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관련 기사를 읽다 보니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에서 '10월의 읽을 만한 책'이라고 꼽은 책 10권의 목록이 눈에 띈다. 기사는 아래와 같다.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위원장 민병욱)는 올해 ‘10월의 읽을 만한 책’으로 <조대리의 트렁크>(백가흠, 창비), <예언가 우리 역사를 말하다>(백승종, 푸른역사), <인간의 미래>(라메즈 남, 동아시아), <한국의 미,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1, 2>(문명대 안휘준 외, 돌베개) 등 모두 10개 분야 10권을 선정, 발표했다. 김광웅 서울대 명예교수 등 11명의 ‘좋은 책 선정위원’들이 뽑은 책은 이밖에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김서영, 은행나무), <대국 굴기>(왕지아펑 외, 크레듀), <나는 나를 베팅한다, 그리고 그 후>(김상경, 국일미디어), <위험한 생각들>(존 브룩만, 갤리온), <빅토르 위고의 유럽 방랑>(빅토르 위고, 작가정신), <밴드마녀와 빵공주>(김녹두 이지선, 한겨레출판) 등이다.

이 중에서 <나는 나를 베팅한다, 그리고 그 후>와 <밴드마녀와 빵공주>는 내가 처음 접하는 책이다. 아마도 분야가 자기계발과 아동서가 아닐까 싶다(평소에 내가 검색하지 않는 분야들이다). 기사를 읽다가 문득 나대로 '10월의 읽을 만한 책' 리스트를 꼽아보는 건 어떨까 싶었다. 11명이 모여서 회의하는 것보다 훨씬 덜 번거롭고  간결하게, 게다가 저렴하게 최근에 나온 책들 가운데 리스트를 뽑아본다.



 

 

 

일단 문학쪽은 두 권이다. 모두 최근의 페이퍼들에서 다루었는데(http://blog.aladin.co.kr/mramor/1601982, http://blog.aladin.co.kr/mramor/1596181), 한국소설로는 김애란의 신작소설집 <침이 고인다>(문학과지성사, 2007), 그리고 외국소설로는 미국작가 찰스 부코우스키의 <팩토텀>(문학동네, 2007)을 꼽아둔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아무래도 페이퍼에서 다룬 책들에 먼저 눈길이 간다.

 

 

 

 

철학쪽은 드디어 번역서가 출간된 데리다의 <마르크스의 유령들>(이제이북스, 2007). 이미 <마르크스의 유령들>(한뜻, 1996)이라고 10년쯤 전에 번역본이 나왔었지만 '데리다를 쫓아내는' 번역이었다. 이번에는 데리다에 관한 불량번역본들에 대한 서평을 쓰다가 아예 번역에 나섰다는 전공자의 번역이어서 믿음이 간다. 개인적으로 최근에 <햄릿>도 자세히 읽은 데다가 러시아어판 <마르크스의 유령들>도 몇 달전에 구해놓은지라 독서를 위한 만반의 준비는 돼 있다. 하지만 시간이 있으려나?.. 

그리고 또다른 철학서로 역시나 데리다급을 고른다. 들뢰즈의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이학사, 2007). 이 또한 지나번에 페이퍼로 다룬 책이다(http://blog.aladin.co.kr/mramor/1584851). 사실은 엊그제 올해 출간된 러시아어판 <안티 오이디푸스>를 데리다의 <산종>과 함께 배송받았고, 조금전에 그걸 들추면서 혼자 흡족해 하던 터였다(<안티 오이디푸스>의 새 번역본은 언제 나오는 것인지 궁금해지는군).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를 뒤적이다가 여차하면 <안티 오이디푸스>로 빠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과연 시간을 낼 수 있을까?

 

 

 

 

어제 '역사적인' 남북 정상간의 만남이 있었지만 남북관계와 통일문제에 관한 책은 내가 별로 읽어본 바가 없어 가장 최근에 나온 전상봉의 <통일, 우리 민족의 마지막 블루오션>(시대의창, 2007)에 대해서 '판단'하기 어렵다. 한국사회에 관한 책으론 보다 재미있어 보이는 책을 고르고 싶다. 한겨레의 '심야통신' 등을 묶은 서경식의 <시대를 건너는 법>(한겨레출판, 2007)과 '명랑좌파' 우석훈의 칼럼집 <명랑이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생각의나무, 2007)가 그 '재미있어 보이는' 책들이다. 별로 즐거운/즐거울 일이 없는 세태이지만 혹 '명랑하게 시대를 건너는 법'을 배울 수 있을지 모른다.

