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의 미술가 - Art in Nature
김해심.존 K. 그란데 지음 / 보림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자연의 미술가?
참 생소한 단어로 들리기도 하고,어쩌면 억지로 끼워 맞춰서 조합해 놓은 단어 같기도 하다.
그렇다면 환경 미술가?
알 듯 말 듯 한 단어다.
환경을 위한 예술인가? 아니면, 예술을 위해 존재하여야만 하는 환경인 것인가? 를 놓고 보자면,
갑이 먼저냐,을이 먼저냐의 관점으로 참 애매모호하다.
책을 받아 든 나의 첫 선입견은 이랬다.
환경과 자연을 위한 예술이라지만,인간이 환경위에 군림하여 내가 자연과 융화되었노라!
그래서 자연과 나는 하나가 되었노라! 그럴 듯한 포장으로 자기 과시가 아닐까? 괜히 불안하였으며,또한 작품설명이 자기변명에 대한 궤변이면 어쩌지? 약간 염려스러웠다.
왜?
나는 이쪽 계통으로 아는 지식이 그닥 없었으니 모든 것이 불안해 보였다.
결국 마지막장을 덮은 나는 100% 마음을 확 유턴한 것은 아니나,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의 각도에서만큼은 방향을 조금 틀었음을 인정한다.
적어도 환경 미술가들은 환경과 자연의 위에서 내려다 보는 자들이 아닌,자연속에서 함께 고민하고,걱정하고,아파하는 무리 중의 한 사람이란 것을 발견하였다.
자주는 아니나,한 번씩 아이들과 미술관이란 공간에 발길을 한 적이 있었다.
그런 곳에 발걸음을 하여 그곳에 잠시 머물러 작품들을 들여다보고,바라보다보면
미술관을 가득 채운 예술들은 작가들이 쏟아놓은 배설물 같단 생각을 하곤 한다.
오로지 자기 주관대로, 자기가 표현하고 싶은대로,나타내고 드러내고 싶은 대로 맘껏 속시원하게 내뱉은 그들만의 소리없는 고함이다.또한 속의 것들을 맘껏 내뱉은 배설물이다.
헌데,그공간에서 작품을 바라볼땐 속 시원함을 느끼곤 했으나,집에 돌아오면 그것뿐인 것이다.
큰 울림은 없는 것이다.
그이유를 이책에서 얻었다.
영국작가 데이비드 내시 편에 이런 구절이 있다.
'내시는....<뗏장 교환 Sod Swap>을 고안했다.그는 이 전시에 초대받아 작업을 구상하면서,당시에 대중을 위해 빈번하게 진행되는 조각 전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일정한 기간에만 야외에서 진행되는 형식의 전시는,작품이 어느 곳에 갑자기 도착해서(설치),불편하게 남아 있다가(전시),5~6주 후에 또다시 사라지는(철거) 전형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했다.내시는 이처럼 일시적으로 작품을 배치했다가 다시 옮겨 가는 통상적인 전시 관행에 휩쓸리고 싶지 않았다.....'(p.111)
설치하여 전시 되었을때 모두들 달려가 작품을 바라보았지만,철거가 되어 작품이 사라진 후에는 서서히 우리들 마음에 남아 있던 감동도 같이 '철거'되는 것이다.
그런면에서 자연(환경) 미술가들은 '철거'라는 순서가 없다.
(물론 모든 작품들이 다 그렇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자연물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적어도 1년에서 수 십 년동안 그자리에서 우리곁에 작품이 함께 한다.오랫동안 함께 하기에 감동이나 울림은 오랫동안 내속에 자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를 소재로 하였다면 적어도 나무의 변질되는 속성을 10년이상 바라본다고 가정할때 10년동안은 '철거'될일이 없을뿐더러 아마도 그동안 우리의 감동은 시간이 변해감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리라고 본다.
개인적으로 데이비드 내시의 작품 중 <나무 바위 Wooden Boulder>라는 작품이 매우 인상 깊었다.1978년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200년을 살다가 쓰러진 거대한 떡갈나무를 사용하기로 하였단다.이 나무 한 그루에서 10여 개의 나무 덩어리를 만들어 낼 수 있었는데,그 중 한덩어리가 운반도중 하천으로 굴러 떨어졌다고 한다.혹시나 물의 흐름을 방해할까 싶어 걱정하였으나,내시는 그것을 그대로 두기로 결정하고 그것의 변화상태를 바라보며 하나의 작품으로 명해버렸다.
