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생각없이 책장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코멕 메카시의 < 모두 다 예쁜 말들 > 이 생각났다. 이유는 모른다. < 아비정전 > 을 생각하다가, 장국영을 생각하다가, 장만옥을 생각하다가, 실패한 내 연애를 생각하다가, 불현듯 < 모두 다 예쁜 말들 > 이 떠오른 것이었다. 다시 읽기 위해 찾는 것이 아니었다. 다만, 그냥... 찾고 싶었을 뿐이다. 다섯 개의 책장에서 코멕 메카시의 소설을 모두 골라냈다. < 핏빛 자오선 > < 국경을 넘어서 > < 평원의 도시들 >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 로드 > . 하지만 여전히 < 모두 다 예쁜 말들 > 은 보이지 않았다. 분실한 모양이다.
생각이 여기까지 미치자 그동안 내가 잊고 있었던 기억이 갑자기 생각났다. 나는 천장이 낮은 옥탑에서 산 적이 있다. 그곳에서 한 여자를 오랫동안 사랑했다. 그 여자와는 헤어졌다. 그 책을 그녀가 가지고 있었다. 그녀의 책인 레비스트로스의 < 슬픈 열대 > 가 내 책장에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억이란 늘 이렇게 의뭉스러운 점이 있다. 생각해 보니, 이 아비정전'도 그녀와 함께 본 영화였다. 책을 다시 사야 할까 ? 고민하다가 이내 포기했다. 잃어버린 책을 다시 사는 것은 어리석다. 더군다나 그 책을 읽은 적이 있다면 더더욱 그렇다. 그리고 헤어진 여자를 그리워하는 것도 어리석다. 더군다나 헤어진 여자가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졌다면 더더욱 그렇다. 이젠 소년다운 고집은 버려야 한다.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아쉬움 때문이었을까 ? < 모두 다 예쁜 말들 > 에 대한 리뷰'를 읽어보았다. 그러다가 그 여자가 쓴 글을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다. 천장이 낮은 옥탑에 살았던 남자에 대한 이야기였다. 그리고 그 사람은 코맥 메카시의 소설을 유독 좋아했다고 담담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그리고 끝으로 < 모두 다 예쁜 말들 > 은 그 남자의 책장에 꽂혀 있어야 할 책이었으나 이렇게 자신의 책장에 꽂히게 되었다고 말했다. 2009년의 리뷰였다. 범종 같은 울림이 밑바닥 깊은 곳'에서 스멀스멀 올라왔다.
그 밑에는 글쓴이의 동료로 보이는 사람의 덧글이 달렸다. 덧글은 2012년의 것이었다. 그러니깐 글쓴이의 동료는 3년이 지난 글에 뒤늦게 덧글을 단 것이다. " 우연히 네가 쓴 글을 보았다 " 로 시작한 글이었다. " 우연히 네가 쓴 글을 보았어. 내가 ** 샘'에게 보내던 메일 주소 아이디'와 알라딘 아이디가 똑같더라... 너무 아파서 끝까지 읽지 못했다. **샘'이 그렇게 불의의 사고로 허망하게 떠나고 나서, 나... 샘의 빈 자리'를 보며 많이 울었어. 여긴 마치 나를 위한 숨은 보물 찾기 쪽지 같아. 자주 올께. 주인 없는 집에 너무 자주 온다고 눈치를 주지는 마. 보고 싶다. 그립다... "
내일은 4월 1일'이다. 하루 앞당겨서 이리 쓴다.
- 소년다운 고집 中

아비정전'을 보다.
아비정전'은 틈만 나면 보았다. 40번 넘게 본 이후로는 계산을 하지 않았다. 이젠 더 이상, 모니터로 < 아비정전 > 을 보지는 않는다. 장국영이 자살을 한 이후 < 아비정전 > 는 장국영 추모 형식이거나 혹은 왕가위 감독전 형식으로 극장 스크린'으로 상영이 되고는 했으니깐 말이다. 만우절이 되면, 그러니깐 라일락이 피는 계절이 돌아오면 < 아비정전 > 은 상영되고는 했다. 나는 그때마다 < 아비정전 > 을 보았다. 그것은 일종의 제의( 祭儀 ) 였다. < 아비정전 > 은 부두교'였고, 나는 신도'였다. 어제 cgv 압구정'에서 < 아비정전 > 을 상영했다. 물론 나는 그곳에 있었다. 그곳 극장 로비에서 우연히 옛 여자친구'를 만났다. 나는 그녀를 보았으나 그녀는 나를 보지 못한 듯했다. 한때, 우리는 같이 아비정전'을 보고는 했다. 그러니깐 그녀도 본 영화를 다시 보기 위해 이곳에 온 것이다.
그녀와 내가 헤어지게 된 이유는 내가 은행을 털어서 교도소에 수감되었기 때문이었다. 그 사실은 애인에게 비밀에 붙였다. 나는 쇼생크 탈출에 나오는 앤디'처럼 그녀 앞에서 감쪽같이 사라졌다. 당시에 은행'을 턴다는 행위가 법에 저촉된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었다. 남산 가로수 길'에 우뚝 솟은 은행나무가 서울시 소유'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 하지만 변명은 하지 않으련다. 잘못된 것은 잘못된 것이니 말이다. 나, 곰곰생각하는발 씨는 은행나무에 달린 은행을 털다가 현행범으로 걸렸다. 장발장이 빵을 훔치다가 감옥에 갔다면, 나는 은행을 훔치다가 감옥에 간 경우다. 수감된 동안에도 < 아비정전 > 은 변두리 극장에서 상영이 되었다.