 

 

 

 

그리고 과학책으로는 에드워드 윌슨의 신작 <생명의 편지>(사이언스북스, 2007)와 로렌 아이슬리의 <시간의 창공>(강, 2007)을 고른다. 윌슨의 책은 곧 나온다는 것인데, 보아하니 <생명의 다양성>(까치글방, 1995)과 <생명의 미래>(사이언스북스, 2005)의 연장선상에서 읽을 수 있을 듯하다. 다소 생소한 아이슬리는 고고학자인데, 정재승 교수의 평은 이렇다: "로렌 아이슬리는 뛰어난 인류학자이면서, 동시에 에머슨이나 소로에 비견되는 자연주의자이기도 하다. 그의 글은 존 던의 시에서나 볼 수 있는 '자연에 대한 경외감'이 문장 곳곳에 가득 배어 있으면서도 브로노프스키의 '과학적 통찰력' 또한 잃지 않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시인의 재능을 가진 과학자'라 부른다." 기꺼이 읽어볼 만하다는 얘기이다.

 

 

 

 

그리고 이론서로는 일본 최초의 소설론이라는 쓰보유치 쇼요의 <소설신수>(고려대출판부, 2007). 근래에 주목한 만한 책들을 계속 내고 있는 고려대출판부의 일본학총서의 하나이다(고모리 요이치의 <무라카미 하루키론>(고려대출판부, 2007)도 역시나 같은 시리즈로 최근에 출간된 책이다). 기억에는 이광수도 탐독했던 책이며 최초의 근대 소설론이라고 할 '문학이란 何오'(1916)에서 언급됐던 책이기도 하다. 그리고 말이 나온 김에 지난 여름 새번역본이 나온 <소설의 이론>(문예출판사, 2007)도 같이 읽어볼 만하겠다. 단, 루카치 초심자라면 독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걸 미리 밝힌다.

 

 

 

 

그리고 알 만한 사람은 알겠지만,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은 그의 '도스토예프스키론'의 서론격으로 씌어졌다(본격적인 도스토예프스키론은 끝내 씌어지지 않았지만). 바로 그 도스토예프스키의 최대 걸작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민음사, 2007)의 새로운 번역본이 지난주에 출간됐으며 10월의 필독 목록에 올려놓을 만하다('문학적 교양'을 위해서도 이 정도 작품은 읽어주자).

역자는 이미 <악령>(열린책들)을 우리말로 옮긴 바 있는 소설가 겸 러시아문학 전공자 김연경씨. 가장 젊은 세대의 감각으로 읽는 도스토예프스키는 어떨지 궁금하다(각기 다른 번역본들은 턴테이블에 올려놓는 각기 다른 음반들처럼 제각각의 음색과 흥취를 갖는다). 나는 사실 개인적으로 이달에 이 작품에 대한 강의도 해야 하기 때문에 비껴갈 수도 없긴 하다. '10월의 읽을 만한 책' 10권에다가 보너스로 (3권이나!) 덧붙여두는 이유이다...

07. 10. 03.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괭이 2007-10-03 0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말미에 로쟈님에 대한 감사의 말도 들어 있어요. 물론 실명으로다가 ㅋㅋ

로쟈 2007-10-03 01:28   좋아요 0 | URL
로쟈님 만세!..

2007-10-03 01: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로쟈 2007-10-03 09:33   좋아요 0 | URL
벌써 '수고'를 해보셨군요. 저도 시간이 나란히 읽어볼 생각입니다.^^

Joule 2007-10-03 0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덩달아)만...만세!..

로쟈 2007-10-03 09:32   좋아요 0 | URL
^^

푸른괭이 2007-10-03 0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로쟈님 성함 뒤에 괄호치고 "로쟈님과 동일인임"이라고 쓰려다가 괜히 책의 품위(?) 떨어뜨릴까봐 참았는데, 넣을 걸 그랬나요? ^^ ㅋㅋㅋ

로쟈 2007-10-03 09:32   좋아요 0 | URL
품위를 지키시오!..

드팀전 2007-10-03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랑좌파 ...^^ ^^ 명랑해지네요 ㅎㅎㅎ

로쟈 2007-10-03 11:48   좋아요 0 | URL
'명랑'이 원래는 '만화' 앞에 붙는 접두어인데, 좌파도 급수를 따지던 80년대식보다는 좀더 쾌활해질 필요가 있겠어요...

stella.K 2007-10-03 14: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같은 곡도 누가 연주하고, 지휘하고, 또는 노래하느냐에 따라 느낌이 참 많이 다르더라구요. 책도 그러겠죠? 전 아직 같은 작품을 누가 번역하느냐에 따라 얼마나 다를 수 있을까에 대한 비교는 그다지 안 해봤는데, 열린책들은 있으니 민음사판은 어떤지 비교해 보면 좋겠군요.
그런데 어느 세월에...ㅠ.ㅠ

로쟈 2007-10-03 21:58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음악 애호가라면 번역본들을 대조해 읽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니란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문제는 '세월'이죠. 한오백년이 필요합니다...

yoonta 2007-10-04 0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른괭이님이 민음사판<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역자님이신가봐요?
그나저나 저는 로쟈님이 번역한 도스토예프스키를 빨리 한번 읽어보고싶은데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는 건지요..^^

2007-10-04 08:38   URL
비밀 댓글입니다.