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9
밀란 쿤데라 지음, 방미경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웃지 않으면 비극이 된다.

 

니체는 이런 소리를 했다. " 세상에서 인간보다 가장 큰 고통을 느끼며 살아가는 존재는 없다. 그래서 웃음을 발명할 수밖에 없었다. " 이 말은 곧 웃음'은 불행과 연관이 깊다는 소리'이다.  자주 웃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 아니라 불행한 사람일 경우가 높다. 완벽하게 행복한 사람은 웃지 않는다. 왜냐하면 웃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심리학자 월리엄 맥두걸의 말이다.  사실 < 웃음 > 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던 메커니즘'을 살짝 뒤집는다. 기대에 충족시킬 때는 < 감탄 > 이 되고, 기대 이상일 때에는 < 경탄 > 이 되지만,  기대에 못 미칠 때 < 웃음 > 이 나온다. 그러므로 웃음이란 기본적으로 실패의 결과이다. 오늘따라 이 말들이 나를 위로한다.

- 말하기의 다른 방법 중

 


 

 

< 웃음' > 이라는 속성'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예민한 구석이 있다. 나보다 나이가 많은 양반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위해서 농담을 던졌을 때, 비록 그 농담이 철 지난 장소팔-고춘자 만담'처럼 느껴지더라도 일부러 웃는 척을 하는 행위는 기만이라기보다는 예(禮)에 속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대를 울려 웃음을 만든다고 해서 딱히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 오히려 농담이 재미없다고 해서 정색을 하며 무표정하게 상대를 바라보는 행위야말로 솔직한 태도라기보다는 무례(無禮 )에 가깝다. 그런데 예의를 차린답시고 너무 크게 웃어버리면 실례 ( 失禮 ) 가 된다. < 후후후 > 와 < 아햏햏 > 은 한 끗 차이'이지만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의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 웃음 > 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지위, 웃음의 강약, 발화의 장소에 따라 복잡하게 변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재미없는 농담에 대한 무표정은 " 솔직한 태도 " 에 가깝지만 역설적이게도 < 무례 > 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재미없는 농담에 대한 적당한 웃음'은 " 거짓 " 이라는 형태를 취하지만 반대로 타자를 배려하려는 < 예 > 가 될 수도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그 웃음이 지나치면 < 실례 > 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말 그대로 가지고 있던 예(禮)를 놓쳐버린 꼴(失) 이다. 좋게 말하면 < 웃음 > 이라는 녀석은 성격이 예민한 것이고, 나쁘게 말하면 변덕이 죽 끓듯 해서 어느 쪽에 장단을 맞춰야 하는지 모르는 놈이다.   

밀란 쿤데라의 < 농담 > 은 " ...... " 이라고 해야 하는 사회에서 " 아햏햏 " 이라고 웃어서 인생 좆된 케이스'이다. 루드빅은 평소 관심이 있던 마르게타에게 추파를 던진다. " 낙관주의는 인류의 아편이다 !  건전한 정신은 어리석음의 악취를 풍긴다.  트로츠키 만세 ! "  평소 무뚝뚝한 성격인 마르게타'에게 농담 한 마디 한 것뿐인데 그는 이 농담 때문에 강제수용소에 끌려가 중년이 되어서야 풀려나온다. 내가 만약에 소설 속 주인공인 루드빅'이었다면 " 낙관주의는 인류의.... " 따위의 문장을 작성하기보다는 차라리 " 내 마음을 몰라주는 마르게타 때문에 내 마음도 마르겠다 ! 아햏햏. " 이라고 써서 엽서를 보냈을 것이다.  루드빅은,  유머감각이 부족한 것이다 ! 하지만 중요한 것은 유머 감각이 쩔다와 구리다의 차이'가 아니다.

농담에 대해 웃지 않는 사회'가 문제'인 것이다. 농담에 대해서 정색하는 사회'는 병색이 완연한 사회이다. 루드빅이 " 낙관주의는 인류의 아편 "이라고 실없이 말했다면, < 장미의 이름 > 에 나오는 호르헤 수도사는 " 웃음은 인류의 아편 " 이라고 진지하게 말한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제2권 < 희극론 >에 독을 묻혀서 그 책에 읽는 이'를 독살한 것이다. 종교'란 기본적으로 신과 율법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이 강할수록 강력하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호르헤 수도사'는 웃음이 종교적 힘'을 약화시키는, 근엄에 똥침을 날리는 손가락이라고 생각한 모양이다. 누구나 동의하겠지만 호르헤 수도사'는 너무 웃지 않아서 미친 것이다.

