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사판

 

 

 

 

 

 

알앤비 그룹 '솔리드'가 " 이 밤의 끝을 잡고 " 란 노래를 불러서 인기를 얻은 적 있다.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나의 입술이 너의 하얀 어깨를 감싸안으며 / 그렇게 우린 이 밤의 끝을 잡고 사랑했지만 / 마지막 입맞춤이~베이베에에에우에에에 / 아쉬움에 떨려도 / 빈손으로 온 내게 세상이 준 선물은 / 너란 걸 알기에 참아야 겠지 / 내 맘 아프지 않게 그 누구 보다도 / 행복하게 살아야 해 모든 걸 잊고 / 이 밤의 끝을 잡고 있는 나의 사랑이 더 이상 / 초라하지 않게 나를 위해 울지 마, 나는 괜찮아~
 

이 가사에서 " 이 밤의 끝을 잡고 ~ " 는 어느 " 때 " 를 말하는 것일까 ?  23 : 59분까지를 < 밤의 끝 > 으로 보아야 할까,  아니면 4호선 당고개행 첫차가 사당에 도착하는 시간 05 : 10분을 끝으로 보아야 할까, 혹은 그린장 모텔 카운터 직원이 전화를 걸어와 22:00까지 방을 비워야 한다고 야속하게 말하는 그 시간일까 ?! 이 노래에서 중요한 것은 < 밤의 끝 > 이 아니라 " 끝 " 이라는 낱말이 주는 돌이킬 수 없는 이별의 서정'이다.  이 노래에서 < 끝 > 은 송곳처럼 날카로워서 심장을 찌른다. 화자는 " 내 맘 아프지 않 " 도록 " 참아야 겠 " 다고 다짐하지만 그게 어디 쉬운가 ! 박연폭포 같은 눈물이 쏟아질 것 같지만, 애써 참으며, 상대방 어깨를 토닥인 후, 마지막 키스를 팍, 끄읏 !

 

< 이방인 > 번역 논란이 식을 줄 모른다. 내가 이 책을 읽었을 때가 스무살 무렵이었나(그 이전인지도 모른다) ? 그 시절에 손에 잡히는 불문학 책은 김화영 아니면 김치수 교수가 번역한 책이 팔 할이었다. 아마도 나는 김화영 교수가 번역한 < 이방인 > 을 읽은 모양이다( 아니면 김치수겠지).  뫼르소의 살해 동기는 불분명하다. 그는 눈이 부셔서 권총으로 쐈다고 자백한 후, 내내 횡설수설로 일관한다. 사형집행일에는 구경꾼이 많이 모였으면 좋겠다는 소박한 허세(?)도 부려본다.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선뜻 이해하기 힘들다. 카뮈는 뫼르소를 통해서 독자에게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싶어 했던 것일까 ? 이 아리송송한 판독 불가'는 곧 < 부조리 > 로 퉁치게 된다. " 카뮈 하면 부조리'잖아 !! "

 

그렇다, 카뮈 소설이 조리 있게 판독 가능한 텍스트'라면 그것은 더 이상 부조리 소설이 될 수 없다 - 라고 스스로 자위했다. 그런데 최근에 나온 < 이방인, 이정서 번역 > 은 " 독해 " 를 막는 " 난해 " 는 김화영이 번역을 엉터리로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소설이 재미있어서 서너 시간이면 읽을 수 있는 소설인데 김화영이 " 트위스트 " 했다고 말한다. 번역 비판의 흔한 예는 역시 비교'다  :

 

 

 

(1) "그때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크게 울렸다. 그것은 이제 나와는 영원히 관계가 없어진 한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었다. 참으로 오래간만에 처음으로 나는 엄마를 생각했다." (김화영 역, 민음사, 135쪽)

(2) "그때, 한밤의 경계선에서 사이렌이 울부짖었다. 그 소리는, 이제 영원히 내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었다. 아주 오랜만에 다시, 나는 엄마를 생각했다." (이정서 역, 새움, 165쪽)

 

 

김화영은 " 밤의 저 끝 " 을 새벽 동틀 무렵으로 이해한다. 뱃고동 소리 때문이다.  사실 이 소설 분위기를 감안하면 뱃고동 소리는 왠지 뜬금없다. 신파 통속극이나 노래에 자주 등장하는 게 바로 뱃고동 소리이니 말이다. 반면, 이정서는 " 한밤의 경계선 " 을 자정으로 이해한다. 자정을 알리는 사이렌 소리 때문이다. 여기서 이정서가 지적하는 < 경계선 > 은 날짜가 변경되어서 새롭게 시작되는 자정 전후'이고, 김화영이 지적하는 < 끝 > 은 날짜가 변경되고 나서 몇 시간이 흐른 지점'이다. 이정서에게 < 자정 > 과 < 새벽 > 은 매우 중요한 차이'인 모양이다(이정서 번역본을 안 읽어봐서  내용은 잘 모르겠다). 그가 느끼기엔 자정 이후 서너 시간이 지난 " 새벽 " 은 맥주 병뚜껑을 딴 후 한참이 지나서 마실 때 느끼게 되는 미지근한 맛? 

