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그토록 슬펐을까 ?

 

 

 

 

이웃이 전한 말을 옮긴다 : 택시를 탔다, 늙은 택시 운전사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그는 자신을 고아'라고 말했다, 태어날 때부터 고아는 아니었다고 했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고,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고, 유일한 살붙이인 형마저 세상을 떠나 혼자가 됐다고 했다. 여자는 타자에 대한 간소한 예의와 슬픔에 대한 간결한 예우 차원에서 택시 운전사를 위로했다.

 

슬프시겠어요. - 아니요, 별로 슬프지 않았습니다. 어머니와 살갑게 지내지 않으셨나 보군요 ? - 아니요, 어머니를 좋아했습니다. 인자하신 분이었지요. 하지만 슬프지는 않더군요. 산다는 거.... 고해 아닙니까. 그렇다면 세상에서 유일한 피붙이였던 형님이 돌아가셨을 때는 슬프셨겠네요. - 아니요, 별로 슬프지 않았습니다. 형님과는 살갑게 지내지 않으셨나 보군요 ? - 아니요, 우린 의좋은 형제였습니다. 하지만 슬프지는 않더군요. 산다는 거.... 고해 아닙니까.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도 슬프지는 않으셨겠네요 ? - 아니요, 슬펐습니다. 다른 가족과는 달리 아버지에 대해 애틋한 마음을 가지고 계셨군요 ? - 아니요, 아버지를 싫어했습니다. 그런데 왜 슬퍼하셨나요 ? - 사실...... 아버지와 내가 많이 닮았거든요.

 

초상집에서 가장 크게 우는 사람은 다름 아닌 불효자인 것처럼,  늙은 택시 운전사는 늙은 아버지의 초라한 죽음에서 자신의 죽음을 본다. 자기 연민은 자기애'다. 정신과 의사가 내게 충고했다. " 지나친 자기애는 결국 자기 혐오라는 부작용을 낳습니다. " 의사는 창백한 내 얼굴을 보며 말을 이었다. " 볕은 아주 좋은 보약이죠. " 그가 내게 내린 처방은 산책이었다. 볕 좋은 오후, 나는 집을 나와 산책을 했다. 불현듯 내가 머물렀던 집을 바라보았다. 내가 없으니 빈집이 되었네. 안쓰러워서 산책을 멈추고 되돌아갔다. 빈집에 갇혔다. 속초에서 만났던( 본 적은 없다. 그가 살았던 방을 보았을 뿐이다. ) 병든 사내가 생각났다. 그때, 나는 그 사내 때문에 많이 슬펐다. 얼굴 본 적 없다.

 

방을 내놓은 집주인이 전한 사연이 전부였다. 불면증으로 인해 잠이 오지 않으면 자전거를 타고 종종 그 집 앞에 가서 넋 놓고 있다 오고는 했다. 계약 기간이 채 끝나지 않은 빈집'에 갇힌 사내,  나는 왜 그때 그 사내에게 끌렸을까 ? 어쩌면 저 늙은 택시 운전사가 고해성사처럼 내뱉은 말 속에 정답이 있을 듯싶다.  

 

 

