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미경의 리부트 - 코로나로 멈춘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법
김미경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7월
평점 :
재난과 자기계발서
코로나가 창궐했을 때 추운 겨울이 지나면 일상을 되찾을 줄 알았다.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리는 법이니깐 말이다. 마스크 때문에 자신이 내뱉은 날숨을 다시 들숨으로 마셔야 하는 상황에서도 묵묵이 견딜 수 있었던 것은 이 또한 지나가리라 _ 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하지만 예측은 빗나갔다. 봄날은 가고 무더운 여름이 찾아왔지만 전세계 확진자 수는 감소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 팬데믹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상시적 일상이 되었다. 접촉(off)은 죄악이 되었고 이제는 접속(on)만이 유일한 대안이 되었다. 좋든 싫든 20세기는 히틀러가 만든 세계'였듯이, 좋든 싫든 21세기는 코로나가 만든 세계가 되었다. 코로나가 만든 새시대는 그 어느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불확실성의 시대이다 보니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어졌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 예측 " 이 아니라 " 예방 " 이다. 전자가 공격적 태세라면 후자는 방어적 태세 전환이라 할 수 있다.
김미경의 << 김미경의 리부트 >> 는 놀랍게도 코로나 이후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내놓는다(라고 책 선전을 하고 있다). 세계의 석학들도 모두 한결같이 코로나 이후의 세계에 대하여 섣부른 예단을 내놓는 것을 경계하는 마당에 저자는 어떤 근거로 세계를 진단하고 예측하며 그 값을 제시하는 것일까 ? " 위기는 곧 기회 " 라는 자기계발서의 닳고닳은 신소리를 마치 미래를 꿰뚫는 선견 따위로 포장하는 이 책의 가치는 얼마일까 ? 코로나로 인하여 오프 라인 강연이 취소되는 바람에 (강의 수익이 0원이 되어서) 책을 쓰기로 마음 먹었다는 100만 유튜버 김미경의 결의가 뻔뻔해 보이는 이유는 세계의 비참을 돈벌이로 활용한다는 데 있다.
코로나라는 거대한 비극을 이용하여 돈벌이(자기계발서)에 사용하는 방식은 세월호 사건을 재난 모험극 영화로 만들려고 하는 감독의 도덕적 해이'와 무엇이 다를까 ? 동기 부여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채찍질하도록 만드는 " 긍정의 과잉 " 은 폭력이나 다름없다. 밀란 쿤데라는 소설 << 농담 >> 에서 이렇게 말했다. 낙관주의는 민중의 아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