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달 전 한 대학저널과 가진 인터뷰기사가 뒤늦게 눈에 띄기에 옮겨놓는다. 기자가 '로쟈'에 대해서 잘 아는 편이 아니고 짤막한 인터뷰여서 새로운 내용이 들어가 있지는 않다. 번역문화에 대한 몇 가지 질문에 답한 탓에 부제는 '블로거 ‘로쟈’, 번역 문화를 비판하다'라고 붙여졌다. 창고에 넣어둔다...

서울대저널 제90호(08. 03) [캠퍼스라이프]“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고 있다!

‘로쟈’라는 필명은 낯설다. 혹자는 ‘로쟈 룩셈부르크’를 떠올리며 고개를 갸웃거리기도 한다. 하지만 <한겨레21>에 ‘로쟈의 인문학 서재’를 쓰는 인터넷 서점 ‘알라딘’의 블로거 ‘로쟈’를 아냐고 물으면 이내 곧 ‘아!’하고 무릎을 치곤 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애칭을 따 필명을 ‘로쟈’로 지었다는 그는 바로 노어노문학과 강사 이현우 씨였다.

“톨스토이나 도스토예프스키 같은 러시아 작가들의 두꺼운 책이 뭔가 있어 보여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다”는 그에게 서평을 올리게 된 연유에 대해 물었더니 그는 소탈하게 “자연발생적”이라고 답했다. 온라인 서점 등장 초기에 리뷰에 대해 제공된 마일리지를 적립할 겸 쓰기 시작한 서평이 모여 블로그가 됐다는 것이다. “어느 시점부터는 방문자 수가 늘어나 개인적이기보다는 공적 공간이 되어 조금은 의식하고 있다”는 그는 주로 인문 분야에 대한 서평이나 시사에 대한 정보나 이슈 등으로 그의 블로그를 채우고 있다.

최근 로쟈 씨의 블로그를 살펴보면 번역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띈다. 처음에 “비싼 돈 주고 산 책의 번역이 엉터리일 때 책값이 아까워서” 번역에 대한 관심을 키우기 시작했다는 그는 역시 ‘오역(誤譯)’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했다. “책이라는 것이 일종의 ‘정신적 먹거리’이고, 외국에서 들어오는 책들과 그 번역물들이 외국산 음식 같은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 몸이 유해 물질이 일부 들어와도 바로 죽지는 않듯, 독서생활도 적당히 오역이 섞여 있고 날림 번역된 책들을 소화시켰다”며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듯” 오역에 대한 비판이 오히려 ‘명예훼손’으로 몰리는 현실을 비판했다.

특이하게도 그는 ‘이론수입상’이나 ‘기지촌 지식인’ 등의 문제가 “아직 외국의 이론이 덜 수입되었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많은 학문의 내용이 결국 외국으로부터 들어온 것인 만큼 보다 제대로 연구되고, 자생적 결과물을 내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이론과 내용이 정확하게 번역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자연과학에서는 ‘최초’가 중요하지만, 인문학은 그렇지 않다. 이미 새로운 건 없다”며 인문학의 내용이 대학에 갇히지 않고 사회에 널리 공유되는 ‘학문의 민주화’를 강조했다.

“10년 쯤 전에는 학생들에게 할 충고가 있었지만, 다시 10년이 또 지나니 다시 대학의 신입생이라는 백지상태가 된 기분”이라는 로쟈 씨. 하지만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빌려 “공적인 행위에 참여하는 가치 있는 삶”을 살기를 당부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로쟈의 서재에서 삶의 ‘가치’를 음미해보는 건 어떨까.(조홍진기자) 

08. 10. 18.


댓글(28)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8-10-18 2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공식적으로(?) 얼굴사진을 찍으셨군요!

로쟈 2008-10-18 22:58   좋아요 0 | URL
이미 시사IN 인터뷰때 팔린 쪽이어서요...^^;

merci 2008-10-19 0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터뷰 뒤에 계속 블로그를 들락거리고 있었는데 제가 쓴 글을 이렇게 한참 뒤에 보게 되니 민망하네요 -_-;; ㅎㅎ 음.. 제가 '로쟈'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은 사실이죠. ㅠ_ㅠ

로쟈 2008-10-19 08:41   좋아요 0 | URL
기억엔 작년쯤에 가졌던 인터뷰 같은데, 기사는 지난달치로 돼 있어서 의외입니다. 착오가 있는 거죠?..

merci 2008-10-19 17:33   좋아요 0 | URL
올해 겨울이었습니다.ㅎ 3월호에 썼던 것인데 지금 서버가 불안정해서 9월로 종종 표기되더라구요.