사내는 육 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고, 동해바다와 청초호가 보이는 터에 집을 얻었다. 방 하나에 작은 거실이 딸린, 지붕 낮은 달방이었다. 집 앞 넓은 공터를 텃밭으로 만들고 싶다는 소박한 의지'가 그를 이곳에 머물게 했다. 입주 조건은 보증금 없이 다달이 세를 내는 달방 계약이었으나 사내는 이 년치 세/貰'를 일시불로 지급했다. 그가 살아갈 날보다 많은 나날이었다.  그가 그 공터에서 처음 한 일은 돌을 고르는 일이었다. 온갖 채소를 길렀다. 하루가 다르게 밭은 푸르렀다. 내가 그 집을 보러 갔을 때, 텃밭은 온갖 풀이 웃자라 있었다. 집주인은 내게 육 개월 세를 일시불로 줄 것과 육 개월이 지나면 그때부터 다달이 세를 줄 것을 요구했다. 전세도 아니고 월세도 아니고, 그렇다고 달방 계약도 아니었다. 이상해서 캐물으니 주인은 이 집에 살았던 사내에 대해 털어놓았다. " 풀도 주인 손길 탄다는 거 아우 ? " 주인은 웃자란 풀을 보며 말했다. 사내의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이곳에 머문 지 반년도 되지 않아 병으로 죽었다고 했다. 내가 그 집을 갔을 때, 그 집은 아직도 그가 세를 내고 있는 기간이었다. 육 개월 일시불은 죽은 세입자 가족에게 전달할 모양이었다. 내가 그 집을 얻는다면 나는 죽은 자와 계약 잔류 기간 동안 동거를 해야 했다. 방은 아담했다. 쪽창은 해가 기우는 빛을 받아 바닥에 쏟아냈다. 붉은 기운이 돌았으나 온기는 없는 빛이었다. 망설이다가 끝내 돌아섰다. 어젯밤, 꿈에 그 집이 보였다. 텃밭은 작은 채소들이 가지런히 자라고 있었다. 텃밭을 가꾼 모양새로 보아 솜씨 좋은 농부 같았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그 텃밭은 온통 돌밭이었다. 나는 그 집 앞에서 오랫동안 망설이다가  문을 두드렸다. 문이 열리는 소리가 들렸다. 눈을 떴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tour 2014-08-17 0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린 타인의 삶과 정서를 경험하지 못하죠. 그런 의미에서 우린 제각각 하나의 고립된 섬들입니다. 어머니의 삶이 고달펐다를 보편적 속성과 연결시켜 말할 수 있는 것은 객관적 유추 능력이 뛰어남을 말하는 것이고, 고달픈 삶에서 벗어났으니 슬프지 않았다는 것도 역시 객관적 다른 말로 사실 어쨌든 냉정하단 말인데요 .., 그럼에도 못 벗어나는 것이 자기 연민이니, 자기애란 존재의 뿌리가 맞나봅니다. 쓸쓸한..

곰곰생각하는발 2014-08-17 09:20   좋아요 0 | URL
즐인 님의 짧은 글 속에 참 많은 것이 담겨져 있더군요. 선문답 같았습니다.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자기애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자살할 확률이 높다고 하더군요. 수많은 작가들이 자살을 선택하는 걸 보면 그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인간이란 다 고립된 섬이죠. 그래서 왜 그 유명한 사자성어도 있잖습니까.
섬섬옥수라고... 섬과 섬은 감옥이라는 뜻이죠. 아니면 말고요...

samadhi(眞我) 2014-08-17 1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며칠 전에 남편과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에 대한 이야기를 했지요. 내가 슬퍼서, 그저 그렇게 있을 뿐인 객관적 상관물에게 너도 슬프냐, 나도 슬프냐 하며 위로받는(?) 어쩌면 인간은 너무나 외롭고 연약한 존재가 아닐까요. 쓸쓸하지만 느낌이 좋은 단편 소설이네요. 책 언제 내시는 거예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8-17 17:39   좋아요 0 | URL
공자였나요. 인간의 갖추어야 할 것은 " 측은지심 " 이라고 말이죠. 측은지심을 달리 말하면 내가 너가 되어 생각하는 마음 아니겠습니까. 이 사회가 점점 그런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rtour 2014-08-17 14: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기애가 강하면 인정 욕구, 타인, 타물에게 사랑받음 욕구도 크니 쉽게 우울증으로 빠질 수도 있겠습니다..그런데 딱히 예술가 직종에서 자살률이 높은지는 모르겠네요. 작가는 장수 직업군에 속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얼마전 보니 자살률이 높은 직업군은 무직, 주부, 일용직 육체 노농
자라 나오더군요. 강하지 않을지라

rtour 2014-08-17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 어쨌든 우린 모두 타인의 사랑, 타인의 인정을 받는 의미 있는 삶을 원하고, 가난은 생의 치명적인 독소임이 분명하 겠죠..비율로 볼 때 주부들의 자살률이 높은 것은 보답받지 못하는 일방 통행적 헌신에 사회적 무시,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약해짐,가 더해진 까닭 아닐까요? 노인, 일용직군의 자살률 높음은 가난과 무시가 주원이겠구요. 단답처리 하기엔 복잡다단한 것이 인간의 문제겠죠..어쨌건 생명은 멸종되기 전까지 유구하고 장엄하게 흘러갈 뿐이죠..타인의 죽음은 대개 무시되거나 쉽게 잊혀지기 마련이고 그것이 생명의 본성이죠. 산사람은 살게 되어있다,로 표현되는.

