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우신조 ㅣ 하늘에서 비가 내리니, 신이 그를 돕다.

 

 

8. 두보 시선 +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春夜喜雨(춘야희우)

 

                     杜甫(두보) 

 


好雨知時節(호우지시절)  반가운 비는 시절을 알아
當春乃發生(당춘내발생)  봄이 되니 내리네
隨風潛入夜(수풍잠입야)  바람 따라 몰래 밤에 들어와
潤物細無聲(윤물세무성)  소리 없이 촉촉이 만물을 적시네
野徑雲俱黑(야경운구흑)  들길은 구름이 낮게 깔려 어둡고
江船火燭明(강선화촉명)  강 위에 뜬 배는 불빛만 비치네
曉看紅濕處(효간홍습처)  새벽에 붉은 빛으로 젖은 곳을 보니
花重錦官城(화중금관성)  금관성이 꽃으로 겹겹이 덮여 있네
 

 

好雨(호우)는 때맞춰 내리는 단비'를 뜻한다. 비'는 계절에 따라 이름이 각각 다르다. < 목비 > 는 봄철 모내기 할 무렵에 한목 오는 비이고, < 잠비 > 는 여름철에 내리는 비를 뜻한다. 옛날에는 농경 사회'였으니 여름에 굵직하게 거세게 퍼붓는 " 자드락비 " 가 내리면 일을 못하니 방에서 낮잠을 잔다고 해서 ' 잠비 ' 라고 했다. 그런가 하면 속담 가운데 " 가을비는 떡비 " 라는 말도 있다. 잠비와 같이 비가 오면 일하러 나가지 못하게 되니 " 집 안에서 넉넉한 곡식으로 떡이나 해 먹고 지낸(네이버 국어사전) " 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이밖에도 가랑비, 달구비, 먼지잼, 보슬비, 부슬비, 이슬비, 비꽃, 여우비, 웃비, 소나기, 자드락비, 채찍비, 단비 등이 있다. 어느 시인이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고 했던가 ?

 

비는 계절에 따라 그 이름이 각각 다르고, 비 오는 양이나 형태에 따라서도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마음의 상태'에 따라서도 다르다. 단비'는 계절, 강우량,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기보다는 간절히 원할 때 내리는 비'에 부여된 이름이다. 봄 가뭄에 내리는 비도 단비요, 무더울 때 내리는 비도 단비'다. 개인적으로 퇴근 무렵 내리는 겨울비'가 내게는 단비'다. 술 한 잔 하기 좋은 비다.  비와 관련된 낱말이 많다는 사실은 농경사회에서 비'가 매우 중요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무엇보다도 때맞춰 내리는 단비는 반가운 손님과 같았으리라. 그래서 한국인은 " 비가 내린다 " 라고도 표현하지만 " 비가 온다 " 라고도 표현한다. 특히 단비일 경우는 단배가 내린다는 표현보다는 단비가 온다고 표현한다. 그렇다, 단비는 내리는 게 아니다 오는 것이다 !  

 

두보의 < 춘야희우 > 는 " 단비 " 에 대한 시'다. " 好雨 " 은 " 時節 " 을 안다. 마치 덕이 있는 사람이 仁을 알아보듯이 말이다. 그래서 " 當春乃發生 / 봄이 되니 내 " 린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이 번역이 못마땅하다. " 봄이 되니 내리네 " 라고 하기보다는 차라리 " 봄이 되니 찾아왔네 " 라고 해야 더 운치가 있지 않을까 ? " 隨風潛入夜 / 바람 따라 몰래 밤에 들어와 " 에서 < 入 > 은 위에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성이 아니라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뭐, 어디까지나 개인적 판단'이다. 됐고 ! 두보는 봄밤에 봄비가 오는 풍경을 본다. 봄이 오니 봄비가 찾아오고, 봄비가 오니 물비린내를 맡은 꽃이 활짝 피기 시작한다. 겹겹이 덮여 있다. 허진호 감독이 만든 < 호우시절 > 이라는 영화 제목은 바로 " 好雨知時節  " 에서 빌려왔으나 아쉽게도 영화는 시적이기는커녕 가장 지루한 영화'였다.