< 농담 > 의 배경이 되는 경직된 사회와 < 장미의 이름 > 에 등장하는 호르헤 수도사'는 웃음을 부정적 기운으로 간주했지만  아시다시피 웃음'이란 生의 활력소'다. 그렇다고 해서 웃음을 만병통치약이라고 주장하는 것 또한 경계해야 한다. 왜냐하면 웃음'이란 부족해도 문제가 되지만 넘쳐도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웃음이 지나치면 쾌락주의'에 빠지기 쉽다. 가장 좋은 웃음은 < ...... > 와 < 아햏햏햏 > 사이에 놓인 웃음일 것이다. 웃음이 가지고 있는 기능 가운데 중요한 것은 바로 공감'이다.  좀더 유식하게 말하자면 저자와 독자 간의 상호 교류'이다. 독자가 책에서 마음에 드는 문장을 골라 밑줄을 긋는다는 것은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는 의사 표시이며 지지'이다.

웃음도 마찬가지다. 웃음은 농담을 하는 사람에 대한 작은 동의이며 손해 볼 것 없는 지지'이다. 그러므로 책에 밑줄 긋는 연필과 조용한 웃음은 동의어'다. 오래전, 호르헤 수도사'처럼 웃지 않는 친구를 둔 적이 있었다. 시립 도서관에서 오고가다 만난 사이였다. 그는 세상 사람들이 주머니에 칼을 숨기고 다닌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었다. 문학적 수사'가 아니다. 그는 정말로 사람들이 주머니에 칼을 숨기고서는 호시탐탐 자신을 찌를 궁리만 한다고 생각했다. 불안한 마음과 초조한 눈빛은 항상 그의 영혼을 갉아먹었다. 그는 날마다 마르는 고사목 같았다. 내가 웃음이 없던 그를 끌고 간 곳은 수요일이면 영화를 상영해주던 도서관 시청각실'이었다. 상영 영화는 < 라임라이트 > 였다.

채플린 영화가 그를 웃게 만들 거란 막연한 생각을 했기 때문이었다. 나는 그가 웃는 모습을 보고 싶었다.  하지만 그는 영화 상영 내내 웃지 않았다. 그리고 나 또한 웃지 않았다. 웃기는커녕 펑펑 울었다. 분장을 지운 광대의 얼굴만큼 슬픈 얼굴'이 또 있을까 ? 찰리 채플린'이 카메라를 응시하며 분장을 지울 때, 무표정한 얼굴로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절뚝거리며 마임을 선보일 때, 무성영화 배우가 토키 영화'에 나와 말을 걸 때, 노인이 된 버스터 키튼의 둥근 어깨를 보았을 때, 그럴 때마다......  슬펐다.  채플린은 독백처럼 말한다. " 웃지 않으면 비극이 되지...... " 이 대사가 왜 그렇게 내 심장을 찔렀는지는 잘 모르겠다. 광대'에게 있어서 " 비극 " 이란 관객이 웃지 않을 때이니,

저 대사'는 잊혀져간 늙은 광대의 고해성사 같아서 슬펐다. 영화가 끝나자 사람들이 칼을 주머니에 숨기고 다닌다고 생각하는 친구가 내게 물었다. " 코미디 영화인데 왜 울어요 ? " 곰곰 생각했으나 딱히 떠오르는 답이 없어서 그 친구에게 되물었다. " 코미디 영화인데 너는 왜 웃지 않니 ? " 그친구도 곰곰 생각하는 눈치였다. 그리고는 말했다. " 영화는 재미있었어요 ! 다만 웃고 싶지 않았을 뿐이에요. 웃은 지 꽤 오래되어서 그 느낌 자체를 잃어버렸어요. " 웃음을 잃어버리면 쉽게 절망하고 슬퍼한다. 그리고 슬픔을 버리면 쉽게 웃을 수 있지만 웃음은 한 번 잃어버린 웃음을 다시 찾는 데에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린다. 어떤 사람은 웃음이 없는 세월을 버티지만 누군가는 버티지 못하고 낙엽처럼 떨어진다.

채플린이 말한 극중 대사'처럼 인생이란 웃지 않으면 비극이 된다. < 농담 > 을 읽다가 문득 웃지 않아서 웃음을 잃어버렸다던 친구가 생각났다. 그는 다시 웃음을 찾았을까 ? 아니면 버티지 못하고 쓰러졌을까 ? 소식이 끊긴 지 꽤 오래되었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13-10-09 2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잘 알던 선생님이 이런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사람들이 보통 채플린의 작품 하면 '모던 타임즈'부터 말하지만 나는 '라임 라이트'를 떠올린다. '모던 타임즈'가 시대에 대한 비판적 자의식으로 만든 작품이라면, '라임 라이트'는 쌓이고 쌓여 발효된 예술가의 내공으로 빚어낸 작품이다'
지금은 어렴풋이 기억나긴 하는데, '라임 라이트'에 이런 대목이 있었지요. 늙은 광대는 한물간 개그를 하는데 고용된 관객들은 그것을 보면서 웃음을 보내지요. 광대는 무언가 이상하다는 걸 알지만 그래도 즐겁게 공연을 마무리하지요. 때로는 그 가짜 웃음이야말로 어떻게 보면 진짜로 좋아서 나오는 웃음보다 더 값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0 09:13   좋아요 0 | URL
저는 시티라이트와 라임라이트를 좋아합니다. 쌍라이트'죠.. ㅎㅎㅎㅎ
라임라이트는 채플린이 스스로 이제는 자신의 시대가 끝났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만든
유서와 같은 작품이죠. 이 영화에는 그 위대한 버스터 키튼도 나옵니다.
아, 이 위대한 코미디언'은 정말 노인이 되었더군요.
두 위대한 코미디언이 한자리에 모인다는 것 자체가 감동이었습니다.