로쟈 2008-10-19 18:24   좋아요 0 | URL
맞아요, 겨울이었죠...

람혼 2008-10-19 0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년에 처음 로쟈님을 알게 된 '늦깎이' 블로거로서, 저도 로쟈님을 더욱 알고(?) 싶은 마음이 생깁니다.^^

로쟈 2008-10-19 08:39   좋아요 0 | URL
제가 베일을 둘러치고 있나 보네요...^^

람혼 2008-10-22 01:49   좋아요 0 | URL
특별히 베일을 치고 계시다는 '은밀한' 느낌은 없지만, 언젠가 한 번은 꼭 차 한 잔 나누면서 담소도 나누고 고견도 듣고 싶습니다.^^

루쉰P 2008-10-19 0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쟈님이 어떤 분이신줄 실제 사진을 처음 봤네요.^^ 이제 얼굴이 알려지셔서 어떻해요. 로쟈님의 신비주의가 사라질까 걱정이 되네요.^^ ㅋㅋㅋ 사진 너무 잘보고 갑니다.

로쟈 2008-10-19 08:38   좋아요 0 | URL
검색해보면 사진이야 다 뜹니다. 어느 책 제목을 빌자면 '개인의 죽음(The End of Privacy)'이 대세인 시대인지라...

무스탕 2008-10-19 1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그동안 로쟈님께서 저 이미지의 수염 덥수룩한 그런 외모이신줄 알았어요..;;
훨씬 이쁘십니다 ^^

로쟈 2008-10-19 18:25   좋아요 0 | URL
딸아이가 지젝 사진을 보고 아빠냐고 물어보긴 했습니다. 곧 아닌 것 같다고 하면서...^^;

파란여우 2008-10-19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굴이 좀 헬쓱해지셨습니다. 미모는 여전하시지만^^

로쟈 2008-10-19 18:25   좋아요 0 | URL
얼굴만 살이 안 찌는 편이어서요...^^;

바라 2008-10-19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오재미동에서 데리다 보러 갔던 일이 생각나네요.. 올려주신 글들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로쟈 2008-10-20 18:47   좋아요 0 | URL
아, 벌써 몇년 전이군요!^^;

영이 2008-10-20 0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년 간 이 곳을 종종 들러 보았지만 사진은 처음 뵙습니다.
쓰시는 글에서 느껴지던 이미지와 비슷하세요^^
정말 반갑습니다^^

로쟈 2008-10-20 18:48   좋아요 0 | URL
댓글도 처음이신 듯한데요.^^

순오기 2008-10-20 0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시로 들락거리는 저는 예전에도 로쟈님의 사진과 실명이 공개된 걸 봤어요~ 그래서 더 반가운 얼굴이고요.^^

로쟈 2008-10-20 18:48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드팀전 2008-10-20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사진을 보니 예전의 어떤 분이 남겼던 스캔들적인 촌평이 떠오르는군요...
박지원을 닮았다는

제 결론은 별로 안닮았어요.

로쟈 2008-10-20 18:49   좋아요 0 | URL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노이에자이트 2008-10-20 16: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에 본 사진에선 강의하고 있는 모습이었어요.박지원 씨보단 눈이 더 크네요. 안경 벗은 사진은 없나요?

로쟈 2008-10-20 18:50   좋아요 0 | URL
관상도 보시나요?^^ 대충 사람꼴이면 되지 않나요?^^;

Koni 2008-10-20 2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전 로쟈님 얼굴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로쟈 2008-10-21 08:29   좋아요 0 | URL
성자는 아니죠?^^;

마노아 2008-10-21 2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사진을 클릭하니 엄청 커져요! 잡티 없는 얼굴의 면모를 확인했습니다. 눈매가 깊으시네요. 안경 탓일까요, 분위기 탓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