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오래전에 쓴 시가 생각나서 옮겨놓는다. 2005년 말에 쓴 한 페이퍼에 끼워넣은 적이 있는데, 이번에 시만을 따로 독립시켜 놓기로 한다. 시는 1995년 6월 4일에 쓴 걸로 적혀 있으니 딱 이맘때이다. 메모를 보니 '말랑말랑한 빵'에게 뭔가 해주고 싶어서 쓰게 됐다고 한다.
말랑말랑한 빵에게
말랑말랑한 빵은 살짝 구워진다.
말랑말랑한 빵은 살짝 구워진다. 바짝 구워지면 빵은 딱딱해진다. 그건 딱딱한 빵이다.
말랑말랑한 빵은 살짝 구워진다. 바짝 구워지면 빵은 딱딱해진다. 그건 딱딱한 빵이다.
그건 말랑말랑한 빵과는 다른 빵이다. 정말 다른 빵이다. 먹어보면 안다.
그것이 말랑말랑한 빵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살짝, 그렇다, 살짝 구워진다는 것!
그것이 말랑말랑한 빵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비밀은 부드럽게 혀끝에서 녹는다, 살살 녹아난다. 비밀은 사랑스럽다.
우리는 공공장소에서도 빵을 먹는다, 말랑말랑한. 세상은
이 오랜 관습의 사원이며 존재의 빵집이다.
여기저기서 주무르고 달군다. 더러는 태우기도 한다.
말랑말랑한 빵의 힘든 여정, 말랑말랑한 형이상학과 말랑말랑한 세계평화가
여기저기서 반죽되고 구워진다. 밤낮이 없다.
살짝, 그렇다, 살짝 미쳐간다는 것!
그것이 또한 말랑말랑한 빵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마침내 말랑말랑한 빵이 구워졌다. 정말인가는 먹어보면 안다.
09. 06. 07.
P.S. 시에서 내가 맘에 들어하는 대목은 "우리는 공공장소에서도 빵을 먹는다, 말랑말랑한. 세상은/ 이 오랜 관습의 사원이며 존재의 빵집이다", "말랑말랑한 빵의 힘든 여정" 같은 구절이다. 내게 말랑말랑한 빵맛 같은 걸 전해준다. 시작 메모로 더 적어놓은 걸 옮겨보면 이렇다.
내가 좋아하는 영어 단어 중에 'tangible'이 있다. '만져서 알 수 있는'이란 뜻을 한 단어로 나타낸다. 탱탱한지, 딴딴한지는 만져봐야 알 것 아닌가. 그런데 '먹어봐서(야) 알 수 있는'이란 뜻을 가진 단어는 없는 모양이다. 고작 'edible' 정도이다. '먹을 수 있는'이란 뜻. 이게 과연 먹을 수 있는 것이냐, 없는 것이냐 정도가 중요해서였겠지. 하지만 대학에 오랫동안 적을 두고 있는 나에겐 앎이란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정말인가는 먹어보면 안다" 같은 걸 두세 음절로 나타낼 수 있는, 그런 단어가 우리말에 있었으면 싶다(영어로는 'edangible'쯤 될까?). 우리의 어휘가 너무 부족하다. 그러니 믿음도 부족할 밖에. 말은 세상에 대한 믿음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