작업도중 의도치 않은 개인적인 실수로 떨어진 재료를 그냥 내버려둔채 그것 또한 작품이라고 명명하는 것은 작가의 정말 대단한 천재성이라고 불러주는 것이 맞는지 아니면 작가의 괴짜기질이 빛을 발한다고 말해줘야 하는 것인지 말하기에 앞서,작가가 그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작품에 애정을 가지고 무려 25년을 나무 덩어리 하나를 지켜 보았다는 점이 주목할만하다.
나무 덩어리는 시간이 흐를수록 얕은 강으로 떠내려가기도 하고,태풍에 의해 모래언덕으로 밀려가기도 하면서 총 9차례 장소를 옮겼으며 독특한 풍경을 연출해 냈다고 한다.25년이 지난 2003년 1월 결국 나무 바위는 강가의 모래언덕에서 갑자기 사라져 버려 작품은 그야말로 '철거'된 것이다.덩어리는 아마도 언젠가 썩어서 형체가 흩어질때까지 계속 이동하고 있을 것이라 추측하는 것을 보면 어쩌면 그작품은 아직도 '철거'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우리 눈에만 보이지 않을뿐!
또 하나 잊혀지지 않는 작품이 있다면,크리스 드루리 작가의 남극에서 찍은 <바람 소용돌이 Wind Vortex>작품이다.지금 수많은 환경오염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지구의 가장 외진 곳에서 빙하가 녹고 있는 현실을 미디어로 확인하는 일일 것이다.만약 이로 인해서 지구가 종말한다고 가정한다면 인간들은 마땅히 받아야 할 업보일 것이나,인간들이 자행한 무질서에 동물들의 은신처가 위협을 받는 것은 강자가 약자를 위협하는 것과 똑같다는 생각을 해보곤한다.
그저 경각심을 그순간 일깨워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늘 머릿속에 맴돌게 만들어야 하는데 그것이 참 쉽지가 않다.늘 자각한다면 조금씩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텐데라는 생각을 품어보곤 한다.헌데 이작가는 그문제의 현장에 직접 찾아가 늘 자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는 과연 이문제를 어떻게 예술적인 언어로 풀어낼 것인가? 흥미로웠다.
남극에서 한참 풍경을 바라본 드루리는 분노와 후회같은 혼란스럽고 복잡한 감정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것을 표현하고 싶어 몸을 움직였는데 얼음 위에서 설상 스쿠터를 타고 소용돌이 같은 선을 만들어 놓고,사진이 잘 찍히는 맑은 날,눈이 막 내린 순간,바람이 불지 않는 날씨,순백색으로 뒤덮은 빙원 이 네 가지 조건이 충족되는 순간을 기다리고 기다렸다가 드루리는 스쿠터를 타고 활주로 끝으로 향했고,작업을 무사히 마친 후 사진 촬영을 했고 다음날,드로잉은 바람과 함께 작품은 사라져 버렸다고 했다.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자연을 소재로 한 이작품의 사진은 큰울림이 오랫동안 남았다.
물론 작품을 위해 인위적인 행동을 가미시킨 것은 사실이지만,며칠 뒤 그행위들은 바람에 날아가 버려 흔적이 없다.오로지 사진 한 장으로 남은 것인데,대자연이 남겨 놓은 선물 같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작가가 보여준 이선물을 오랫동안 간직 하고프다면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쳐서는 안된다.
이러한 생각들을 직설적이고 명령조의 언어가 아닌 이러한 작품들로 들려주고 보여주어 큰울림을 주는 그들이라면 우리는 기꺼이 그들을 반겨주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처음 가졌던 괜한 적개심에 반성한다.
시야를 좀 넓게 가져 바라보아야겠고,이분야나 계통에 대한 자료들을 좀 더 찾아보고 지식을 쌓은 다음 내아이들에게 좀 더 따뜻하게 설명해줘야 할 분야이지 싶다.
또한 미술을 전공하려고 마음 먹은 고등학생 시누이네 작은 조카에게도 이러한 길도 있노라고 책을 한 번 소개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