 

이판사판이라는 말이 있다. < 이판 > 은 스님이 기도에만 전념하는 일을 뜻하고, < 사판 > 은 절 살림을 맡아 하는 일을 말한다. 이판'만 신경 쓰면 살림이 엉망이 되고 반대로 사판에만 신경을 쓰면 수도修道를 게을리한다는 소리를 듣는다. 쉽게 말해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는 없다는 소리'다. 이판사판 다 하다 보면 제대로 하는 판이 없게 된다. 죽도 밥도 아닌 꼴이 된다는 말이다.  " 이판사판 " 이라는 표현을 노무현 식으로 말하자면 " 이 정도면 막가자는 " 것이고, 근사하게 말하자면  " 케 세라 세라 세라 " 이며, 유물론적 사고로 번역하자면 " 기회비용 " 이다. 이판'을 선택하면 사판을 잃고, 사판을 선택하게 되면 이판을 잃는다. 나는 김화영 번역이 이판인지 사판인지 잘 모르고, 이정서 번역 또한 이판인지 사판인지 잘 모른다. 다만 이정서가 이런 식으로 딴지를 거는 것에 대해서는 환영한다.

 

권위에 대한 도전은 지지해야 한다. 비록 그 권위가 무소불휘의 빛나는 왕관이라고 해도 못난 아들은 끊임없이 연못에 돌을 던질 권리가 있다. 한국 문단은 지나치게 늙은 아버지'에게 쩔쩔맨다. 딴지를 거는 놈은 괘씸한 놈이 된다. 그런데 문학이라는 것은 원래 " 괘씸 " 해야 한다. 문학이 원하는 인물상은 착한 아들이 아니라 지독한 아들'이다. 한국인은 논쟁을 소모적이라 생각해서 쓸모없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쓸모 있다. " 논쟁 " 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소모'다. 오히려 독재 정권일수록 논쟁을 불허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정서의 도발'이 쓸데없는 짓'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비록 그 도발이 어설프다고 해도 말이다.

 

 

fin

 


 

 

 

 

누군가가 하늘과 바다는 파란색이 기본이므로 " 푸른 물결 " 이라거나 " 푸른 하늘 " 이라고 표현하면 잘못된 문장이라고 지적한 글을 본 적이 있다.  < 푸르다 > 는 풀빛이 바탕이니 녹색이고 하늘과 바다는 파란 빛이 바탕이므로 하늘과 바다를 푸르다고 쓰면 안 된다는 지적이다. 그런데 정말 바다를 단순하게 파란색이라고 단정할 수 있을까 ? 나는 그가 너무 당당하게 당연하다는 듯이 그 사실을 지적해서 놀랐다.

 

왜냐하면 내가 속초에서 1년 동안 살면서 날마다 본 바다'는 파란색이 아니라 풀빛이었다. 그런데 그는 " 푸른 바다 " 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니 무조건 " 파란 바다 " 라고 불러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주장은 억지에 가깝다. 보는 이에 따라서 바다는 " 푸른 바다 " 이기도 하고 " 파란 바다 " 이기도 하다. 物物이 가지고 있는 바탕색만을 고집한다면 그 사람은 인상파 화가들이 그린 그림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인상파 화가들은 빛을 종종 노란색으로 표현하고는 했는데, 빛은 바탕이 투명하므로 노랗게 표현하는 것은 틀렸다고 말할 수 있을까 ? 마찬가지 이유로 백인이 아닌 한국인에게 " 하얀 피부 " 어쩌구 저쩌구 하는 소리도 틀린 표현이라고 할 수 있나 ?  

 

" 새파랗게 질린 얼굴 " 이란 표현은 어떤가 ?  아무리 핏기를 잃어도 그렇지 붉은색이 파란색이 될 리는 없다. 더군다나 " 새 ~ " 라는 접두어를 써서 blue보다는 deep blue 로 강조했으니 더더욱 말이 안되는 소리다. 한국인이 아바타'인가, 스머프인가 ? 하지만 이런 표현이 가능한 이유는 표현의 자유와 허용 때문이다. 평소 붉은 혈색을 가진 건강한 얼굴이 새파랗게 변했다는 의미는 색이 변했다는 게 아니다.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보는 관점에 따라 색을 보는 관점도 달라진다. 번역도 마찬가지다. 번역자의 색깔과 온도 차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 파란 바다 " 도 있고 " 푸른 바다 " 도 있는 법이니 말이다. 내가 보기엔 파란 바다(이정서)라는 문장도 맞는 표현 같고,  푸른 바다(김화영)라는 문장도 맞는 표현 같다. 하지만 무조건 " 파란 바다 " 라고 써야지만 정답이라고 우기면 쎄에에에련되지 못한 자세'다.