 

반짝이는 데뷔작 이후, 그는 계속 밋밋한 작품들만 쏟아내서 이제는 그가 만든 영화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는다. 영화 < 봄날은 간다 > 에서 유지태가 이영애에게 "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 " 라고 달달하게 물었을 때, 나는 속으로 " 바보야, 문제는 사랑이 변한다는 거야 ! " 라고 외쳤다. 허진호는 몰라서 순진한 걸까, 아니면 알면서도 모르는 척 까부는 것일까 ? 모를 일이다. 이재용이 감독하고 배용준, 전도연, 이미숙이 연기한 <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 라는 영화를 보면 하늘에서 비가 내려 천하의 소문난 오입쟁이 선비'를 돕는 장면이 나온다. 내용은 다들 아시리라. 배용준은 1%다. 잘생긴 얼굴에 명문가의 후손. 더군다나 그림에 능하고 언변에 능했으니 흠잡을 데 하나 없는 귀족'이다. 비주얼도 되는데 실력도 갖추었으니 그 아무리 견고한 의자라 해도 그 앞에서는 모두 다 자빠진다. 그에게 섹스는 게임'이다.

 

람 심리'란 준다고 하는 놈은 싫고, 싫다고 하는 놈에게는 끌리는 법 아닌가 ? 그는 명문가 과부인 숙부인 정씨(전도연)을 자빠뜨릴 계획을 꾸미지만 전도연 역시 호락호락 넘어갈 여자가 아니다. 숙부인 정씨는 26년 동안 단 한번도 자빠진 적이 없다. 하지만 포기할 그가 아니다. 그는 비 오는 궂은 날씨에 그녀의 집을 찾아간다. 그새 비는 그쳤으나 옷은 홀딱 젖었으니 초라하기 그지없다.  물론 여자는 거절한다. 남자가 하늘을 보며 나즈막히 말한다. " 부인의 마음을 알았소. 이만 돌아가리다. 그런데 하늘을 보니 다시 비가 올 것 같구려...... " 그때 때마침 비가 온다. 멀리서 찾아온 손님을 그리 야박하게 내쫒는 건 예의가 아닌지라 여자는 그에게 " 사랑채 " 를 내주었으나 그만 " 사랑 " 을 나누게 된다. 天佑神助(천우신조)란 말을 살짝 뒤집어서 天雨神助라 할 만하다. 하늘에서 때마침 비가 오니 신이 오입쟁이를 돕는지라......

 

이로써 27년 간 단 한번도 쓰러진 적이 없었던 튼튼한 의자는 다 자빠져서서 후대에 " 품행이 심히 방탕하고 난잡하며 정조 관념 또한 너덜하여 실제로 존재했을까 싶은 의자 " 가 되었다.  천하의 오입쟁이 남자가 전한 말에 의하면 하루에도 몇 번씩 " 오, 가슴 ! " 에 도달했다고 한다. 남자에게 있어서 그날 내린 비는 " 호우 " 요, 단비'다. 비록 그 단비'로 인하여 비극적 결말을 맞았지만 말이다. 옛말에 " 가라고 가랑비 오고, 있으라고 이슬비 온다 " 는 말이 있다. 내용은 이렇다. 눈치없는 객이 집에 가지 않고 밤새 술이나 마실 요량이니 주인이 꾀를 내어 밖을 보며 " 가라고 가랑비 온다 " 고 말한다. 그러자 엉덩이가 무거운 손님이 " 예끼, 이 사람아 ! 이게 어디 가랑비오. 있으라고 이슬비 오는구만...... " 고 농을 친다는 우스개.

 

아마도 바람둥이 선비가 숙부인 정씨 집을 찾아갔을 때 내린 비는 이슬비'였던 모양이다. 그날, 그는 숙부인 정씨 집에서 열흘을 머물렀으니 말이다. 나도 열심히 마음 수양을 하여 남들에게 가랑비가 아닌 이슬비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오늘의 일기는 여기서 끗.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madhi(眞我) 2014-04-07 2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농경사회인 우리에겐 비님이 오시는 거죠. 저는 주요한의 빗소리 라는 시를 참 좋아합니다. 주요한 하면 불놀이만 떠올리는데 대학1학년 땐가 무심코 집어든 "실천문학" 잡지에 실려 있는 이 시를 보고 좋아서 한참을 꿈을 꾸는 기분이 들었지요. 그래서 비만 오면 이 시가 생각납니다. 주당들은 비를 좋아하기 마련이죠. 술을 부르는 비님 ㅋ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8 02:49   좋아요 0 | URL
주요한의 무슨 시인데 그럽니까 ? 알려주세요....

