좋아요 0 | URL
내년에는 왕달팽이 한번 키울 생각입니다. 개인적으로 리얼리티인 척하는 판타지는 재수없는 반면에, 판타지인 척하는 리얼리티에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samadhi(眞我) 2014-12-30 0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네 언니- -+ 뒤끝 쩔어요. 그렇게 아다다, 어버버했으면서도 우기고 속여서 자기가 이기더니 기어이.
답답~한 현실이 너무나 비현실적이어서 깜딱 놀라고 더 이상 놀랄 일 없겠지 가슴을 쓸면 어느새 더 놀라운 일들 뿐이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12-30 10:20   좋아요 0 | URL
확실히 비현실적이죠. 한 사람이 모든 권력을 가지는 것. 정말 끔찍한 일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