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돌   과      고   독    :













                                                   여러분에게 

              훌륭한 명사 한 분 소개합니다










                                                                                               한국어는 동사 중심이고 영어는 명사 중심이다. 그러다 보니 한국어는 동사를 꾸며주는 부사가 발달했다. 동사가 바깥일을 담당하는 역할이라면 부사는 집안일을 맡는다. 동사가 입을 양복을 다림질하고 구두를 닦는 일이 부사의 역할이다. 


입말이 화려한 사람(말을 잘하는 입담꾼)의 특징을 살펴보면    :    맛깔스러운 부사를 적재적소에 사용해서 내용을 재미있게 꾸민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부사는 동사를 화려하게 만드는 조력자'인 것이다.  하지만 평소에 부사를 남발하는 사람은 경계를 해야 한다.  부사는 사기꾼이 편애하는 품사'로 내면의 빈곤을 감추기 위해서 외양을 가꾼다.  사기꾼은 부사에 살고 부사에 죽는다.  부생부사'라고나 할까 ?   만약에 부사의 내조로 동사가 품사의 왕으로 등극하게 된다면 동사는 무대 위에서 수상 소감으로 이런 말을 했을 것이다. 


" 저는 다 된 밥상에 숟가락 하나 얹었을 뿐입니다. 이 모든 영광은 부사에게 돌립니다아 ! " 한국어가 동사 중심이라고는 하나 한국인은 동사를 통해 속마음을 완전히 표출하지는 않는다.  체면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욕망(속마음)이란 원래 낡은 팬티와 같아서 볕 좋은 마당에 널기 보다는 이웃이 보지 않도록 실내 건조대에 널기 마련이다. 입말에서 주어의 진짜 복심은 동사가 아니라 부사1)다. 부사를 알아야 그 사람 속내를 간파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주장은 말의 세계일 때 가능한 주장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글의 세계에서 으뜸은 명사이고 형용사와 부사는 그 앞에서 알랑방귀나 뀌는 어릿광대'다(문장에서 무조건 형용사와 부사를 제거하라는 소리는 아니다). 박완서 작가가 << 그 남자네 집 >> 에서 " 주옥같다 " 는 표현 대신 " 구슬처럼 예쁘다 " 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 < 주옥 > 이나 < 구슬 > 이나 둘 다 같은 말이지만 구슬처럼 예쁘다는 말은 주옥같다는 말보다 아름답고 간결하며 또한 고결하다. 이처럼 문장에서 명사의 선택은 전체 문장의 늬앙스를 좌지우지하는 경우가 많다. 조사는 주연을 화려하게 만드는 조연이다.  


김훈은 << 칼의 노래 >>의 첫 문장 "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 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고 한다. < 꽃이 피었다 > , <꽃은 피었다> , <꽃도 피었다 > 중에서 어떤 조사를 선택할 것인가 ?  만약에 김훈이 이 소설의 첫 문장으로 " 버려진 섬마다 꽃도 피었다 " 라고 썼다면 나는 이 문장을 오래 기억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다음 문장을 살펴보자.  





   혼자 벽돌을 굽는 동안 그녀는 점점 더 고독해졌으며 고독해질수록 벽돌은 더욱 훌륭해졌다. 공장 뒷편의 어른 벌판은 점점 더 많은 벽돌들로 채워져 갔다. 몇 년이 흘렀다. 그녀는 홀로 벽돌을 굽고 있었다. 다시 몇 년이 흘렀다. 그녀는 홀로 벽돌을 굽고 있었다. 몇 년이 흘렀다. 그녀는 홀로 벽돌을 굽고 있었다. 공장을 찾아온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ㅡ 고래,  천명관





이 문장에서 나를 사로잡았던 것은 벽돌과 고독이라는 두 낱말의 호응이었다.  만약에 고독이라는 낱말 대신 < 쓸쓸함 > 이나 < 외로움 > 이란 낱말이 사용되었다면 호감은 반감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고독은 벽돌이라는 사물의 물성에 가장 가까운 낱말이다.  딱딱하지만 푸석푸석하며 마른 성질(벽돌)은 고독의 그것을 닮았다.  반면에 외로움이나 쓸쓸함은 푸석푸석하거나 마른 성질이라기보다는 흐느적거리는 느낌이 든다.  대체불가능한 낱말을 선택하면 굳이 주인공의 심리 묘사를 꾸미기 위해 과도한 형용사와 부사를 남발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명사의 선택이 중요한 것이다. 











1)김영민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0-06-16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 전에 <고래> 오디오북으로
풀려서 하루~ 잘 들은 적이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읽어 보고 싶더라구요...

울나라 최고의 데뷔작이라고 생각하
는데 그 다음에는 여엉...

곰곰생각하는발 2020-06-16 14:22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죠 ? 데비작이 전부 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영.... 약발 다했다는 느낌.
하여튼 고래. 기똥찬 작품이었죠. 능청스럽기도하고 구술문화의 흔적도 남는 것 같기도 하고...ㅎㅎㅎ

수다맨 2020-06-16 1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부분을 다시 읽으니 벽돌과 고독의 호응이 긴밀하게 보입니다. 외로움이나 처연함, 쓸쓸함 같은 말들은 흐느적거리는 느낌이 있는데 고독이라는 말에는 고립과 고통을 어떻게든 감내하겠다는 벽돌공의 저력이 느껴집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20-06-16 14:22   좋아요 0 | URL
벽돌공이란 직업을 선정한 것도 기가 막히죠. 고독이란 단어 선택도 훌륭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