 

하여튼 이번 " 이방인 번역 논란 " 꽤 재미있다. 애들만 싸우면서 크냐 ? 아니다, 어른도 싸우면서 큰다. 원래 싸움 구경이 재미있는 법이다. 헤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쟁이 2014-04-12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주 화끈한 글이군요. 백배 만배 공감합니다. 특히 "문학이 원하는 아들은 착한 아들이 아니라 '지독한 아들'이다." 부분은 더더욱! 불온한 아들이어야 우리의 삶이, 이 세계가 갱신되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4-13 05:41   좋아요 0 | URL
사실 이번 논란에 대해서 할 말이 없어요. 이정서의 이 책을 읽어보지 않았고 대조도 해보지 않았으니 말이죠. 다만 이런 식의 싸움 환영합니다. 이번 사건을 통해서 " 이야... 번역 또한 새로운 창작에 버금가는 고통 속에서 쓰여지는 거구나... " 라는 걸 깨닫게 하기 때문입니다. 두 양반이 정면으로 나와서 아예 링에서 싸워주셨으면 합니다.

수다맨 2014-04-12 2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사실 오늘 한겨레 기사를 읽고는 이정서 씨의 저의에 좀 의심이 가더군요. 저 역시 다양한 색채와 온도를 지닌 번역들이 존재해야 하며, 서로 다른 번역본들 간의 충돌이나 논쟁도 유의미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김화영을 공격하는) 이정서 씨의 호전적(!)인 태도에는 약간 망설임이 생기더라구요. 마치 김화영의 번역은 '가라'고 자신의 번역만 '정본'처럼 내세우는 뉘앙스는 -출판사의 마케팅 전략일 수도 있겠지만- 지나치게 주관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물론 이러한 번역 논쟁과는 다르게 (김윤식)표절 문제와 같은 것은 이것보다 더 예리하고 단호해야죠).
저 역시 권위에 돌을 던지는 사람들을 지지하는 편이지만, 그 표적을 조금 더 정확하게 가다듬을 필요가 있지는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드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4-13 05:45   좋아요 0 | URL
김화영 번역본이 가라'면 당연히 이정서 번역본은 오라'입니다. 제가 보기엔 위에 언급한 예도 그리 큰 차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이정서는 엄청나게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사실 세계와의 단절이라는 점은 모두 같잖아요. 이정서는 이걸 크게 생각한 모양입니다. 그렇게 시작한 작업이니 딴지를 걸었던 것 같습니다. 뭐, 저는.... 싸움 구경을 좋아하는지라..ㅋㅋㅋㅋㅋㅋㅋ. 저는 자식들이 불손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주의'입니다. 하여튼 제가 이 책을 읽어봤으면 할 말이 있겠는데 안 읽어본 상태라 뭐라 말을 할 수는 없겠습니다.

르미에르 2014-04-13 06: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바다 빛깔은 거의 무한에 가깝죠.
봄 여름 가을 겨울 다 다르고요
새벽 아침 점심 오후 노울질때 비올대 흐릴때 맑을때 다 달라요...

어떤 멍청한 시퀴가 바다 색깔이 파랗다고 우깁니까?

곰곰생각하는발 2014-04-13 07:54   좋아요 0 | URL
속초 있을 때 걸어서 1분인 곳에 살다 보니 날마다 바다를 보게 되더군요.
내가 머문 곳은 약간 초록빛이었습니다. 무척 깨끗한 바다였죠. 르미에르 님은 누구보다도 바다 근처에 사시는 잘 아실 겁니다. 정말 바다는 시시각각 다르더군요. 정말로 새벽에 보는 바다와 아침, 점심이 달라서 깜짝 놀라고는 했습니다. 또 멀리서 보느냐 가까이서 보느냐도 다르고....

아마 풀장만 다니는 사람은 바다가 무조건 파란색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왜 풀장은 파란색으로 칠을 해서 파랗게 보이잖습니까....

르미에르 2014-04-13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렇군요 ㅋㅋㅋ 눈감고 코끼리 더듬고 코끼리는 이렇게 생겼다 저렇게 생겼다 궁시렁 거렸다는 우화가 생각나네요 ^^

곰곰생각하는발 2014-04-13 19:09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죠. 풀장의 물색이 파랗다, 에는 동의하겠습니다.

samadhi(眞我) 2014-04-13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고2 때 이방인을 읽었어요. 읽고나서 사춘기 절정이어서 그런가 한없이 우울했던 기억이 나요. 뜨거운 바닷가 모래가 생각나요. 지금 다시 읽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잊고 지냈는데.

그래서 우리말은 뭉뚱그려서 푸르다로 표현하는 게 아닐까요? 파랑도 되고 초록도 되는. 파랑과 초록사이 많은 빛깔들을 다 아우르는 넉넉한 말.

곰곰생각하는발 2014-04-14 02:18   좋아요 0 | URL
푸르다는 풀빛 뿐만이 아니라 그냥 젊고 푸릇푸릇한 것도 모두 다 푸르다고 합니다. 싱그럽다는 느낌이 들면 푸르다 라고 쓸 수 있죠. 푸르다'라는 말은 참 절묘한 말이에요. 영어는 바다를 그냥 블루라고 밖에 하지 않지 않습니까. 푸르다는 정말 절묘한 한 수 같습니다.

그나저나 이방인 일찍 읽으셨군요. 하긴 이방인은 고등학교 때 읽어줘야 합죠. 전 까뮈 하면 시지푸스가 제일 재미있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