내가 출소한 날은 공교롭게도 만우절'이었다. 애인'에게 전화를 걸었다. 미안하다고, 정말 미안하다고. 사실 그 동안 당신 앞에서 감쪽같이 사라진 이유는 교도소에 있었기 때문이라며 용서를 빌었다. 하지만 애인은 그 말을 믿지 않았다. 만우절이니깐 ! 느낌 아니까 ~ 애인은 이미 새로 사귄 남자친구가 있었다.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어 출소했다고 소식을 알렸으나 아무도 믿지 않았다. 나는 뚜벅이처럼 도시를 걷다가 우연히 광화문 극장에서 < 아비정전 > 이 걸려 있는 모습을 보았다. 주성철 기자'가 쓴 < 장국영 > 에 대한 책 기념으로 특별 상영되는 중이었다. 나는 그날 두부 대신 팝콘을 먹으며 영화를 보았다. 영화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애인은 떠났고, 나는 전과자가 되었으니 먹고 살 일이 막막했다.
전과자 신분으로 정상적인 직업을 갖기는 힘들었다. 결국 나는 범죄의 길로 빠졌다. 직업은 킬러'였다. 사람들은 나를 고스트독'이라고 불렀다. 처음 사람을 죽일 때가 힘들지 그 이후로는 쉬웠다. 느낌, 아니까 ~ 대부분은 아내의 불륜이나 남편의 외도 때문에 사건을 의뢰했다. 일말의 순정은 남았던지 다음과 같은 당부의 말은 잊지 않았다. " 고통 없이 죽여주세요. "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고통스럽게 죽여달라는 의뢰인도 있었다. 종로에서 장어집을 하는 중년 여성'이었다. 며칠 후, 사건을 의뢰한 고객의 가게에 도착했을 때 사건 의뢰인이었던 중년여성은 멍이 든 채로 아무 말 없이 나를 쳐다보았다. 남자는 술에 취해 아내에게 난동을 부린 후 바닥에 엎드려 잠에 빠져 있었다.
나는 잠을 자고 있는 남편의 팬티를 조심스럽게 내린 후 뱀장어를 바닥에 쏟았다. 뱀장어는 꿈틀거리더니 자고 있는 남자 항문 사이로 들어갔다. 구멍만 있으면 비집고 들어가는 습성을 이용한 창의적 살인이었다. 뱀장어는 항문을 거쳐 위로 위로 올라갔다. 남자는 잠시 황홀한 표정을 짓더니 그만 사정을 했다. 하지만 이 쾌락도 잠시였다. 그는 고통 속에서 죽었다. 죽음을 확인한 나는 장어들이 득실거리는 수족관을 엎었다. 와장창, 수조관 깨지는 소리가 들렸다. 바닥에 널부러진 뱀장어들이 이리저리 꿈틀거렸다. 그 중 한 놈은 죽은 남자의 입속으로 들어갔다.
*
나는 주로 어두컴컴한 극장에서 의뢰인을 만났다. 일도 하고 영화도 보니 이보다 좋을 순 없다. 무엇보다도 극장 안이 어두컴컴하기에 서로 신분이 노출될 일은 없는 것이다. 마지막 의뢰인을 만난 것은 어제였다. cgv 압구정'에서 말이다. 공교롭게도 아비정전이 상영되었다. 그리고 또 공교롭게도 그곳에서 헤어진 옛 여자친구를 우연히 만났으며, 또, 또, 또 공교롭게도 의뢰인'은 바로 그녀'였다. 나 또한 그 사실을 전혀 몰랐다. 불이 꺼지자 내 옆에 누군가가 앉았다. 향긋한 향수 냄새가 났다. 익숙한 냄새였다. 프르스트가 마들렌을 통해 과거로 여행을 떠났듯이 나는 그 익숙한 향수 냄새를 통해 불길한 예감이 들었다. 이 불길한, 예감은 적중했다. 의뢰인은 옛 여자친구였다. 그녀가 나를 알아볼 일은 없었다. 나는 킬러를 하기 위해 성형수술을 했고 짙은 선그라스를 끼고 있었으며 극장 안은 어두웠으니 말이다. 그녀가 말했다. " 한 사람을 죽이고 싶어요. 이 사람입니다. " 그녀가 건낸 서류봉투 안에는 낯익은 얼굴이 보였다. 바로 나였다. " 고통 없이 죽여주세요. "
나는 고민 없이 사건을 접수했다. 내가 사건을 접수했다는 사실은 그녀가 지목한 상대를 제거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나는 자살이 아닌 타살이 되어야 했다. 나는 또 다른 킬러에게 사건을 의뢰했다. 이쪽 세계에서는 꽤나 성실하다는 평이 자자한 사람이었다. 그가 말했다. " 선생님, 제거 대상은 누구입니까 ? " 나는 잠시 창밖을 보다가 그에게 말했다. " 바로 나요. 나를 제거해 주십시요. 8월 20일이면 좋겠소 ! 아직 할 일들이 남았으니깐. 비혼자'이다보니 해야 될 일들이 많소. " 그래서 지금 이 글을 쓴다. 톡톡이 게임은 100회로 끝난다. 이웃들과의 약속이니 지켜야 한다. 은행 업무도 모두 마쳤다. 그동안 운영했던 네이버 블로그도 막을 내린다. 미리 양해를 구한다. 난, 프로다. 서운해하지 마라. 느낌 아니까 ~
http://blog.aladin.co.kr/749915104/6272451 : 소년다운 고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