samadhi(眞我) 2014-04-08 10:17   좋아요 0 | URL
빗소리
주요한

비가 옵니다
밤은 고요히 깃을 벌리고
비는 뜰우에 속삭입니다
몰래 지껄이는 병아리같이

이지러진 달이 실낱같고
볕에서도 봄이 흐를듯이
따뜻한 바람이 불더니
오늘은 이 어둔 밤을 비가 옵니다

비가 옵니다
다정한 손님같이 비가 옵니다
창을 열고 맞으려 하여도
보이지 않게 속삭이며 비가 옵니다

비가 옵니다
뜰 우에 창 밖에 지붕에
남 모를 기쁜 소식을
나의 가슴에 전하는 비가 옵니다



시어가 참 고와서 창호바른 방문 너머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다정한 손님같이" 라는 부분에선 막 설레고.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8 11:04   좋아요 0 | URL
그러네요. 다정한 손님 같이라.....
확실히 한국인은 비를 반가운 손님이라 생각한 거 같습니다.
그러니까 <오다 > 라는 표현을 썼겠지요.
이 시 좋은데요. 허허허...
카스테라게 우유에 촉촉하게 녹는 느낌입니다.

새벽 2014-04-08 0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天雨神助... :)
그러고 보니 몇 년 전 봤던 허진호 감독 영화 중 [호우시절]이 있었어요.
그 영화 속 비와 이 영화 속 비가 너무 다르다는...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8 02:49   좋아요 0 | URL
이 글에서도 호우시절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ㅗㅁ곰손 2014-04-08 1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만취이~~


ㅎㅎㅎㅎ


잘자라 곰발..
(아니다, 낮이니깐 )잘 살아라 곰발.. ㅋㅋ

아, 글고보니 너한테 잘살아,란 말 무진장 많이한듯ㅋㅋㅋㅋㅋㅋ

음.. 그건

정말 너가 잘살았음 해서야. ^-^!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8 11:45   좋아요 0 | URL
아니 대낮부터 취하고 있어 !
하긴 새벽에 일하고 낮에 잠을 자는 사람에게는 낮에 술 마시는 시간이기는 하지.
하지만 적당히 마셔라. 만취는 좋지 않아. 그냥 알딸딸이 좋긴 한데
이게 잘 안 되지. 알딸딸할 때가 바로 진짜 술을 간절히 원하게 되거든...ㅎㅎㅎㅎㅎㅎ

곰곰손 2014-04-08 12:57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뭬얏?
적당히마시라늬? 넌 니나 잘해라!
ㅋㅋㅋㅋ

잘자~사랑스런곰발탱이야!!

아맞다,나..맥카시 이제야 읽는다.
그르게.. 참 좋다 이사람도.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8 14:13   좋아요 0 | URL
매카시 좋지. 건조한 문체가 좋아.
헤밍웨이와 존스타인벡을 섞고 여기에 뭔가는 잘 모르겠는데
하여튼, 좀 허세가 보이기도 하면서, 또 유머 감각이 있단 말이야.
내게는 유머감각이 있는 것처럼 보여...
노인을 위한 나라.. 봐바... 끈내주잖아.
하여튼, 알탈탈할 때까지 마셔 ! 술은 좋은 거야.....

뚜뚜루 2014-04-08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는 사실 '봄날은 간다'에 큰 감흥이 없었엉쇼. 되게 밋밋하고 퍽퍽하다는 느낌이었는데.. 화면이 촌스러워서 그런 건지요. 아무튼 '봄날은 간다'는 그렇다 쳐도 허진호의 후기작들도 보는데 정말 별로더라고요... 음..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8 18:34   좋아요 0 | URL
뭐 나쁘지는 않는 것 같은데 그렇다고 호들갑스럽게 좋은 영화라고도 할 수 없는,
봐도 되고 안 봐도 되는 영화들이 후기작들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그게 허진호의 한계인 듯합니다.

수다맨 2014-04-09 0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캔들은 배용준과 전도연이 하는(!) 장면이랑 맨 마지막에 첩으로 들어온 여자가 정실되는 부분만 생각나네요. 그다지 재미는 없었는데 묘한매력이 있었던 것 같아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4-09 10:56   좋아요 0 | URL
아, 맞다. 첩이 나중엔 정실이 되죠 ? 자막 오를 때 에피소드에서 말이죠.
이 영화 원작이 소설 위험한관계입니다. 존말코비치가 출연한 영화도 있죠.
전 둘 다 재미있더라고요.

다만 이 영화에서는 규방 디자인을 너무 근사하게 다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