곰곰생각하는발 2014-08-17 17:37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몇몇 작가의 죽음으 크게 다가오다보니 그리 생각한 것 같습니다. 생각해 보면 장수 그룹에 속하겠습니다. 어느 대학에서 행복에 대한 조사를 한 적 있습니다. 행복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 행복하기 위해서 갖춰야 할 몇몇 조건들을 조사했는데, 아마도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 조건과는 180도 달라서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서너 가지 목록 중에 하나가 출퇴근 시간이1시간 이내일 것'이라는 조건이 나오더군요. 행복하기 위해서는 출근 시간이 30분을 넘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출퇴근 시간이 2시간이 넘으면 행복을 못 느낀다고 합니다. 좋은 직장, 아파트장만 따위가 행복 조건이 아니었다는 거죠... 처절하게 공감했습니다. 이 단체에서 조사한 행복 조건을 종합하니 아내(남편)과 일주일에 한두 번 즐거운 섹스를 하고, 퇴근길이 30분 정도이고, 일찍 와서 동네 친구들과 맥주를 마시는 거랍니다. 요, 세 개만 대충 해결되면 행복을 느낀다고 하네요. 높은 집값 때문에 서울 내 직작인이 싼 집을 찾아 경기도로 빠진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그만큼 장거리 출퇴근 사회가 된 거죠....

rtour 2014-08-17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지독한 가난만 아니라면 즐거운 삶이란 결국 좋은 관계에서 오는 듯요. 제 경험만 돌이켜봐도 ..이 사회의 경쟁 과다 시스템, 일중독 찬양 문화는 약화되어야만 하는데 말입니다..이런 시스템에서 친구들과 사이좋게 한잔 기분 카..는 어렵죠. 직장 멀고 다들 바빠서 얼굴 보기도 힘들고 만나봐야 너 출세? 몇 평 사니? 몰고 다니는 차 등 경쟁으로 기분 상하기 일수라. 경험상 그렇더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8-18 15:35   좋아요 0 | URL
아파트 몇 평이니 ? 라는 질문은 학번이 어떻게 되세요 ? 와 비슷한 구석이 있죠. 직접적으로 물어보면 속물처럼 보여서 빙 둘러 말하는.... 아파트 몇 평이니, 는 결국 너 얼마 벌었니 ? 라는 말이잖아요. 이걸 부끄럽지도 않게 말할 수 있는 문화에 살고 있죠. 이웃의 비극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외면하면서 꼭 이런 알 필요 없는 것에 대해서는 너무 알고 싶어하는 그 속물 근성들....

수다맨 2014-08-18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껏 곰곰발님께서 쓰신 글 중에서 가장 아련한 느낌을 주네요. 택시 기사와 달방에 머물렀던 사내를 생각하고 나니 가슴이 무척 쓸쓸해집니다. '자기 연민은 자기애다', 참으로 맞는 말 같아요. 스스로를 안타깝게 생각하는 마음이 깊으면 깊어질수록, 자신을 애정하는 마음도 커지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8-19 08:04   좋아요 0 | URL
택시 기사 얘길 들으니 갑자기 달방 사내가 생각납디다. 혼자 남겨진다는 거.. 참 쓸쓸한 거죠. 죽음이란 결국 혼자 남겨지는 거 아니겠습니까. 가장 외로운 순간이 죽음 같습니다.

todd 2014-08-20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자꾸 곱씹어 읽게되는 글이네요. 떠나게 되는 운명이 참 슬픕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8-20 10:33   좋아요 0 | URL
택시운전사 이야기'가 울림이 이상하게 오래가더라고요. 어떤 삶에 대한 우화 혹은 통찰처럼 보입니다.

엄동 2014-08-20 15: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부모님 돌아가실때 참 많이 울 듯 해요
원래 불효자가 그리 운다잖아요

효자는,
좋은 곳 가시라고 흐뭇하게 보낸다고들 하고.

제가 못되처먹었어요 아주
남들한텐 잘하면서. 내 부모 내 형제에겐 칼같은 잣대를 들이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8-20 20:59   좋아요 0 | URL
저도 그 생각을 했습니다. 이런 나도 부모상 앞에서 가장 크게 울 놈이로구나...
효자야 뭐 할 도리 다 했으니 편안하겠으나
그렇지 못한 불효자는 .......


못되처먹은거는 이미 오랜 전에 알고 있었으나
남한테 잘하면서 내 부모형제에게 칼같은 잣대로 들이대는 거
또한 잘하신 겁니다. 전 가족 로망스가 없어서
가족판타지에 대해 늘 부정적이거든요.
전 가족에게도 적당한 거리두기가 필요하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