2013-10-10 01: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0 09:14   좋아요 0 | URL
손창섭... 저도 누구 소개로 받아보고는 그만 뻑이 갔죠......
책 너무 처분하지 마세요.. 나중에 후회합니다..ㅎㅎㅎㅎㅎ

네에 가까운 날에 한번 봅시다.

엄동 2013-10-10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죽지못해 살고
울지못해 웃지만.

무례나 실례가 아니라면
이 퍽퍽한 세상에 웃음만큼
쉬 업될 수 있는 도구는 없을 겁니다

그것의 파워는
때때로 양 엄지를 추겨세울만큼
폭발적거덩요 흐흐흐흐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0 14:02   좋아요 0 | URL
이제 슬슬 엄동설한 님의 계절이 돌아오는 군요.
겨울 말입니다. 조금 지나면 겨울이겠지요 ?
전 딱히 웃지는 않는데...
하여튼 웃어서 나쁠 것은 없겠더라고요.
웃음에 필요한 근육을 사용하면 뇌가 멍청해서
실제로도 기쁜 감정이 생긴다고 해요.
억지로 웃어도 말이죠..
하여튼 인간의 뇌란 늘 멍청합니다.

마립간 2013-10-10 1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흔하게 주위 사람들에게 던지는 질문입니다. 사랑 한번 못해 본 사람이 더 부정적일까요, 사랑에 실패한 사람이 더 부정적일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0 14:03   좋아요 0 | URL
항상 아리송한 질문을 저에게 던져주시는 마립간 님.. ㅋㅋㅋㅋ
사랑 한번 ㅗㅅㅎ못해본 사람은 부정적이기보다는 어떤 판타지가 작동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입장에서만 말하자면 실패하면 사랑은 더욱 부정적으로 다가오는 거 가틉니다.

마립간 2013-10-11 12:13   좋아요 0 | URL
엄격히 말해서 다른 분에게 드렸던 질문은

(객관적 입장에서)사랑 한번 못해 본 사람이 더 불행하냐, 아니면 사랑에 실패한 사람이 더 불행하냐 입니다. ; 전자를 지지하는 사람은 사랑의 실패에 대한 아픔을 잘 모르는 사람일 수 있고, 후자를 지지하는 사람은 삶의 긍정이 약한 사람일 수 있죠.

물론 저는 아직 결론을 못 내린 상태입니다. 요즘 행복에 관해 생각하고 있기에 나름 정리가 될 때까지 불행대신에 부정적이다라는 단어로 대신했습니다. 곰곰발님은 제3자의 평가가 아니라 당사자의 입장에서 판단을 해서 제가 조금 당황하고 생각을 다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1 18:40   좋아요 0 | URL
예 맞아요. 위의 정의는 순전히 제 경험담입니다...ㅎㅎㅎㅎㅎㅎ
저도 그것에 대해서는 좀 생각을 해봐야겠네요.
좀 생각을 하고서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인생 2013-10-11 0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어째 네이버에 있을 때보다, 점잖은 동네로 이사해서 그런가 예전보다 글이 더 정제된 느낌이네요.
더 잘 쓴다구요!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1 02:30   좋아요 0 | URL
즐거운 인생 님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은 몰라도 즐인 님이 그리 말씀하시니 기분이 방방 뜨는군요.
여기는 그래도 신경이 좀 쓰이더라고요. 네이버야 그냥 거의 막 갈긴 글인데 여긴 뭔가 한번 들여다보고
그러더라는거죠.. ㅎㅎ. 나탈야 베너 효과 좋은데요 ~

히히 2013-10-12 0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가장 황홀한 쾌락과 가장 감미로운 기쁨을 느꼈던 시기라고 해서
가장 감동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 강렬함 때문에 인생에서는 듬성듬성 생겨난 자국에 지나지 않습니다.
환희의 절정 다음에 뒤따르는 참담함을 경험한 자라면
단조롭고 사심없는 상태의 연속성에서 행복을 느낄것 입니다.
<감탄>에 집착하지 마시고 <웃음>을 쌓아서 광자가 됩시다.
미쳐야 행복하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3-10-13 07:57   좋아요 0 | URL
인생은 섹스와 같은 것 같습니다.
하고 나면 뭔가 나른하고 허탈한 그런 느낌..
맞아요, 쾌락과 기쁨은 하나의 과정이지
지속은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